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일체
객체
단일
개인
통일체
사람
뉴스
"
개체
"(으)로 총 1,069건 검색되었습니다.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은 왜 편리한 날개를 버렸나
2019.04.24
내고 날개타고 멀리 떨어진 곳으로 이동해 서식지를 만든 후 성장 배경이 달랐던 다른
개체
를 만나 다양한 유전자를 섞으며 번식 한다. 그러나 덩치가 하나의 큰 생명체인 개미 집단은 날개가 없으므로 세력을 이동하고 빠르게 확산하는 데는 시간이 걸리지만 일단 자리를 잡으면 그들을 막을 어떠한 ... ...
‘유전체 표준’ 세계 두 번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24
잘 걸리는 질병을 예측하는 등 개인 맞춤형 의학에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개체
사이의 비교를 가능하게 해 줄 일종의 기준이 될 ‘자’가 필요한데, 국내 연구팀이 세계 두 번째, 아시아 최초로 유전체의 표준 물질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배영경 ... ...
멸종위기 내몰리는 양서류, 원인은 진화하는 병균
동아사이언스
l
2019.04.21
포착했다. 양서류의 흑사병이라 불리는 ‘항아리곰팡이병’이 등장하면서 양서류의
개체
수가 줄었다. 실제로 1998년 호주 제임스쿡대 연구팀은 최소 501종의 양서류가 항아리곰팡이에 감염됐고 그 중 90%는 멸종한 것으로 추정한다는 연구결과를 내놓았다. 1993년 호주에서 처음 발견된 ... ...
[이강운의 곤충記]날개를 달고 어딘들 가지 못할까마는…
2019.04.10
하늘에 길을 만들어 이동을 했다. 강원도 삼척 추동리에서 채집해 14번 번호를 붙인
개체
는 5.6km 떨어진 지각산에서 다시 채집이 됐다. 최대 1.5km를 이동한다는 기존 결과보다 훨씬 먼 거리인 약 6km의 머나먼 땅까지 이동했으니 참 멀리도 날아갔다. 붉은점모시나비의가 이동한 지역 간의 거리 ... ...
여름 바다의 적 거대 독 해파리의 비밀, 게놈 해독으로 풀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10
되는 대형 동물이다. 2000년대 이후 기후변화와 천적 감소로 한반도 주변 해역에서 급격히
개체
수가 매년 늘어 문제가 되고 있다. 이 해파리가 지닌 공격성과 독성 정보가 국내 연구팀이 주도한 게놈(유전체. 한 생물이 지닌 DNA 전체) 해독 결과 상세히 밝혀졌다. 독을 만드는 단백질과 번식 관련 ... ...
우리 앞바다 ‘미세플라스틱 역습’ 시작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8
남해연구소장은 낙동강에서 남해로 흘러드는 플라스틱 양이 연간 53 t으로
개체
수로는 약 1조2000억 개에 이른다는 연구 결과를 소개했다. 한반도 육지에서 바다로 유입되는 플라스틱의 양이 제한적이지만 구체적으로 분석된 것은 처음이다. 국내에서는 인구가 많은 남동해안 주변이 인구가 적은 ... ...
[표지로 읽는 과학] 옥수수 꽃가루 탄생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19.04.07
자란다(옥수수 수염). 옥수수는 수꽃이 피었다가 진 다음 암꽃이 피기 때문에, 다른 식물
개체
의 꽃가루가 날아와 암꽃과 함께 수분한다. 그러면 암꽃이 갈색으로 변하면서 꽃의 개수만큼 옥수수알이 탄생한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5일 옥수수 수꽃의 모습을 담은 사진을 표지에 실었다. 미국 ... ...
낙동강에서 바다로 유입되는 플라스틱 양 연간 53t…해양유입양 첫 공개
동아사이언스
l
2019.04.02
심원준 소장 연구팀은 낙동강에서 해양으로 유입되는 플라스틱 양이 연간 53톤으로
개체
수로는 약 1조2000억개에 달한다고 밝혔다. 육지에서 버려지는 플라스틱의 종착지가 결국 해양이라는 점에서 육지에서의 플라스틱 배출 연구는 앞으로 더욱 중요해질 전망이다. 심원준 소장은 “해양 ... ...
'야생동물 천국' 세렝게티, 인간 활동으로 몸살
동아사이언스
l
2019.03.29
연 평균 4.2%씩 가파르게 늘어나는 등 가축의 수가 급증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10년이면
개체
수가 1.5배 늘어나는 비율이다. 농지 면적 비율 역시 1984년 37%에서 2018년 54%로 크게 늘어났다. 주변부에서 일어나는 농업과 목축 활동은 국립공원 내부의 야생동물의 활동에 영향을 미쳤다. 국립공원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왜 대부분의 감정은 부정적일까
2019.03.24
하는 동물에게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아마 좀처럼 사랑에 빠지지 못하는
개체
는 자손을 남기기 어려웠을 것입니다. 감정은 생존 뿐 아니라 번식적 이득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물론 너무 쉽게 사랑에 빠지는 ‘금사빠’는 곤란합니다. 번식적 이득보다 ‘사랑에 속아’ 손해를 보는 일이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