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d라이브러리
"
우주
"(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목성·혜성충돌, 지름 3천㎞ 버섯구름의 대장관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가능성이 있다"고 밝히면서 "이는 단지 확률일 뿐 언제 일어날지 모르기 때문에 항상
우주
망원경을 통한 경계를 게을리 해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이처럼 지구와 소행성총돌에 인류가 관심을 기울이는 이유는 6천5백만년 전 갑자기 사라진 공룡의 멸종 원인이 소행성충돌에 의한 지구 기온의 한냉화 ... ...
1. 현대물리학 혁명 입자·파동 두얼굴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유기적 연관관계도 알수 있게 되었던 것이다. 또한 물질과 우리들 자신의 존재가 어떠한
우주
적연관관계를 맺고 있는가도 알게 되었다. 또한 빛과 물질의 상호작용을 연구하다가 우리는 물질의 입자성과 파동성을 밝히게 되었고, 이러한 지식들은 지금 이 시간에도 '산업화된 혜택'으로서 우리 ... ...
밤하늘이 어두운 까닭은 은하의 나이 때문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나온 빛이 합쳐져서 밤하늘이 밝으리라고 한 추론은 틀리다. 밤하늘은 은하들이
우주
의 밤을 밝힐 만큼 충분한 양의 빛을 아직 내놓지 못했기 때문에(젊기 때문에) 어두운 것이다 ... ...
물리 - 만약 세상에 마찰이 없다면…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바닥에 놓여 있는 어떤 물체를 밀 때 바닥과의 마찰을 피할 수 없다.우리는 거대한
우주
의 태양계 안에서 세번째 행성인 지구 표면에서 살고 있다. 공기는 그 지구의 표면을 얇게 싸고 있는 기체이며 우리는 그 속을 떠나서는 한시도 살수가 없다. 이렇게 우리는 더 넓은 보편적인 세상이 아니고 ... ...
바다 온도 음파측정 돌연 중단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성과를 가져올 '노다지'처럼 비쳤다.지구온난화 현상의 손꼽히는 분석가이자 고다드
우주
연구소 소장인 제임스 한센 박사는 "대양은 기후시스템의 '회전조절용 바퀴'다. 대양은 상승온난기류의 관성저항을 만들어낸다. 또한 대양은 기후변화를 찾는 가장 좋은 장소인데, 변화가 천천히 일어나기 ... ...
2000년 1백인승 중형항공기 선보인다
과학동아
l
1994년 05호
1954년 공군수리창에서 L-19급소형기 「부활」을 자체개발한 후 40년, 한국은 현재 5인승 경항공기 「창공91」을 개발해 시험비행중이며 F-5E/F 전 ... 추세 등을 감안해 보면 우리가 살고 있는 이 90년대야말로 정부 주도하에 항공
우주
산업을 육성해 국제경쟁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마지막 기회다 ... ...
3. '지구의 허파' 열대우림 파괴는 어떤 핵전쟁보다 끔찍한 일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인류가 제2의 안식처로 삼기에 가장 적합한 곳으로 오래 전부터 손꼽혀왔다.바이킹
우주
선이 찍어보낸 사진들에 의하면 그 지표면에는 물이 말라버린 운하 형태가 무수히 발견된다. 극히 얇지만 대기권이 존재하여 구름과 모래 폭풍우의 현상도 나타나는 듯하다.러브록의 에코포이시스 ... ...
PARTⅢ 의료·유전공학·에너지 분야서 2천년대 국가 경쟁력 좌우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위한 것과, 열에너지 자체를 이용해서 난방 공정열 등으로 사용하는 것, 선박이나
우주
선 등의 추진력으로 사용하는 것 등으로 나눌 수 있다. 방사선이나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하는 분야는 적용되는 산업분야에 따라 의학적이용 공학적이용 농학적이용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에너지 이용분야는 ... ...
밤하늘은 왜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계속 얘기해 보도록 하자. 천문소식■ 94별축제천문대와 한국아마추어천문학회, 한국
우주
소년단에서 주최하는 '94 별의 축제'가 4월16일 오후 5시부터 올림픽대교 남단 한강고수부지 용성레저타운에서 개최된다.평소 별을 보고 싶어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개방되는 이 행사는 천체와 관련된 강연 ... ...
4. 새로운 과학인가 20세기 신화인가
과학동아
l
1994년 04호
하더라도 그것만으로는 이 대지가 살아 있다는 증명이 되지 못함을 그는 인정한다. 그는
우주
공간으로의 여행이 지구를 육안으로 보게 해 주었을 뿐 아니라 지구상의 생물과 무생물 사이 상호작용에 관한 새로운 직관을 제공해줌으로써 이를 바탕으로 하나의 가설이 성립될 수 있게 되었다고 ... ...
이전
581
582
583
584
585
586
587
588
58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