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d라이브러리
"
에너지
"(으)로 총 5,920건 검색되었습니다.
방사능, 아무리 적은 양도 안전하지 않다.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세포는 방사선에 민감하기 때문에 어린이가 방사선에 더 취약하다. 방사선은 높은
에너지
를 갖기 때문에 물을 화학적 반응도가 높은 H와 OH기(基)로 나눈다. 이 기가 DNA의 유전정보를 교란시키는 것이다. 아무리 적은 양의 α선과 β선이라도 유전자와 그곳에 저장된 수천의 헬륨이온이나 전자를 갖는 ... ...
믿을 수 없는 '과학확률' 10여년간 150여건의 중대사고 발생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예측할 수 없는 사소한 인간적 실수로 대형참사는 계속 빚어지고 있다.미국 원자력
에너지
위원회의 용역을 받은 '라스무센'은 1974년 원자력 발전소의 안전성에 관한 보고서에서 노심용융(멜트다운, Melt Down)이 일어날 확률은 1만7천년에 한번 꼴이라고 했다. 그러나 실제로는 크고 작은 사고들이 ... ...
살아 움직이는 지구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천체이다. 그 생명력은 인간의 힘이 미치지 못하는 지구내부의 방대한
에너지
이다. 이
에너지
가 끊임없이 지각을 움직여 대양을 만들고 대륙을 이동시키고 산맥을 만든다.그래도 지구는 움직인다 이탈리아의 철학자 천문학자 물리학자 '갈릴레오'는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을 지지했다하여 ... ...
초음파 모터 실용화 단계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그 마찰력을 이용하여 회전력을 얻는다. 이 방식에는 두 가지가 있는데 '고정파 방식'은
에너지
의 변환효율이 높은 반면 일부만이 접촉되어 있어 마모가 심하다. 또 하나의 '진행파 방식'은 접촉부분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키기 때문에 마모는 작지만 변환효율이 종래보다 25% 낮다. '마쯔시타' ... ...
도시기온이 높아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인간에 의한 기후변조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것은 도시에서 방출되는 각종 열
에너지
가 도시의 상공을 덮고 있는 대기를 가열하기 때문에 형성된다. 또한 도시는 고층빌딩과 도로의 면적률이 큰 것이 특징인데, 이것들은 열을 많이 받아들이고 많이 저장할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야간에는 ... ...
국토개발과 기후변화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변하게 된다. 따라서 농경지의 개발, 댐건설, 하천유로의 변경, 해류의 변경 그리고 태양
에너지
의 인공조절 등으로 지표를 변화시키는 일들이 포함된 국토개발사업이 기후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예를 들어보자. 아프리카의 콩고강은 연간 1천2백60㎦의 막대한 유출량을 갖고 있다. ... ...
기적의 영양소 토코페롤 그러나 인스턴트 식품에 첨가할 때엔…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승패는 생리적으로만 따진다면 세포내의
에너지
생산기관인 '미토콘드리아'에서의
에너지
생산 능력에 달려있다고 볼 수도 있다. 토코페롤은 체내의 산소소비량을 43%나 절약할 수 있는 능력을 발휘한다. 이것은 세포에 더 많은 산소를 공급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올림픽사상 천재적 ... ...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대참사 안전관리 무시한 예측된 사고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한다는 문제도 제기될 것으로 보인다.미국과 유럽 기업들의 원자력 발전소 수출도 핵
에너지
에 대한 불신이 번지면 영향을 받게 될 것이다. 원자력 산업계는 체르노빌 사고가 그들 업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점에는 이견이 없다. 다만 그 영향이 얼마나 심각할 것인가에 대해서만 의견이 ... ...
태양없어도 살 수 있다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두고 있는 것이다. 그러면 햇볕이 전혀 쬐지않는 어두운 깊은 바다에 사는 동물은 어떻게
에너지
를 구할 수 있을까. 연구팀은 로보트 잠수함을 이용해 이들 게나 지렁이류가 살수 있는 조건을 알아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심해에는 바위틈에서 솟아나는 뜨겁고 미네랄이 들어있는 물이 있다 ... ...
기상의 인공조절은 어디까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양의
에너지
를 직접 주입하여 현상을 강제로 변화시키는 방식이며, 둘째는 약간의
에너지
를 적절히 주입하여 현상을 일으키는 물리과정을 조절하는 방식이다. 세째는 지표면의 물리적 성질을 변화시켜 대기계와 지표면간의 열교환 과정을 변화시키고 따라서 이를 통해 장기적인 날씨의 변화를 ... ...
이전
582
583
584
585
586
587
588
589
59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