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평
평론
비난
논평
비평문
스페셜
"
비판
"(으)로 총 591건 검색되었습니다.
오지랖 넓은 한국사회에서 자신을 되돌아 보는 방법
2017.07.30
‘사회적’ 동물로서 우리는 내 방문을 나서는 순간부터 주변의 영향을 받게 된다. 무
비판
적으로 다수의 의견에 동조하거나 복종하게 될 뿐 아니라, ‘내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라는 본질적인 질문에서도 주변의 압력을 받게 된다. 일례로 특히 개인들의 삶에 오지랖이 횡횡한 ... ...
‘나 혼자 산다’ 미코 김사랑의 ‘묵언수행’이 어색한 이유는?
2017.07.05
지정됐다. 1953년 스탈린이 죽고 권력을 잡은 흐루시초프는 스탈린의 ‘공포통치’를
비판
하며 지적 자유를 옹호했고 덕분에 비고츠키의 책과 논문들이 다시 빛을 보게 됐다. 1962년 그의 에세이집 ‘사고와 언어’가 영어로 번역되면서 아동의 혼잣말의 중요성이 널리 인식되기 시작했다. 즉 ... ...
‘그럴 수도 있지’라고 받아들일 때 나타나는 변화들
2017.07.01
비판
적인 태도를 보이는 사람들은 ‘타인’을 향해서도 완벽을 요구하며
비판
적인 경향을 보인다는 연구들이 있었다. 하지만 인간이라면 누구나 크고작은 약점과 부족함을 갖고 살기 마련이다. 특히 그런 부족함이 드러날 때 비난하기보다 따듯한 말로 격려해주고 응원해주는 사람의 존재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그 많은 양전자(반물질)는 다 어디서 왔을까
2017.06.27
과학뉴스를 접할 때마다 독일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의 묘비에 새겨져 있다는 ‘실천이성
비판
’의 한 구절이 떠오르곤 한다. “그에 대해서 자주 그리고 계속해서 숙고하면 할수록, 점점 더 새롭고 점점 더 큰 경탄과 외경으로 마음을 채우는 두 가지 것이 있다. 그것은 내 위의 별이 빛나는 하늘과 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아시아 남녀불평등의 기원을 찾아서
2017.05.16
문득 “바깥일도 남자의 일로 하늘이 정해놓은 것”이라며 작금의 맞벌이 세태를
비판
해야 일관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솔직히 남녀차별이야 동서고금에 보편적인 현상 아닌가?’ 이렇게 주장할 수도 있겠지만 우리와 사회경제적 지표가 비슷한 나라들과 비교해보면 그렇지도 않다. ... ...
사랑 받는 것에 대한 두려움
2017.05.13
사람들보다는
비판
적인 사람들에게서 ‘덜’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스스로에게
비판
적인 나머지 조건 없는 친절을 받더라도 ‘내가 이런 사랑을 받을 자격이 있을까? 설마, 진심이 아닐거야. 나의 단점들을 보고나면 마음이 바뀔 거야. 나에게 뭔가 바라는 게 있어서 잘 해주는 걸 거야’ 같은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트럼프의 반이민정책 그리고 집단적 나르시시즘
2017.01.31
한다) √ 자기 집단의 이미지를 해칠 것 같은 시도들에 매우 민감하며 집단에 대한
비판
을 참지 못함(너희가 감히!) √ 집단의 이익에 반하는 세력의 존재에 대해 과장된 위협을 느낌 √ 자기 집단에도 흠이 있을 가능성은 고려하지 않음 √ 집단에 대한 공격을 곧 자기 자신에 대한 공격으로 ... ...
사이비 종교에 빠지면 빠져나오지 못하는 이유
2016.11.09
특정인의 희생을 강요하거나 혐오를 조장하는 등의 내용일 때 어째서 그런 내용을 무
비판
적으로 따르나 의아해진다. 하지만 이것이 그냥 그 집단의 ‘도덕’이고 따라야 할 ‘명령’이라면 역시 집단의 압력과 권위에 쉽게 복종하는 인간으로서는 따를 수 밖에 없겠다 싶기도 한 것이다. ● ... ...
똑똑한 인간들이 왜 미신에 빠지는 걸까?
2016.11.01
못하기도 한다. 따라서 정상적인 상황이라면 끌리지 않았을 비논리적인 설명을 무
비판
적으로 받아들이게 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일례로 트라우마를 겪은 사람들의 경우 이런 미신적 사고에 더 쉽게 노출될 수 있다는 연구들이 있었다(Irwin, 1994). 마지막으로 어떤 것을 소중히 여기는 마음, 절박함이 ... ...
지속가능한 건강식단 가능할까?
2016.09.26
새로운 시각을 갖게 하는 정보도 많지만 과거 ‘지방 혐오 탄수화물 예찬’의 오류를
비판
하다 ‘탄수화물 혐오 지방 예찬’이라는 새로운 오류로 빠진 게 아닌가 해서 씁쓸했다. 지난해 번역서가 나온 우리나라에서는 큰 반향이 있었던 것 같지는 않지만 인터넷 서점 아마존 사이트를 보면 2013년 ... ...
이전
50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