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침략
침범
유입
돌입
난입
내습
쇄도
d라이브러리
"
침입
"(으)로 총 787건 검색되었습니다.
3. 백만군중에서 범인 한명을 순식간에 체포
과학동아
l
1997년 08호
제거하는 기능을 발휘한다. 항체는 수많은 자체 물질과는 결합하지 않고 외부에서
침입
한 물질만 선택적으로 인식해 강하게 결합한다. 여의도 광장에 모인 백만 군중 중에서 범인 한 명을 신속하게 잡아내되, 다른 군중 어느 한사람도 거들떠보지 않는 것에 비유할 수 있다.이와 같은 항체의 작동 ... ...
사랑을 충동질하는 뇌분비물질들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면역계이다. 몸 밖으로부터 체내로 들어오는 모든
침입
물질을 일괄하여 항원,
침입
물질이 몸 속에서 제멋대로 행동하지 못하게 하여 몸 밖으로 배제시키는 것을 항체라 한다. 바꾸어 말하자면 항체의 생산을 촉진하는 물질을 항원이라 볼 수 있다.항원성을 지닌 물질은 대부분 단백질이나 일부의 ... ...
과학으로 푸는 고대 전투진의 비밀
과학동아
l
1997년 05호
돌진하는 형태였다.별다른 변수가 없다면 가장 중요한 승리요건은 보병의 수였다. 2차
침입
때 페르시아군은 수적으로 우위에 있었다. 1만5천명 대 1만1천명의 대결이었다. 특히 페르시아군은 정면충돌에 강하다고 소문난 군대였다. 따라서 그리스군에게 색다른 전술이 필요했다.그리스군은 폭을 ... ...
해커
침입
받은 미 항공우주국
과학동아
l
1997년 04호
월 6일 미항공우주국(NASA)의 홈페이지가 해커에 의해
침입
당했다. 나사가 해킹을 당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H4G13라는 해커 그룹은 자신들이 해킹의 주인공이라는 메시지를 나사에 보내왔다. H4G13는 미정부가 유명한 해커들을 감옥에 가둔 것을 비난하면서 인터넷을 상업적으로 이용하는 곳은 어떤 ... ...
Ⅲ. 인공장기의 대안 미사일약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알아서' 기능을 수행하는 지능형 장기도 개발 중이다.우리 몸의 한 부위에 세균들이
침입
했다고 가정하자. 소위 백혈구로 알려진 우리의 아군들이 세균(적군)들을 물리치는 전투상황에 돌입하게 되고, 이 싸움에서 아군이 승리했을 경우 곧 전쟁 전의 평화상태(건강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그러나 ... ...
진시황무덤에서 히틀러 벙커까지 미로의 세계
과학동아
l
1997년 02호
배치됐다. 피난하기 위한 전용 통로가 상하로 뚫려 있으며, 통로 곳곳에 돌문이 있어
침입
자를 막거나 위장을 쉽게 해준다. 외부와 연결된 환기시설도 잘 갖춰져 있다. 최하층인 지하 7층에는 성당이 있다. 한 설명에 따르면 총 2천세대의 주민 1만여명이 생활했다고 한다.이들은 왜 지하에 미로를 ... ...
3. 개인용로봇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모험록’에 나오는 해안경비로봇인 놋쇠 인간 탈로스는 뜨겁게 달구어진 몸으로 섬을
침입
한 적을 격퇴시키고 있다. 이들 이야기는 비록 신화에 불과하지만 힘든 일을 대신해주는 ‘기계 인간’에 대한 인간의 염원이 짧지 않은 역사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근대적인 개념의 로봇이라는 용어가 ... ...
적외선 탐지기로 질병추적
과학동아
l
1997년 01호
피부 내부에서 세포들의 대사 작용이 증가하면 그 부위의 온도는 올라간다. 병원균이
침입
해 이를 저지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염증, 그리고 피부 암세포의 활발한 작용이 대표적인 경우다. 또 화상을 입었을 때 온도가 올라가는 것은 당연하다.이에 비해 자율신경계가 자극돼 그 부위의 혈관이 위축될 ... ...
바이러스와의 영원한 전쟁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그러나 식품을 부패시키거나 금속을 부식시키기도 하고, 사람의 방어체계를 뚫고
침입
하여 폐해를 입히는 병원성 세균도 있다.흑사병(Black death, pest) : '페스트'라고도 불리는 흑사병은 간균인 페스트균이 일으키며 쥐벼룩에 의해 매개되는 전염병이다 ... ...
홈뱅킹 중단 위기
과학동아
l
1996년 12호
크고 작은 해킹 사건이 끊이지 않고 벌어지긴 했지만, 돈을 노리고 홈뱅킹 서비스에
침입
해 거래 정보를 빼돌리는 사건은 이번이 처음인지라 그만큼 파장도 컸다. 정보화 사회를 이룩하는데 없어서는 안될 홈뱅킹 서비스가 이 사건을 계기로 ‘그로기 상태’에 빠져버린 것이다.인터넷망이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