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성공한 사람"(으)로 총 4,281건 검색되었습니다.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사지마비 환자 벌떡 일으킬 뇌-컴퓨터 접속기술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여부에 따라 팔의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었지만, 사람을 대상으로 한 실험이 성공한 건 처음이었습니다. 이후 뇌-컴퓨터 접속기술은 팔뿐만 아니라 사지마비 환자를 움직이는 수준까지 발전했습니다. 최근에는 루이 베나비 프랑스 그르노블대 생물물리학과 명예교수와 ... ...
- 알고 리의 나 혼자 산다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완성할 수 있어요. 패션은 사람마다 멋지다고 생각하는 기준이 ... 아직 이른 시간인데 운동하는 사람을 많이 볼 수 있어요. 멋진 ... 나와 비슷한 신체 정보를 가진 사람들을 개미로, 그들이 한 운동을 여러 개의 길로 생각해보세요. 그 사람들이 선호하는 운동일수록 ... 예를 들어 다이어트 중인 .. ...
- [맛있는 수학] 소시지 추측으로 크리스마스 선물 싸기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차원마다 소시지 모양과 빽빽한 모양을 나눠 계산할 필요도 없고, 5차원 이상에 사는 사람들은 언제든 고민 없이 소시지 모양으로 선물을 포장하면 되는 거죠! 과연 이 추측은 사실일까요? 1998년 울리히 베트케 독일 지겐대학교 교수팀은 소시지 추측에 힘을 싣는 연구 결과를 발표합니다. 베트케 ... ...
- 세포 15개면 잡아낸다 0.1ng의 과학, DNA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염기가 한 단위를 이루며 연속적으로 반복해 만들어진 염기서열인데, STR의 반복횟수는 사람마다 다르기 때문에 여러 개의 STR을 증폭해 DNA 수사에서 지문처럼 활용한다. 이렇게 ... 미제사건에 이 기술을 적용해 범인을 검거하는 성과를 올리고 있다. 2 DNA 메틸화 분석 사람마다 DNA의 특정 부위가 ... ...
- 이변은 없었다 2019 노벨상 리포트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가능하다. 우선 인류의 고령화 자체가 한 가지 원인일 수 있다. 노벨상이 생존해 있는 사람에게만 수여되는 만큼 ‘오래 살아야 노벨상도 받을 수 있다’는 얘기는 기정사실처럼 굳어지고 있다.또 다른 이유도 있다. 구스타프 캘스트란드 스웨덴 노벨박물관 시니어 큐레이터는 2016년 영국 BBC와의 ... ...
- 냉동 캡슐에 들어갔다 나옴! 잘 녹을 수 있음?과학동아 l2019년 11호
- 24시간 동안 냉동인간이 돼보고자 합니다. 사실 사람을 냉동하는 것 자체는 전혀 새롭지 않습니다. 196 ... 최초로 냉동인간이 된 이후, 지난 50여 년간 사람들은 꾸준히 영하 196도 액체 질소 속으로 들어가고 ... 있습니다. 이미 전 세계에 400명이 넘는 사람들이 냉동인간으로 잠들어 있는 것입니다 ... ...
- 인공지능을 둘러싼 쟁점 I SF에 묻는다 ❹과학동아 l2019년 11호
- 길러본 경험이 없습니다. 그런 인공지능이 사람을 돌보는 일이 가능할까요? 지난 호에는 반란을 ... 문을 열어 줍니다. 다이어스퍼의 사람들은 육체를 입고 살아가다가 다시 컴퓨터로 ... 세계로 나가고 싶다는 충동을 느끼는 유일한 사람이기도 합니다. 결국, 앨빈은 한때 지구의 여러 ... 떠나 ... ...
- 로봇공학전공 홀로그램 기술과 딥러닝이 만나면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진단하거나 신약 후보 물질을 시험할 때는 모두 사람의 세포에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 제대로 확인해야 합니다. 이때 사용할 ... 박동 리듬이 동기화되거나 불규칙해지는 과정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데 성공한 것이다. doi: 10.1364/BOE.10.000610 이를 이용하면 신약 개발의 첫 단계에서 약물 후보물질에 ... ...
- 더 강하게 돌아왔다, 터미네이터수학동아 l2019년 11호
- 없는 일로 여겨졌다. 이런 선입견을 깨고 처음으로 자기 복제 로봇을 논리적으로 증명한 사람이 바로 컴퓨터의 아버지, 미국의 수학자 존 폰 노이만이다. 노이만은 연구 끝에 1951년 ... 이름도 복제(Replicating)가 빠른 기계(Rapid-prototyper)라는 말에서 따왔다. 전세계의 많은 사람들이 렙랩 프로젝트에 .. ...
- 멸종위기종 금개구리 신체검사 받던 날과학동아 l2019년 11호
- 찾았다. 휴관일이라 방문객 하나 없이 한산한 그곳에서 유달리 바쁘게 움직이고 있는 두 사람이 있었다.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의 이정현 책임연구원과 권관익 전임연구원이었다. 이날은 지난 7월 방사한 국내 멸종위기종인 금개구리를 올해 마지막으로 모니터링하는 날이었다 ... ...
이전545556575859606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