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하수
성운
d라이브러리
"
은하
"(으)로 총 1,021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에서 발견된 얼음 저수지
과학동아
l
200209
라고도 한다 국부
은하
군이 라고도 한다 약 207R의 성운 중 7개의 나선상 성운(우리
은하
· 안드로메다 성운 · 삼각자리 성운 등), 3개의 불규칙 성운(대소의 마젤란 성운 등), 4개의 타원 성운(안드로메다 성운의 伴星雲 등) 외에 이른바 왜성운(矮星雲)이 총수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 별의 내부나 대기 ... ...
바이러스 복제 차단하는 새로운 에이즈 치료제
과학동아
l
200208
때문에 다르송발계기, 미국의 E 웨스튼 이 공업화하였기 때문에 웨스튼계기라고도 한다
은하
성운의 하나이며 원형이나 타원형의 행성상(行星狀) 성운의 대표적인 것 환상성운(環狀星雲)이라고도 하며 거문고자리 β별 가까이에 있기 때문에 거문고자리의 가락지성운이라고도 한다 표면에 ... ...
딥 임팩트 vs 아마겟돈
과학동아
l
200208
미사일처럼 특정 도시에 소행성을 떨어뜨릴 수도 있다. 영화 ‘스타쉽 트루퍼스’에서는
은하
계 반대쪽의 지능을 가진 곤충들이 소행성의 궤도를 바꿔 지구를 공격한다.1백년 전만 해도 남극은 모험가들의 꿈과 동경 이상이 아니었다. 그러나 지금의 남극은 각종 자원의 보물창고로 주목받고 있다. ... ...
미리가본 한여름의 별축제
과학동아
l
200208
생성, 인간과의 관계 등에 대해서도 자세한 설명이 이뤄진다.제 5전시관 - 우리
은하
관상상 속의 우주 공간이 꾸며진 전시관이다. 벅찬 감동으로 다가오는 우주의 모습이 재현된다 ... ...
태양계 너머 또다른 목성이 있다
과학동아
l
200208
나간 행성으로 추정된다. 구상성단은 수십만-수백만개의 별들이 모여 있는 천체로 우리
은하
에 약 1백여개가 존재한다. 따로 떨어져 있는 낱별에서뿐만 아니라 구상성단 내에도 행성이 존재한다는 사실 역시 행성이 상당히 많이 존재할 가능성을 보여준다.또 올 2월에는 주계열성이 아닌 ... ...
우주에서 응원한 붉은악마 성운
과학동아
l
200207
닮은 성운이었다. ‘유령머리’라는 별칭을 가진 이 성운은 우리
은하
의 이웃인 대마젤란
은하
에 있다. 사진을 보면 눈에 도깨비불을 켠 무서운 악마의 모습이 연상된다.6월 한달을 뜨겁게 달궜던 월드컵에서 붉은악마는 전세계에 주목을 받았다. 미국 휴스턴 크로니클지의 칼럼은 길거리응원에 대해 ... ...
2. 태초에 수소가 있었다
과학동아
l
200206
원소를 만들 가능성이 눈 깜짝할 사이에 사라져버린 것이다. 그러나 수억년 후 별과
은하
가 생기고 별의 내부에서 원소의 합성이 재개될 때, 신은 수소를 다시 한번 모든 원소의 기본재료로 사용한다. 태양과 같은 주계열성의 별은 일생의 대부분을 수소의 융합으로 보내는 것이다.주계열성은 별의 ... ...
까마귀 옆에 있는 더듬이의 정체
과학동아
l
200205
까마귀자리 근처에는 곤충의 더듬이 모양을 한 천체가 있다. 이 더듬이 천체의 정체는 놀랍게도 우주 최대의 교통사고 현장이라고 하는데…웬만큼 별이 보이는 지 ... 스치듯 지나갈지 정면으로 충돌할지는 잘 모르지만. 물론 먼 훗날의 얘기지만, 더듬이
은하
의 일이 남의 일 같지 않다 ... ...
제10회 천체사진공모전 당선작 - 북아메리카성운
과학동아
l
200204
권오철씨의 ‘사자자리 유성우’가 주목을 받았다. 또 청소년 부문에서는 안드로메다
은하
를 찍어 동상을 획득한 김동희군의 작품이 눈길을 끌었다.한편 모든 당선작은 한국천문연구원(www.kao.re.kr)과 동아사이언스(www.dongaScience.com) 홈페이지에 함께 공개되고, 당선작에 대한 시상식은 4월중에 대전 ... ...
ET vs 에어리언
과학동아
l
200204
태양과 같은 항성이 수천억개 이상 존재한다. 그리고 우주에는 수천억개 이상의
은하
계가 존재한다. 이렇게 많은 별들 어딘가에 고도의 문명을 가진 지적 생명체가 존재하지 않으리란 법은 없다. 인간만이 유일한 지적 생명체라는 생각은 우물 밖의 세상을 모르는 개구리와 같다.외계의 지성을 찾는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