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잘못"(으)로 총 2,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장 번성한 동물 사회의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8호
- 마음이 들어요. 한편 우리는 죄를 지으면 죄책감이나 부끄럼을 느껴요. 이런 감정은 잘못된 행동을 의식하고, 선의로 보상하게 만들지요. 또 우리는 죄책감이나 부끄럼을 느끼는 사람을 용서하기도 해요. 이런 감점은 손상된 관계를 회복하는 데 중요해요. 이처럼 인간은 만나는 사람들마다 ... ...
- 곤충으로 삼시세끼? 미래식량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후식까지 준비했어. 어때? 이만 하면 진수성찬이지? 어? 근데 다들 표정이 왜 그래? 뭐가 잘못됐어?2050년에 식량난이 온다고?아~, 다들 평소에 안 먹던 음식이라 놀랐구나? 너희가 사는 2015년에서 지금까지 식량은 많이 변해왔어. 나도 학교에서 배운 건데, 2050년 왜 이렇게 다른 음식을 먹게 됐는지 ... ...
- 물놀이 테마파크 ‘ 가리비안 베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골라 주세요. 가만 보니 손님은 가장 큰 워터 슬라이드를 타셔야겠군요. 기회는 단 한 번! 잘못 고르면 워터 슬라이드는 안 타시는 걸로~!”미션3 구멍난 가리비 보트를 수리하라!다음으로 썰렁홈즈가 찾아간 곳은 가리비 보트를 타고 급류를 타는 물놀이 코스.물놀이 하러 와서까지 퍼즐을 푸느라 ... ...
- 종교 없는 가정에서 자란 어린이가 더 관대하다?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가정에서 자란 어린이가 종교가 없는 가정에서 자란 어린이보다 덜 이타적이며 타인의 잘못을 벌하려는 성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시카고대 심리학과 진 데세티 교수팀은 캐나다, 중국, 요르단, 터키, 미국, 남아공 등 6개 나라에서 5~12세 어린이 1170명을 대상으로 이타심과 징벌의 관계에 ... ...
- 비만? 설탕 잘못만은 아니야과학동아 l2015년 12호
- 감자튀김, 콜라, 사탕 등 달콤한 간식은 비만의 주범이라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설탕 섭취량과 신체질량지수(BMI) 사이에 직접적인 연관성은 없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미국 코넬대 데이비드 저스티스 교수팀은 미국 농무부에서 발표한 성인의 1일 평균 음식섭취열량 변화를 분석했다. 그 결과 섭취 ... ...
- [Life & Tech] 바이오 기업 ‘테라노스’ 논란과학동아 l2015년 12호
- 이런 간편한 진단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글을 기고했다. 그는 글에서 간편한 절차가 잘못된 해석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다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신부전증 의심 환자가 신장 건강의 기준인 혈청크레아틴의 농도를 검사했다고 가정해보자. 테라노스 검사결과 혈청크레아틴 농도가 110㎛ol/L였고, ... ...
- [상대성이론 100년사 ➓ 마지막화] 일반상대성이론의 과거, 현재, 미래과학동아 l2015년 11호
- 모르고는 읽을 수없습니다. 왜 권하느냐고요? 조선 사람은 과학을 등한시하니 그 잘못을 교정하자는 것과 무엇보다도 시대에 낙오되지 말아야지요.”에딩턴은 1920년 상대성이론의 주요 내용과 그에 관련된 철학적 해석이 포함된 저서 ‘공간, 시간, 중력’을 발표했다. 이 책은 갈릴레오의 책 ...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과학적으로 알려 주는 요정이야. 이것도 사소하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 두루마리 휴지 잘못 걸려 있어!124년 전 두루마리 휴지 특허문서 공개!휴지가 없던 과거에는 화장실에서 용변을 본 뒤 종이나 천 조각, 지푸라기 등을 이용해 닦았어요. 그러다 1891년 미국의 평범한 직장인이었던 세스 휠러가 ... ...
- PART 2. 화학상 DNA가 끈질긴 생명력을 지닌 이유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제한 효소는 메틸기가 붙은 DNA 가닥을 원본으로 인식하고, 메틸기가 없는 다른 가닥에서 잘못된 부분을 잘라낸다. 이후 여러 효소들이 협동해 염기쌍을 정상적으로 복구한다.모드리치 교수는 이 중요한 복구 시스템을 구성하는 효소 단백질들의 정체를 밝혀내고 그 특성을 중점적으로 연구했다. ...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23] ‘오지라퍼’가 되지 않으려면과학동아 l2015년 11호
- 일상적인 푸념에는 해결책이 아닌 정서적 도움이 필요하다. 위로를 바라는 이들에게 잘못된 점을 지적하면 상대는 도움을 받았다고 느끼지 않는다. 흥미롭게도 캐나다 요크대 심리학자 크리스티나트롭스트 교수의 연구에 따르면 문제 해결에 대한 직접적인 정보를 담은 도구적 도움을 받은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