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분
차별
분할
갈라내기
선별
분류
분리
d라이브러리
"
구별
"(으)로 총 1,704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뿔을 조심하세요!” 트리케라톱스의 뿔은 싸움용?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사냥할 때 쓰는 건 아닐 텐데….그 동안 대부분의 과학자들은 제 뿔이 의사소통과 동족을
구별
하는 수단으로 쓰였을 거라고 추측해왔어요. 그런데 최근 미국 레이먼드 M. 엘프 고생물박물관 연구팀은 트리케라톱스의 뿔이 싸움을 하는 데도 쓰였을 거라는 연구결과를 발표했어요. 트리케라톱스와 ... ...
[생물]최적의 현미경, 최적의 온도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0.61×0.0025/5X1013 (nm)이다. 다른 조건이 모두 이상적인 경우 최대 약 0.3nm거리의 두 점을
구별
할 수 있다. 즉 짧은 파장의 전자선을 사용하는 전자현미경이 가시광선을 이용하는 일반 광학현미경보다 분해능이 훨씬 더좋다. Q2다음 제시문을 읽고 물음에 답하라. (가) 어떤 물질이 가지고 있는 에너지의 ... ...
하와이 제도에서 찾은 진화의 증거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구애 행동이 가장 복잡하다고 가정해보자. 과연 구애행동으로 가장 오래된 초파리 종을
구별
하는 것이 합당한지를 설명하라.전문가 클리닉1) 제시문에서 하와이 제도의 생성과정과 지리적인 특성을 통해 초파리가 하와이 제도에 퍼지게된 과정과 분화 과정을 추론해야 합니다.2) 종의분화가 어떻게 ... ...
라면 한 그릇으로 맛보는 화학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빨리 돌리면 불꽃 링으로 보이는 장면을 연상하면 된다.원자가 수소인지 산소인지를
구별
하게 하는 건 양성자의 수다. 양성자가 하나면 수소원자, 8개면 산소원자다. 원자의 양성자 개수가 바로 그 원자의 원자번호다. 한 원자에서 전자 개수는 바뀔 수 있다. 수소원자에 전자가 하나 있으면 중성인 ... ...
SF거장 4인방, 상상 그 너머에 세계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많은 부분에서 클라크의 상상력에 빚을 지고 있다.“충분히 발달한 첨단 기술은 마법과
구별
할 수 없다.” -아서 클라크500여 편이 넘는 작품을 남긴 아이작 아시모프아이작 아시모프(1920~1992)는 아서 클라크와 함께 동시대를 대표하던 SF작가다. 진취적인 인물상, 낙관적인 미래, 사회와 개인의 관계, ... ...
DNA검사에 숨어 있는 확률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오류는 P(DNA가 일치한다|범인이 아니다)와 P(범인이 아니다|DNA가 일치한다)의 차이를
구별
하지 못한데서 발생한 것이다. 몬티 홀 문제를 다시 보자.문제TV쇼 진행자 몬티 홀은 행운에 도전하는 출연자에게 3개의 문을 보여준다. 문마다 1에서 3까지 번호가 매겨져 있다. 3개의 방 중 하나에는 최신형 ... ...
생물진화 실험장! 갈라파고스 섬에 가다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150년에서 200년을 산다.다윈은 섬 주민들이 거북의 생김새만 보고 어느 섬에서 왔는지
구별
할 줄 아는 것을 신기하게 생각했다. 그는 각 섬에 사는 거북들의 등딱지 모양이 조금씩 다르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찰스 섬과 거기서 가장 가까운 후드 섬에 사는 거북은 등딱지의 목 부근이 위로 올라간 ... ...
무지개빛 프리지아 부케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서로 교배해 얻은, 사람이 인위적으로 선별한 품종들이다. 그래서 육종된 품종의 학명을
구별
해 ‘잡종 프리지아’란 뜻의 ‘프리지아 하이브리다’(Freesia hybrida)라고 부르기도 한다.“예전에 남아프리카를 가봤는데 프리지아가 자라기에 딱 맞는 날씨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강수량이 우리나라 ... ...
봄철 생선의 대표 도다리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넙치가자미처럼 눈이 왼쪽에 붙은 종류가 있으므로 눈의 위치만으로 가자미류를 정확히
구별
할 수는 없다.가자미류를 한자로 접어(.魚)라고 부른다. 나비가 날개를 퍼덕이듯 헤엄친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옛사람들은 우리나라를 접역(.域)이라고 불렀다. 가자미류가 많이 나는 곳이라는 ... ...
복제기술이 꽃피우는 바이오혁명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만들었죠. 오른쪽에 있는 녀석이 그 중 하나로 벌써 7살입니다.”둘을 보니 외모로는
구별
하기 어렵다. 흥미롭게도 이 녀석들은 뿔이 아래로 휘어 있는데 그 모양이나 휜 정도도 똑같았다. 워낙 뿔 모양이 특이해 다른 소들 사이에서 금방 눈에 띄었다.“저쪽에 있는 소도 K9849의 복제소 아닌가요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