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위논문
논제
시문
석사논문
석사
박사 학위 논문
글
뉴스
"
논문
"(으)로 총 6,513건 검색되었습니다.
STEM, 과학자 양성 위한 최적의 교육일까
2015.07.19
미국 캘리포니아 버클리대(UC버클리) 연구팀이 인공지능 기술의 진보를 정리한 리뷰
논문
을 실었다. 연구팀은 인공지능에서 빅데이터를 처리하는 기술과 통계에 대해서도 정리했다. 인공지능에서 주목받는 분야 중 하나는 언어다. 우리말로 통화하더라도 상대방에게 자동으로 상대방의 ... ...
‘바이오해커’를 아십니까
2015.07.19
다른 사람에게 자신의 연구 내용을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논문
을 작성하는 방법뿐 아니라 연구 결과를 그래프와 그림 등의 방법으로 알기 쉽게 전달하는 노하우를 전수한다. 이 책은 번역가가 아닌 과학자들이 번역했다는 점에서 더 신뢰가 간다. 중견 과학자들이 ... ...
‘춤추는 나노입자’를 따라서…
2015.07.17
연구를 계속 진행해 올해 3월에도 ‘네이처 나노테크놀로지’에 함께 이름을 올렸다.
논문
에는 그래핀 위에서 금속 나노 와이어가 자라는 현상을 관찰하고 이를 이용해 ‘그래핀 나노 리본’을 개발한 성과가 담겼다. 박 연구원은 “액체 상태에서 나노입자의 3차원 구조를 직접 관찰한 건 이번이 ... ...
매머드 때문에…황우석 박사, 박세필 교수 등 고소
2015.07.15
황우석 박사가 매머드의 세포를 복제하는 데 참여한 연구진들을 고발한 것으로 확인됐다. 황 박사가 소속된 수암생명공학연구원 관계 ... 작성하는 상황이라면 시료를 제공한 연구자보다는 직접 연구를 수행한 연구자들이
논문
에 더 많은 기여를 한 것으로 보는 것이 관례”라고 밝혔다. ... ...
질소 고정, 콩과식물만의 능력인가?
2015.07.13
학술지 ‘작물과학’ 7/8월호에는 도티 교수가 워크숍에서 발표한 내용을 담은
논문
이 실렸다. 기사를 보면 이런 주장에 대해 워크숍에 참석한 과학자들은 조심스러운 태도를 보이고 있는데, 무엇보다도 질소고정이 그렇게 간단한 작업이 아니기 때문이다. 즉 질소고정효소는 산소가 있으면 ... ...
뇌 3개 연결해 뇌 하나처럼 쓴다
2015.07.10
사전 실험으로 쥐 3, 4마리의 뇌를 연결해 간단한 임무를 수행하게 한 뒤 그 결과를 3월
논문
으로 발표했다. 실험 성공으로 브레인넷의 가능성을 확인한 연구진은 이번에 영장류에 속하는 원숭이 3마리의 뇌를 연결해 좀 더 복잡한 임무에 도전하게 했다. 먼저 원숭이 3마리의 뇌에서 움직임을 ... ...
난소암으로 별세한 UNIST 교수의 ‘마지막
논문
’
2015.07.07
예방할 수 있는 백신 개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번 연구 성과가 실린
논문
이 완성된 건 1년 전이지만 심사 과정에 여러 차례 추가 실험 요구에 따라 지난달 30일에야 비로소 빛을 볼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도 교수는 올해 1월 이후 몸 상태가 급격히 나빠진 이후에도 연구를 계속했다. ... ...
“원세훈 전 국정원장 선거법 위반 판결 핵심은 디지털포렌식”
2015.07.06
선거법 위반 판결이 나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e메일 헤더’ 분석과 관련한
논문
을 썼다. e메일 헤더란 e메일을 주고받을 때 자동으로 기록되는 전송 정보로 메일을 보낸 시간과 메일의 전달 경로를 알 수 있는 IP주소를 포함한다. 대부분의 공안사건 증거는 e메일 등 디지털 기록임에도 ... ...
‘유전적 사촌’ 매머드와 코끼리, 뭐가 다를까요
2015.07.03
체지방이 많아 몸이 커졌으며, 추위를 덜 느끼게 돼 추위에 강한 동물이 됐다는 의미다.
논문
의 제1 저자인 빈센트 린치 시카고대 교수는 “이번에 찾아낸 유전자는 매머드가 생존을 위해 빙하기에 적응한 결과일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셀’ 자매지 ‘셀 리포트’ 2일자에 실렸다. ... ...
PART 01. 光의 시대, 光테크를 보여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15.06.30
한 사람으로서 보람을 느낀다”고 답했다. 그는 청색 LED 연구를 우연히(대학 졸업
논문
을 쓰기 위해) 시작하게 됐다고 밝혔다. 그래서인지 추가로 연구하고 싶은 분야도 많았다. 아마노 교수는 “친인간적인 해양환경 조명을 만들거나 빛을 이용해 물을 정화하는 기술 등에 관심이 많다”고 ... ...
이전
582
583
584
585
586
587
588
589
5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