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잘못"(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평면적이지 않은 평면이야기수학동아 l2015년 07호
- 깨달았어요. 평면이 구부러지면 되는 거예요. 이건 단순히 ‘평행선 공리’ 하나가 잘못됐다는 의미가 아니예요. ‘기하학=유클리드’라는 등식이 깨져버린 거에요. 자신만의 기하학으로 세상을 그릴 수 있는 자유가 찾아온 거죠.변하지 않는 모습이 중요하다아예 절 추상적인 기호로만 표현할 수도 ... ...
- PART 4 의도는 없다, 그러나 인간을 위협한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자본금 260억 원의 한맥투자증권이 한 순간의 실수로 결국 문을 닫았다. 한 직원이 주문을 잘못 입력했는데, 단 2분 만에 로봇 트레이더들이 460억 원의 손실을 낸 것이다. 물론 대단히 예외적인 경우지만, 이와 비슷한 사건이 또 터질 가능성도 없지는 않다. 4월 26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23일까지 ... ...
- 바다 밑에서 만난 동화수학동아 l2015년 07호
- 날아다니는 새는 바다 밑을 누비는 물고기와 닮았습니다. 자연의 매력에 흠뻑 취해 걷다 잘못 들어서면, 길을 잃기 십상이라는 것도 똑같습니다. 바닷속을 헤매던 공주가 마녀의 마법에 빠져 깊은 잠에 빠졌습니다. 공주의 잠을 깨울 수 있는 건 오직 왕자의 입맞춤뿐이지요.바닷속에 일상을 ... ...
- 축복인가 재앙인가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과학동아 l2015년 06호
- 당장 할 수 있는 것은 기능 을 아는 유전체 내의 유전자 몇 개의 기능을 없애고 잘못된 부분을 수선하는 정도다. 이마저도 넘어야 할 산이 많다. 가령 유전자의 기능을 없애는 것에 비해서 새로운 유전자를 집어넣는 것은 아직까지 걸음마 단 계다. 또 세포 밖에서 만들어진 크리스퍼를 세포 안으 로 ... ...
- 우주를 향해 크게, 더 크게! 거대망원경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상상하지 못할 정도로 작은 오차가 망원경의 성능을 떨어뜨릴 수 있어요. 곡면의 각도가 잘못되면 빛이 반사되는 각도도 달라지기 때문에, 빛이 제대로 모이지 못하고 상이 흐릿해지거든요.그런데 거울이 너무 두꺼우면 유리가 ‘열팽창’을 일으키기 쉬워요. 작은 온도차에도 유리가 부풀었다가 ... ...
- 바야흐로 생체 인증의 시대!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식별하지 못하는 등 나를 거부할 확률.●타인수락율: 타인의 바이오정보를 내 것으로 잘못 인식할 수 있는 확률. 마이크로소프트사는 올해 하반기에 출시될 윈도우10에 생체인식 기술을 도입할 예정이다. 가장 널리 쓰이는 지문인식은 평균적으로 본인 거부율이 0.1~0.5%, 타인수락율은 0.001~0.01 ... ...
- [Life & Tech] 산(酸), ‘풍요의 시대’ 연 식품계의 일등 공신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십이지장에서 다시 염기성을 띠는 탄산수소나트륨을 만나 중화 된다(이 과정이 간혹 잘못되면 위산이 많이 분비돼 속이 쓰리거나 손상되는 증세를 겪는다).산으로 단백질을 분해하는 과정은 가수분해다. 원래 단백질은 아미노산이 펩티드 결합이라고 하는 화학 결합을 통해 긴 사슬 모양으로 ... ...
- [지식] 전기 신호로 심장을 다시 뛰게 하다!수학동아 l2015년 05호
- 100만 옴짜리 저항기를 들고 있는 게 아닌가! 실수였지만, 운명이었다.저항기를 잘못 쥔 덕분에 ‘삐-삐-삐-삐-’와 같은 짧은 신호음이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결과를 얻었다. 그는 다시 회로를 뚫어지게 쳐다봤다. 7년 전, 의사들과의 점심식사가 떠올랐다. 그중 ‘심장차단은 전기 신호가 심장근육에 ... ...
- 다섯 번째 요리 치명적인 매력, E=mc²과 복어수학동아 l2015년 05호
- 복어로 국을 끓여 통통하게 오른 살과 시원한 국물을 즐겼습니다.당시 사람들도 복어를 잘못 먹으면 죽는다는 걸 알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찬물에 담가 두거나 절구에 찧어서 복어의 독을 제거하려 노력했습니다. 하지만 그 방법이 현재처럼 과학적이진 못했고, 봄이 되면 치명적인 맛과 목숨을 ... ...
- Part 2. 작지만 끈질긴, 가볍지만 정교한과학동아 l2015년 05호
- 방향을 정확히 구분한다. 자기장 감지를 방해하는 자석을 비둘기에 부착하면 목적지를 잘못 찾아가기도 한다. 과거에는 불가능하다고 여겨졌던 자각이 실험을 통해 밝혀지고 있는 것이다. 이런 연구는 아직도 ‘진행 중’이라는 점에서 새의 반전매력이 어디까지일지는 그 누구도 예측하기 어렵다 ... ...
이전545556575859606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