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평
평론
비난
논평
비평문
스페셜
"
비판
"(으)로 총 591건 검색되었습니다.
해보고 싶은 연구 마음껏 하는 사람들
동아사이언스
l
2013.11.04
유전자를 찾고 싶다”는 소망으로 프로젝트를 기획했다고 한다. 지능유전자 사냥을
비판
하는 사람들은 이런 연구결과가 결국은 인공수정 과정에서의 선별이나 유전자 검사에 기반한 낙태 등의 비윤리적 행위로 이어질 것을 우려하고 있다. 그러나 프로젝트를 주도하고 있는 스티븐 추 교수나 ... ...
새로운 길을 연 기초과학
KOITA
l
2013.10.22
미국의 코미디 드라마, 빅뱅이론에서 생물학자 한 명이 전자기학의 창시자격인 맥스웰을
비판
하자 주인공인 물리학자 4인방이 이성을 잃을 정도로 분노하는 장면이 나왔을까. 전자기학의 시작은 외르스테드(Hans Christian Ørsted)였다. 전기와 자기는 이전에도 독립적인 분야로 어느 정도 확립된 ... ...
과학에서 스토리텔링은 독?
동아사이언스
l
2013.10.07
장치’라는 책의 부제에서 감을 잡았어야 했는데, 그렇다! 이 책은 스토리텔링에 대한
비판
서였던 것이다. 앞의 문구는 이 책에서 인용한 걸 또 인용한 건데, 스토리텔링의 부정적인 측면을 잘 보여주고 있다. 아무튼 이 책을 읽고 스토리텔링에 대한 관심이 시들해졌다. ●결초보은은 없었다! 학술지 ... ...
친환경의 키워드, 물과 바람
KOITA
l
2013.08.23
드러났다. 이 선언문에서 셰르바르트와 독일 표현주의 건축가들은 고전 건축의 폐쇄성을
비판
하고 유리의 투명함을 찬양하며 실내 깊숙이까지 빛을 끌어들이자고 제안했다. 르 코르뷔지에(Le Corbusier)가 기둥과 보로 골격을 만들고 벽체는 내력을 지탱하는 데서 해방하자 셰르바르트의 이상은 현실이 ... ...
"과학자들 사회문제 외면하면 존재 의미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13.07.29
정보를 수집해 통제하는데 활용할 가능성이 크다는 일종의 '빅브라더' 기술이 아니냐는
비판
도 있었다"며 "물론 모든 것이 완벽하다고 할 수는 없겠지만, 과학기술을 사회문제에 적용할 때 발생하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사전에 다양한 사례를 조사하고 R&D 이후 평가도 시행할 것"이라고 ... ...
고전역학의 기본을 정립한 천재 물리학자 아이작 뉴턴
동아사이언스
l
2013.06.20
무려 31년이나 지난 후의 일이었다. 이는 과학계 전체를 볼 때 큰 손실이기도 했다.
비판
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뉴턴은 자신의 광학 연구 성과물을 훅이 죽고 난 다음에야 발표했기 때문이다. 이런 일은 미적분과 관련해서도 일어났다. 오늘날 '미적분 우선권 논쟁'이라고 불리는 이 사건의 상대는 ... ...
올해 250주년 맞은 베이즈 정리, 과학을 정복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6.12
나온지 250년이나 됐고 최근들어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데 자주 쓰이고 있지만 이에 대한
비판
은 여전하다. 베이즈 정리는 사전 정보(prior)가 확실한 것일 때만 성립하는 것인데 실제 상황에서는 이 정보가 100% 확실한 경우가 별로 없기 때문이다. 결국 불확실한 사전 정보를 토대로 사후 확률(posterior)을 ... ...
‘정크 DNA’는 정말 쓰레기통에 버려야 할 개념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5.22
‘사이언스’에 실렸다. 그러나 지난 4월 2일 ‘미국립과학원회보’에는 엔코드 결과를
비판
하는 글이 실려 정크 DNA를 둘러싼 논쟁이 계속되고 있다. - 강석기 제공 “지금까지 정크(junk)라는 말은 개체의 수준에서 자연선택으로 그 존재 이유를 합리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DNA를 나타내기 위해 ... ...
채식의 배신? 가공식품의 배신!
KISTI
l
2013.05.06
괜찮다고 생각하는 인식에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인지 책에서 가공식품산업에 대해
비판
을 하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채식의 배신’이 아니라 ‘가공식품의 배신’이라고 해야 맞을 것이다. 때문에 곡식에 도정을 한다거나, 곡식을 가루로 만든다거나, 곡식을 액체로 만들거나 발효하는 것, 이런 ... ...
“생명과학은 창의성의 학문…융합형 인재 절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30
일각에서는 정부의 연구비 투자에서 대형집단연구가 차지하는 비중이 너무 크다는
비판
의 목소리도 나옵니다.” 정책담당자들이 연구 분야의 성격을 정확히 파악해 대형집단연구와 소규모 창의적 연구의 비율을 적용하는 유연성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유 단장은 과학기술부 차관을 지낸 박영일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