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남은것"(으)로 총 1,530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우디 그의 생각을 엿보다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 가우디는 성당 내부 곳곳에 수학의 흔적을 남겼다. 성당 가장 높은 곳의 창문이나 작은 장식도 그냥 지나치는 법이 없었다. 성당 내부 창문은 그의 계획대로 쌍곡포물면을 기초로 만들었다.] 스페인 바르셀로나에 가면 가우디의 흔적을 따라 도시를 둘러보는 여행 코스가 ... ...
- PART1. 태양계 행성 여행자를 위한 안내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수 금 지 화 목 토 천 해 (명)’태양계 행성 8개의 이름은 우주에 대해 자세히 모르는 일반인들도 정확히 외우는 상식이다. 하지만 이런 행성들의 특징을 세 가지만 꼽아보라고 한다면? …. 수억~수십억km 떨어진 우리의 이웃(?) 행성들은 이렇게 의외로 잘 알려지지 않은 부분들이 많다. 그래서 준비 ... ...
- [과학뉴스] 장거리 주자도 뛰는 건 괴로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지구 상에서 가장 빠른 장거리 주자도 42.195km를 뛰려면 두 시간이 넘게 걸린다. 그 긴 시간을 달리며 그들은 어떤 생각을 할까. 아무도 궁금해 하지 않았던 이 질문에 답하기 위한 실험이 이뤄졌다.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 노스리지 애슐리 셔먼 교수는 장거리 주자 10명을 선정한 뒤 녹음기를 부착시 ... ...
- [Knowledge] 우주의 풍경을 그려내다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칠레 파라날 천문대에서 촬영한 은하수와 황도광. 사진의 오른쪽에 솟아오른 것이 황도광이다.서호주에서도 이와 비슷한 형태의 황도광을 볼 수 있다. 세상에서 가장 어두운 밤하늘을 만날 수 있는 곳, 문명의 불빛이 전혀 비치지 않는 곳, 오직 별빛만 바라 볼 수 있는 곳. 만약 그런 곳에 홀로 서 ... ...
- 원자를 세는 영원불멸의 수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몰(mol)은 가장 원초적인 단위에요. 과학적인 양을 잴 때 하나, 둘, 셋 등으로 개수를 세면 되거든요. 그런데 몰이 국제표준단위에 들어간 건 화학자의 입김이 컸답니다.”이경석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선임연구원의 말처럼 몰(mol)이 단위로 등장한 것은 화학자들이 기체의 성질을 연구하면서부터다. ... ...
- [생활] 수학으로 사랑을 이해할 수 있을까? 네이든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수학 천재는 수학을 잘 해 항상 행복할까? 적어도 시험 점수로 스트레스 받는 일은 없을 것 같다. 수학에 빠진 소년 ‘네이든’은 인생 최고의 목표인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 도전한다. 그런데 사랑과 죽음처럼 수학으로 이해할 수 없는 문제가 앞을 가로막는다. 네이든이 세상에서 가장 좋아하는 ... ...
- 번데기 한 마리로 갈린 미스터리과학동아 l2015년 07호
- 세월호 사고와 관련해 경찰에게 쫓기던 유병언 씨의 행적이 묘연해진 건 작년 5월 25일이었다. 5월 29일, 유 씨로 추정되는 인물이 CCTV에 찍혔다. 그리곤 두 달 가까이 소식이 끊겼다. 같은 해 7월 22일, 유 씨는 대중 앞에 다시 모습을 드러냈다. 백골이 된 채였다. 경찰은 한 달 전인 6월 12일 야산에서 ... ...
- [Knowledge] 옛 지구의 속살을 보다과학동아 l2015년 07호
- 30억 년 전, 지구가 아주 어렸을 때 이 땅의 모습은 어땠을까.과거의 지구는 지금과 많이 달랐다. 육지는 훨씬 적었고 대부분은 바다로 덮여 있었다. 눈에 보일 만한 생명체는 전혀 없었고, 약간의 미생물만이 물속에 존재했을 뿐이다. 그 중에서도 지금과 가장 다른 점은 대기에 산소가 없었다는 점 ... ...
- [Life & Tech] 산(酸), ‘풍요의 시대’ 연 식품계의 일등 공신과학동아 l2015년 06호
- ‘셰프’가 나오는 텔레비전 요리 프로그램의 전성시대다. 냉장고를 열어 눈에 띈 재료 몇 가지로 뚝딱 근사한 요리를 만들어내는 장면을 보면 신기하다못해 신성한 기분이 들 정도다. 그런데 유명인의 냉장고에서 꺼낸 식재료를 가만히 보다 보면 흥미로운 점을 발견할 수 있다. 고기 등 기본적 ... ...
- “미래의 모든 산업을 이끌어갈 기초과학”과학동아 l2015년 06호
- Q 재료공학을 전공하게 된 계기는.대학에 진학할 때 아버지 지인이 공학 분야에 계셨는데, 그 분으로부터 재료공학을 공부하라는 추천을 받았어요. 사실 당시엔 재료공학보다 다른 전공들이 더 주목을 많이 받던 시기였어요. 그런데도 재료공학을 추천하신 건 아마 모든 학문의 기초라고 생각하셨 ... ...
이전54555657585960616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