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d라이브러리
"
지구
"(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의 유전자는 멀티 플레이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성공한다면 우리는 정확한 유전자 지도를 갖고 암과 유전병을 정복할 수 있을 것이다. 또
지구
생명체의 진화과정과 인류의 진화 역사를 정확히 알아낼 수도 있을 것이다.예상보다 훨씬 적은 것으로 판명된 인간 유전자 수는 ‘양보다는 질’이라는 격언을 되새기게 하며 우리나라에서도 게놈 ... ...
동해에서 육지가 떠오른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어떤 일이 일어날까. 오랜 지질시대가 지난 후에 지하 깊은 곳에서 판구조운동이나
지구
조운동이 일어나 현무암질 해양지각보다 밀도가 낮은 화강암질 대륙지각이 위로 떠오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즉 울릉도 부근 동해 해저기반이 융기해 동해가 사라질 수 있다는 얘기다. 그러면 한반도와 ... ...
우주에서 보낸 '핼러윈 데이'의 메시지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스피처가 포착한 우주 귀신은 사실 우리 은하에 있는 ‘DR6’이라는 성운이다. DR6은
지구
에서 백조자리 방향으로 3900광년이나 떨어져 있다. DR6이 이런 모습을 하게 된데는 가스와 먼지가 뭉쳐진 성운에서 태어난 별들이 큰 역할을 했다.귀신의 ‘코’ 부분을 잘 보면 10여개의 별들이 있다. 이들이 ... ...
'딥 임팩트' 우주선 혜성 향해 발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천문학자 마이클 에이헌은 “충돌은
지구
에서 1억2천8백만km 떨어진 곳에서 일어나지만
지구
의 특정 위치에서는 소형 망원경으로 관측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앞서 올해 1월 NASA의 혜성 탐사선 ‘스타더스트’ 는 ‘빌트2’ 혜성에 접근해 혜성의 핵을 촬영했지만 직접 혜성에 충돌하는 것은 ... ...
상업 우주관광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상금을 주겠다고 발표했다. 조건은 조종사 1명에 승객 2명, 또는 이에 준하는 중량을 싣고
지구
대기권과 우주공간의 경계선인 고도 1백km에 도달해 귀환한 뒤 2주 안에 똑같은 비행에 성공하는 것이었다.이번 성공은 앞으로 본격적인 상업 우주여행 시대를 예고하고 있다. 스페이스십원의 ... ...
백두산만한 소행성
지구
스쳐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5.4일과 7.3일 등 2가지를 갖게 된 것으로 보고 있다.미 항공우주국(NASA) 단 요먼스
지구
인접물체연구소(NEOPO) 소장은 “토타티스의 궤도는 매우 잘 알려져 있으며 이번과 같은 근접현상은 앞으로 5백년 후 다시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 ...
2080년 '초강력 태풍' 출현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지금과 비슷하더라도 강도는 훨씬 세기 때문에 피해가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또
지구
온난화로 바다 수위가 올라가기 때문에 태풍에 따른 바닷물 범람 피해도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 ...
사이언스와 미 과학재단 선정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곳에서도 들렸다고 한다.사진부문 2등 흑해 황철광디 브레거, 컬럼비아대 라몬트-도허티
지구
관측소 사진부문 1등을 한 디 브레거의 또 다른 수상작. 이 사진은 흑해의 퇴적층에서 얻은 코콜리소포리드(coccolithophorid)라는 미세 플랑크톤 안에 형성된 황철광 결정 덩어리를 보여주고 있다. ... ...
세계 3번째로 큰 공룡 한국에 왔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안에 있는 지질박물관에는 티라노사우르스의 복제 화석과 함께 지름 7m 크기의
지구
본, 옛날 대륙의 모양 등을 볼 수 있다.전남 해남의 땅끝해양자연사박물관에는 대형 해양 디오라마와 함께 흑범고래 및 긴부리참돌고래의 박제, 여러 게와 가재, 수만 점의 조개 표본이 전시돼 있다 ... ...
'풍력' 세계 전력수요 충분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풍력 발전량이 현재 소비량의 3백배에 달했고, 캐나다는 32배, 남아프리카는 13배였다.
지구
평균은 6배였다. 그러나 서유럽은 2배에 그쳤으며 인구 밀집도가 가장 높은 동남 아시아는 바람 자원이 부족해 풍력만으로는 충분한 전기를 생산할 수 없는 것으로 분석됐다 ... ...
이전
583
584
585
586
587
588
589
590
59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