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코스모스
만물
스페이스
유니버스
공간
천지
외계
d라이브러리
"
우주
"(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4) 슈메이커-레비 혜성, 새 목성테 형성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근거가 없는 '희망사항'일 뿐이다.그러나 인간의 예측에는 언제나 한계가 있는 법. 이번 '
우주
쇼'를 감상하고 나서야 예견이 맞았나 틀렸나를 알 수 있다 ... ...
PART.2 게임기에서 의학용까지 무한대 활용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있다는 등의 화산 핵심 구조를 명확히 인식할 수 있다.미국 항공회사인 록히드사는
우주
시스템부의 태양판넬에 대한 검사응용에 이 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이 기술 응용 전까지 검사자는 각 태양판넬의 면에 있는 많은 수의 회로가 단절됐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현미경을 통해 판델의 앞 뒤로 ... ...
(2) 혜성, 10여개 매년 지구 접근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가스는 함께 튀어나온 먼지와 더불어 주위의 공간으로 유출된다.1986년 핼리혜성에
우주
선 지오토를 보내 핵의 사진을 직접 촬영하기까지 우리는 혜성의 핵의 색깔이나 크기에 대해 거의 모르고 있었다. (사진2)는 지오토가 핼리혜성에 근접해 찍은 핼리혜성의 핵이다. 핵의 길이는 대충 16㎞이고 ... ...
화학- 연료, '일과 열'로 에너지 변환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_{4}$)은 진한 질산과 반응하며 이때 많은 양의 에너지를 방출한다. 이 연료는 공기가 없는
우주
공간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함께 생각해봅시다메탄 1몰(16g)을 연소시킬 때 방출되는 순수한 에너지를 계산해보자. 이를 위해 1몰의 결합을 끊는데 사용되는 결합에너지의 측정결과를 이용하자 ... ...
(3) 지름 1백m 소행성, 1만년 한번꼴 지구 충돌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현재 궤도가 확실히 밝혀진 소행성만도 5천개가 넘는다. 그러나 이 숫자는 10만개가 넘는 것으로 추정되는 전체 소행성에 비하면 아주 적은 수다. 이들은 ... 궤도를 바꾸거나 파괴시키는 것"이라고 말했다. 물론 이는 세계가 공동으로 철저하게
우주
경계를 편다는 전제 하에서의 이야기다 ... ...
애틀랜타 '94 봄 컴덱스 쇼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밝힌 그는(지난 3월 21일 그는 맥코 셀룰러사의 맥코회장과 함께 8백여개의 위성을 띄워
우주
공간에 정보고속도로를 구축한다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정보 고속도로에 관한 모종의 프로젝트(터치다운)를 진행중이라고 말했다.그가 기조 연설을 통해 밝힌 마이크로소프트의 ... ...
신호 생성기술 응용, 누수 근원 찾는다
과학동아
l
1994년 07호
누수현상을 정확히 알아내는 방법은 없을까.근착 뉴사이언티스트지에 의하면 애초 유럽
우주
기구(ESA)가 위성 통신을 위해 고안, 발전시킨 신호생성기술(signal processing)이 앞으로는 수도관의 누수지점을 찾는데 긴요하게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이 누수감지 방법은 수도관의 누수가 만들어내는 특징적 ... ...
'컴퓨터 전국 입체지도, 2001년 완성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위성을 이용한 자동위치측지시스템(GPS)는 정확한 전자지도 지도제작에 크게 기여했다.
우주
궤도에 발사된 24개의 위성중 3개 이상을 이용해 위치측정을 할 수 있는 GPS는 이같은 GIS 대중화를 크게 자극시킬 수 있게 됐다.선진외국은 이같은 국토지리정보시스템 구축작업을 이미 오래 전에 착수해 ... ...
지평선 위의 태양이 찌그러지는 이유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노란색 붉은색은 산란이라는 전혀 다른 효과에 의한 것으로 산란 효과가 없다면 하늘은
우주
에서처럼 검은색으로 보일 것이다. 산란과 굴절의 차이는 산란은 매질을 통과하지 않는 반면 굴절은 매질을 통과한다.산란의 정도는 입자의 크기와 빛의 파장의 길이에 달려있다. 어떤 빛의 파장보다 큰 ... ...
역대 대통령 과학성적
과학동아
l
1994년 06호
2차대전에서 엉망이 된 프랑스의 자존심을 되살려냈다. 케네디는 1957년 소련이 먼저
우주
선을 쏘아올린 '스푸트니크 쇼크'에 맞서 아폴로계획(Man on the Moon)을 성공시켜 '위대한 미국'의 콧대를 높였다. 나카소네와 네루도 원자력 등 과학기술에 남다른 관심을 쏟아 각각 일본과 인도의 부국강병을 ... ...
이전
579
580
581
582
583
584
585
586
5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