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침략
침범
유입
돌입
난입
내습
쇄도
d라이브러리
"
침입
"(으)로 총 787건 검색되었습니다.
1. 당신의 정보는 안녕하십니까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해킹 사건. 범인들은 인공위성을 중개해 미국 버지니아에 있는 방위업체에 무단
침입
, 군사기밀을 빼돌렸다. 그리고 이들은 이 정보를 KGB에게 전달하고 그 대가로 마약을 받았다.이들의 범죄는 모두 컴퓨터 한 대에서 이뤄진 것이다. 이들이 실제 미국에 가서 방위산업체의 담을 넘는다는 것은 ... ...
2. 해커로부터 온 편지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거예요. 전에 16세의 영국 해커 '데이터스트림'이 제트추진연구소 등 미국 항공우주국을
침입
했다가 잡힌 적이 있는데 그가 걸린 이유도 이 때문이었습니다.해커는 전산망이 있는 곳이면 어디든지 타고 다닙니다. 네티즌들에게는 국경이 없으니까요. 조금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국내에서는 주로 ... ...
4. KAIST 해커 구속 사건이 남긴 이야기 "배우면 써보고 싶은 게 사람심리"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사건이 일어난 4월 5일 새벽, 같은 일이 다시 발생했다는 것이다.처음 일이 일어났을 때는
침입
자를 쫓아내는 선에서 일을 마무리했지만, 똑같은 일이 두번씩이나 벌어지자 노씨는 매우 화가 났다고 한다. 그리고 포항공대생의 소행으로 짐작하고 침투를 개시했다가 결국 일을 내고 말았다.박씨를 ... ...
식물도 동반자살한다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결과 이 신호가 또다른 효과를 일으킨다고 주장했다. 콩에 세균(Pseudomonas syringae)이
침입
했을 때 세포에서 과산화수소가 방출되자 칼슘 이온이 세포 내로 몰려든다는 것이다. 이때 세포질과 핵이 오므라들면서 세포가 죽게 된다.램박사는 “칼슘이 들어오는 문을 차단시키는 약물을 투여했을 때와 ... ...
뇌 필름 끊기는 이유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이 장벽이 없다. 그래서 주변 혈관을 통과하던 약물이나 이물질은 이 부위에 쉽게
침입
해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둘째 이 장벽을 쉽게 통과하는 물질이 있다. 우선 알코올은 지용성(脂溶性) 물질에 녹은 상태로 장벽을 쉽게 뚫고 들어갈 수 있다. 지용성 물질은 장벽을 구성하는 세포막을 잘 ... ...
3. 해커막는 첨단 보안기술 속속 등장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해커를 막는 고도의 보안 시스템이란 것도 역시 사람이 만든 것. 따라서 어딘가에는 '구멍'이 있을 수밖에 없다. 열 순사가 한 도둑을 막지 ... 곳은 세상 어디에도 없고, 아무도 해커를 영웅으로 여기지 않는다. 지금은 우리 나라를
침입
하는 해외의 범죄 해커를 막기 위해 실력을 닦을 때다 ... ...
과학을 선도하는 SF 상상력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외계인이 지구로 오는 방법으로 사용되곤 했다. 필립카우프만의 유명한 SF명작 '외계인의
침입
'(The Invasion of Body Snatchers)도 이러한 장면으로 시작된다.그런데 과연 SF영화의 발전이 과학의 발전만으로 가능할까? SF최고의 걸작으로 손꼽히는 '2001 스페이스 오딧세이' 는 우주선 내부묘사가 엄밀한 ... ...
영어와 컴퓨터를 동시에 배운다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집에'를 연상케 하는 영어 타이틀이다. 크리스마스 이브에 산타클로스로 분장한 괴한의
침입
으로 또마네는 혼란의 도가니에 빠진다. 영화를 보면서 대사를 음미할 수 있으며, 자신이 배우가 되어 대사를 녹음해 들을 수도 있다. 직접 현지에 갈 수 없는 사람들에게 영화는 그 나라 문화와 생활양식을 ... ...
미지의 친구를 기다리는 인간들의 사모곡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또 그들이 UFO를 보내 지구를 탐색하고 있을지도 모른다. 만약 그렇다면 ‘신체 강탈자의
침입
’의 시나리오가 아닌, ‘미지와의 조우’ 나 ‘ET’ 에서처럼 상대의 존재를 통해 자신의 존재 의미를 되새기는 공존의 아름다움을 이해하는 시나리오가 현실이 되길 진심으로 바란다 ... ...
금속활자와 인쇄술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를 엮은 조선말기의 학자 어윤적(漁允迪)은 이 시기를 1234년으로 보았다. 그러나 몽골의
침입
을 피해 1232년 강화도로 수도가 옯겨가기 전에 남명천송증도가(南明泉頌證道歌)를 활자로 찍었다는 기록이 진양공 최의가 쓴 글에 나와 있는 것으로 보아 고려활자의 발명과 이를 이용한 인쇄는 강화로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