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슈] 자세히 봐야 예쁘다, 맨홀도 그렇다!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6호
원
위
에 있는 한 점까지의 거리를 ‘반지름’이라고 해요. 원의 중심을 지나면서 원
위
에 있는 두 점을 잇는 선분은 ‘지름’이에요. 지름은 반지름의 두 배이지요. 한 원의 반지름과 지름은 어느 방향에서 재더라도 항상 길이가 같아요. 이러한 성질 때문에 원 모양의 맨홀 뚜껑은 뒤집거나 비스듬히 ... ...
[특집] 물
위
로 둥둥~! 잘 뜨는 법칙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6호
끼룩~. 사실 난 수영을 못 해. 하지만 똑똑한 갈매기라서 물
위
에 뜨는 방법을 알고 있지! 바로 튜브를 타는 거야, 음하핫! 튜브를 탔을 때 가라앉지 않는 이 ... 원리라고도 불러요. 밀도와 부력의 원리가 합쳐져 쇠로 만든 아주 무겁고 커다란 배도 물
위
에 안정적으로 뜰 수 있는 거예요 ... ...
[특집] 알에서 깨어나 땅으로 툭! 참매미의 탄생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5호
연구 권
위
자 히데하루 누마타 교수님이 2017년, 매미의 인공 산란과 부화 방법을 배우기
위
해 일본을 찾은 이화여대 연구팀에게 전한 말이었죠. 배 연구원이 알에 물방울을 떨어뜨려 습기를 더한 뒤 할 수 있는 건 기다림뿐이었습니다. 한 시간에 한 번 꼴로 알을 들여다 보며 어떤 변화가 있을지 ... ...
[가상 인터뷰] 쓱싹쓱싹, 알아서 양치질 해주는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5호
만들어 모터에 입력했어요. 그랬더니 로봇이 치아와 잇몸의 복잡한 구조를 지나가면서
위
아래로 움직이기도 하고 원을 그리며 세균이 모여 사는 생물막을 떼어냈어요. 과산화수소 성분의 용액을 함께 넣어줬더니 이 용액과 산화철 입자 사이에서 화학 반응이 일어나 치아의 세균을 죽일 수 있는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5호
이 영상으로 답은 종결된 듯합니다. 어과동 이병구 기자가 지난 5월, 서울 강남구에
위
치한 스튜디오를 찾아 까만 쫄쫄이를 입고 모션 캡쳐를 직접 체험하고 왔어요. 벨크로로 된 마커를 몸에 붙이고 춤(?)을 추자, 화면에 이 기자의 몸짓을 그대로 따라하는 캐릭터가 나타났어요. 모션 캡쳐의 과학적 ... ...
[스티브코딩쌤 - 마인크래프트] 월드를 편하게 누벼라! ‘자동 레일 설치기’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5호
건축해야 해요. 동력 레일이 아닌 일반 레일을 설치해서 커브 구간을 완성하세요. 레일
위
에 수레를 설치해 즐겨 보세요! 잠깐! 레일의 종류가 여러 개인데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일반 레일은 아무런 동력이 없기 때문에 속도가 느리고 수레가 가다가 멈추기도 해요. 반면, 우리가 사용한 동력 ... ...
[출동! 슈퍼M] ①“튜브는 왜 가운데에 구멍이 있나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5호
목이나 허리 등의 뼈를 다칠 수도 있어요. 튜브는 안전을
위
한 기구가 아니라 놀이를
위
한 기구라는 점을 꼭 기억해야 해요. 튜브가 있더라도 구명조끼를 꼭 입는 것이 좋아요 ... ...
[특집] 태양처럼 불꽃 같은 한달 참매미 성충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5호
도망칠 수 없거든요. 허지만 연구원은 “참매미를 찾으러 다니다가 이미 우화한 탈피각
위
에서 또 우화를 준비하는 참매미를 발견해 얼른 놓치지 않고 사진을 찍었다”며 이번 연구 중 가장 재밌었던 장면을 소개했습니다. 이어 ”매일 늦은 여름밤 밖을 헤매고 다니느라 힘들었는데, 어느날 ... ...
[지구사랑 탐사대] 지구를 구하는 작은 영웅들을 소개합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15호
우리목하늘소입니다. 조류서원식 대원 | 2020곤충탐사대 팀탐사 생물 어치발견
위
치 서울 중랑구 하정주 매니저아직 솜털이 남아 있는 걸 보니 올해 태어난 어린 어치네요! 정말 귀여워요 ... ...
[특집] 그림자의 성질에 힌트가 있다!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15호
가장 높이 떠 있는 한낮에는 그림자가 발아래에 짧게 생기지요. 저녁이 가까 워지면 해의
위
치가 서쪽으로 점점 낮아지면서 해가 지는 방향의 반대쪽인 동쪽으로 긴 그림자가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