d라이브러리
"중"(으)로 총 19,280건 검색되었습니다.
- [숲이야기] 여름 숲을 수놓는 하늘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이유로 싫어하고 무서워하는 사람들도 많아요. 하지만 하늘소는 생태계를 지키는 소중한 일원일 뿐 아니라, 수세기 동안 인간과 함께 살아왔고 지금 이 순간에도 함께 살아가고 있는 존재랍니다. 멀리하기보다는 우리 주변의 친구처럼 아껴 주고 지켜 주었으면 좋겠어요 ... ...
- [도전! 코드 마스터] 엉망진창 책장 속 책들, 어떻게 정렬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high’라고 해요.가장 왼쪽에 있는 3은 기준이니 넘어가고, 그 다음에 있는 숫자 중 3보다 큰 것은 5예요. 그럼 low는 5에서 멈춰요. 그리고 오른쪽에 있는 숫자 2가 3보다 작기 때문에 high는 2에서 머무르지요. 그럼 5과 2의 자리를 서로 맞바꿔서 3, 2, 4, 1, 5로 만들어요.이런식으로 한번 더 바꿔서 3, 2, 1, 4 ...
- 벌레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3호
- 벌레의 습격만이 문제가 아니야!일반적으로 곤충은 최대한 많은 알을 낳아서 그 중 한두 마리일지라도 가장 뛰어난 자손들이 살아남게 하는 방법으로 번식해요. 이걸 ‘r전략’이라고해요. 무모해 보이지만 곤충의 입장에서는 가뭄, 혹한, 태풍, 화재, 홍수처럼 예측할 수 없는 환경에서 다음 ... ...
- [가상인터뷰] 세상에서 가장 긴 곤충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0cm 정도예요. 대벌레도 다른 동물들처럼 종류가 아주 많거든요. 참고로 제가 낳은 새끼들 중에 가장 작은 것이 26cm였어요. 후훗! 저 같이 커다란 대벌레는 주로 더운 지방에 많이 살아요. 제가 발견되기 전까지 가장 긴 곤충으로 알려졌던 대벌레 친구는 말레이시아 살고 있었답니다. 앞으로도 ... ...
- Part 3. 항성탐사를 위한 무한도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우주 돛단배가 빠른 속력을 얻기 위해선 우주선의 무게를 줄이는 것이 매우 중요해요. 브레이크스루 스타샷팀이 구상하는 우주선의 무게는 20g을 채 넘지 않지요. 칫솔 1개의 무게도 되지 않는 작은 무게인 거예요. 이렇게 작은 우주선을 만들 때 가장 어려운 것은 무엇일까요? 전문가들은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파충류 전문가 ‘ 배아미 왓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어지럽게 널려 있어 정신이 하나도 없었다.“보아뱀이 우리를 나가면서 제 물건 중 하나를 꿀꺽 삼킨 게 분명해요. 그게 이렇게 CCTV에 찍혔지 뭐예요? 그런데 대체 뭘 삼켰는지 모르겠어요. 보아뱀을 보고 썰렁홈즈가 알아내 주세요.” 보아뱀이 삼킨 물건까지 찾아 정리하고 나서 한숨 돌리며 문을 ... ...
- Part 2. 우주를 향해 더 멀리~!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있지요. 항성은 내부에서 핵융합 반응이 일어나 스스로 빛을 낼 수 있답니다. 항성을 중심으로 공전하는 지구와 같은 천체는 ‘행성’이라고 부르며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지요.그렇다면 태양계 밖에 있는 다른 항성계는 얼마나 멀리 있을까요? 현재 지구에서 인간이 가장 멀리 보낸 탐사선은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즉, ‘감출 장(藏)’은 무언가를 숨기거나 감춘다는 뜻을 나타낸답니다.뿌리의 역할 중 하나인 ‘흡수’는 ‘마실 흡(吸)’과 ‘거둘 수(收)’ 두 글자로 이루어져 있어요. ‘흡(吸)’은 ‘입’을 뜻하는 ‘구(口)’와, ‘~까지 닿다’라는 뜻을 가진 ‘흡(及)’으로 구성돼 있지요. 주로 ‘입을 통해 ... ...
- [지식] 자급자족 어부 라이프, 삼시세끼 어촌편3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있다.정말 막내 윤균상이 힘이 가장 셀까?막내 윤균상은 덩치가 크다는 이유로 삼형제 중에 힘을 쓰는 일을 도맡아 하고 있다. 덩치가 크면 힘도 세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덩치에 비례해 힘이 셀까?힘과 무게의 관계를 따져 보자. 막대과자의 단면의 넓이가 같다면, 15cm짜리 막대 과자와 5 ... ...
- [소프트웨어] 꼬마 스티브 잡스 키운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수 있도록 유도했다.SW교육이 낯선 건 학부모도 마찬가지였다. 갑자기 SW가 국영수만큼 중요한 교과목으로 보일 리 없었다. 뒤에 소개할 ‘부모님과 함께 하는 프로그래밍 경연대회’는 SW 교육에 대한 학부모의 기존 인식을 조금이나마 바꾼 계기가 됐다.임 교장은 작년에 학교장으로 부임한 이후 ... ...
이전58658758858959059159259359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