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자기자신"(으)로 총 1,2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존경과 사랑에 빠지는 기쁨2018.12.01
- 진정한 겸손함이란 자신을 낮추는 것이 아니라 ‘타인을 높이는 것’이라는 말이 있다. 나를 높이는 게 아니라 타인을 높이는 게 뭐가 좋을까 싶지만 때로 귀한 선행을 목격하거나 엄청난 재능을 가진 사람들을 보는 등 타인의 대단함과 멋짐을 보는 것 또한 우리에게 뜻밖의 감동과 기쁨을 선사해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분노에 귀를 기울여야 하는 이유2018.11.24
- 최근 분노의 '순기능'에 주목한 학자들이 있다 -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흔히 ‘분노’라고 하면 화합을 깨트리고 갈등을 만들어내는 파괴적인 감정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분노는 우선 수그러트리는 것이 좋다는 조언들이 많다. 하지만 중요한 사실은 어떤 감정도 본질적으로 좋거나 나쁘지 ... ...
- [미래융합포럼]"교육 현장에서 먼저 융합 체험해야" 동아사이언스 l2018.11.22
- 21일 서울 종로구 JW메리어트호텔 동대문스퀘어에서 열린 '융합교육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융합 교육 문제를 지적하고 있다. 토론회의 패널인 백종덕 연세대 글로벌융합학부 교수(오른쪽에서 두 번째)가 참가자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미래융합포럼 제공 “융합교육이 아직 세상에 잘 알려져 있 ... ...
- [미래융합포럼]“융합의 기본은 성찰, 인간 중심으로 기술을 재편해야"동아사이언스 l2018.11.21
- 이종관 성균관대 철학과 교수가 21일 서울 JW메리어트 동대문스퀘어에서 열린 미래 기술사회에 대해 강연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인간은 일할 때 비로소 행복을 느낍니다. 일이 없는 인간은 돈이 많아도 삶의 의미를 잃고 약물이나 게임 중독에 빠질 우려가 크다는 연구도 있습니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행복해야 덜 먹는다 2018.11.17
- 매일매일이 스트레스이지만 유독 신경써야 하는 일들이 많다던가, 일이 잘 안 풀린다던가, 인간 관계에서 오해가 발생하는 날이 있다. 스트레스가 가득한 날도 사실 적지 않아서 많은 사람들이 나름의 스트레스 해소법을 실천하며 살아간다. 누군가는 음주가무로, 누군가는 친구들한테 한바탕 넉두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TV의 과잉스펙 시대2018.11.13
- UHD 디스플레이는 3840×2160). 화면은 2차원(면적)이므로 전체 화소수가 4배이다. 따라서 같은 영화 한 편이라도 UHD 영상은 데이터가 4배다. 이런 UHD가 갑자기 실생활이 됐다. - 픽사베이 자기 일이 아니고 별 관심도 없다면 화제가 되는 이슈라도 흘려듣기 마련이다. 필자의 경우 UHD(초고화질) TV가 그런 ... ...
- 여성 과학자로 사는 건 ‘산넘어 산’어린이과학동아 l2018.11.11
- '210, 181, 216, 3, 5, 12.' 이 숫자들의 정체가 무엇일까요. 먼저 210, 181, 216은 1901년부터 지금까지 과학자들이 수상한 노벨 물리학상, 화학상, 생리의학상의 메달 숫자입니다. 그런데 이중 여성 과학자가 받은 경우는 물리학상은 3개, 화학상은 5개, 생리의학상은 12개에 불과해요. 117년 동안 여성 과학 ...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진심이라는 거짓말2018.11.11
- 거짓이 없는 참된 마음을 일컬어 진심이라고 합니다. 맥락에 따라 진정성이라고 하는 경우도 있고, 성실성이라고 하기도 합니다. 정성, 충정, 속마음도 비슷한 뜻입니다. 거짓과 협잡, 과장, 모략이 판치는 세상에서 ‘진심’이라는 말을 들으면 왠지 사막에서 오아시스를 만난 듯 반가운 기분이 듭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열정에 도리어 먹히다2018.11.10
- 노력하는 자는 즐기는 자를 따라가지 못한다는 말처럼 마음에서 우러난 ‘열정’의 중요성을 시사하는 이야기들이 많다. 하지만 열정이라고해서 항상 좋은 것은 아니며 다소 부적응적인 형태의 열정이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는가? 조화로운 열정 VS. 강박적 열정 심리학자 카우프만은 책 《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호러에 열광하는 이유2018.11.04
- 픽사베이 제공 왜 어떤 사람들은 호러를 좋아하는 걸까? 무서운 영화는 커녕 조금 무서울 거 같은 이야기에도 쩔쩔매는 나로서는 호러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늘 신기했다. 그런 한편 이런 나 역시 때로는 괴로워질 걸 알면서도 궁금증이 돋아서 무서운 영상을 클릭하는 일이 많았다. 왜 우리는 무서 ... ...
이전545556575859606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