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 [냠냠! 어수잼] 달,달, 쟁반같이 둥근 달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7호
- 궤도★ 행성 등이 다른 천체의 주위를 돌면서 그리는 길을 말해요.타원★ 평면 위의 두 점에서 거리의 합이 일정한 점들로 이뤄진 도형이에요. 아래 그림에서 빨간색과 초록색 선의 길이는 같지요. 평균★ 여러 수가 모여 있을 때 이 모임을 대표하는 수를 말해요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33화. 어푸어푸 행성의 영물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7호
- “이 기하학적인 도형은 뭐지?”딱지가 중얼거렸습니다. 개코상어 로봇은 그 무늬 위를 맴돌았습니다. 어두운 빛이 그 무늬를 보더니 외쳤습니다.“아, 이건! 문어 님이 심심할 때 그리는 무늬예요! 문어 님은 말을 못 하셔서 가끔 할 말이 있으면 바닥에 무늬를 그리셨어요. 심심할 때, 배고플 때, ... ...
- [특집] 달나라 자원과 비밀이 묻힌 남극!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7호
- ‘섀클턴 크레이터’라 불리는 크레이터가 있습니다. 섀클턴 크레이터의 가장자리 위에는 달의 남극점이 있어요. 그래서 내부 대부분은 항상 그림자가 지는 영구 음영 지대입니다.달의 영구 음영 지대는 물이 풍부할 것으로 예상돼요. 반대로 섀클턴 크레이터의 가장자리 대부분은 일정하게 햇빛을 ... ...
- [냠냠! 어수잼] 달 주위를 맴맴~ 달 친구 ‘다누리’’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7호
- 지구에서 발사해서 달 근처까지 가는 게 1/3만큼의 성공이라면, 달 표면에서 100km 위의 임무 궤도에 들어가는 것이 1/3, 이후 관측 임무를 잘 수행하는 것이 1/3이겠지요. 이번 다누리 발사가 어린이 독자들에게 우주를 향한 도전적이고 큰 꿈을 갖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어요. 여러분이 과학과 수학에 ... ...
- [수학히어로 출동! 슈퍼M] "뱅글뱅글오래 도는 팽이를 만들려면?"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7호
- 만들어진답니다. 직사각형에 직각삼각형을 붙인 평면도형을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 위의 그림과 같은 팽이가 돼요.이렇게 직선인 축을 기준으로 한 바퀴 회전했을 때 생기는 입체도형을 ‘회전체’라고 해요. 직사각형을 회전하면 원기둥이, 직각삼각형을 회전하면 원뿔이 만들어지지요. 또 ... ...
- [특집] 손 틈으로 사르르, 모래의 법칙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6호
- 이용한 ‘거꾸로 가는 모래시계’도 있어요. 밀도가 낮은 물질은 밀도가 높은 물질의 위로 떠오른다는 법칙을 이용했지요. 모래보다 가벼운 플라스틱 등을 알갱이로 쓰고, 진한 소금물 또는 끈적한 기름을 시계 안에 가득 채워서 알갱이가 쉽게 떠오르도록 해요 ... ...
- [파고캐고 지질학자] 사라지는 지구의 역사를 지켜라! 지질유산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6호
- 주왕산, 제주도, 한탄강, 성류굴…. 작년 1월부터 저와 함께 한 지질여행, 어떠셨나요? 우리나라에는 다양한 시기에 만들어진 다양한 지질 현상의 증 ... 지질학과에서 교수로 재직 중이다. 국제동굴연맹 회장을 역임했으며, IUCN 세계자연유산 심사위원으로 세계의 지질유산을 심사하고 있다 ... ...
- [특집] 물 위로 둥둥~! 잘 뜨는 법칙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16호
- 끼룩~. 사실 난 수영을 못 해. 하지만 똑똑한 갈매기라서 물 위에 뜨는 방법을 알고 있지! 바로 튜브를 타는 거야, 음하핫! 튜브를 탔을 때 가라앉지 않는 이 ... 원리라고도 불러요. 밀도와 부력의 원리가 합쳐져 쇠로 만든 아주 무겁고 커다란 배도 물 위에 안정적으로 뜰 수 있는 거예요 ... ...
- 질문하면 답해 ZOOM!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6호
- 화면으로 많이 이용되는 터치스크린은 주로 정전용량 방식으로 작동해요. 유리판 위에 전기가 흐르는 전극 층이 있어 화면에 손가락을 대면 전극에서 흐르던 전기가 손가락으로 이동해버려 이 전기 흐름의 변화가 인식되는 방식이지요. 이 방식의 터치스크린은 화면을 누르지 않고 만지기만 해도 ... ...
- [가상 인터뷰] 유연한 코끼리 코의 비결은 주름?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16호
- 코를 해부해 늘려 봤더니 코 피부의 위쪽이 아래쪽보다 15% 더 유연한 것도 발견했습니다. 위쪽이 더 잘 늘어나기 때문에 코끼리가 물체를 집을 때 코가 아래쪽으로 휘어지며 감기는 특성이 있는 거지요. 이 연구를 어디에 활용할 수 있을까?연구팀은 코끼리 주름의 특성을 모방해 로봇에 활용할 수 ... ...
이전5354555657585960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