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도덕과학
도덕
문화과학
문화
보존과학
보존
d라이브러리
"
과학
"(으)로 총 1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내가 바로 미래의 친환경 자동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8
어때요? 정말 멋지죠? ‘2011 서울모터쇼’에서 미래형 자동차를 주제로 열린 대학생 자동차 디자인 공모전에서 대상을 받은 작품이에요.이번 공모전에는 한국은 물론 미국, 독일, 영국 등 17개 나라에서 176개 작품이 출품됐어요. 이 중에서 미국의 아트센터디자인대학교에 다니는 윤한빈 형의 작품 ... ...
종교에서
과학
으로 그림 속 동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8
화가인지
과학
자인지 분간하기 어려울 정도로 자세한 그림이 그려졌어요. 이런 그림들은
과학
도감으로도 손색이 없어서 후세 사람들을 놀라게 하고 있답니다 ... ...
15의 환경
과학
자를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8
“단지 예쁘게 보이기 위해 켜놓은 아파트의 야간 조명 때문에 작은 생명이 피해를 입고 있습니다!”청중들은 어린 환경
과학
자의 말에 귀 기울이고 있었어 ... 이런 게 바로 진짜 자기주도학습이자 자유탐구가 아닐까요?
과학
을 사랑하는 ‘어린이
과학
동아’ 친구들도 꼭 도전해 보세요 ... ...
PART 3 미녀새 이신바예바보다 더 높이
수학동아
l
201108
다리를 최대한 앞으로 뻗고 가능하면 앞으로 넘어지려는 노력이 필요한 이유예요.
과학
자들은 사람이 멀리 뛸 수 있는 최고거리를 남자는 자기 키의 4.5배, 여자는 4배 정도로 추정하고 있어요. 20년째 제자리인 멀리뛰기 기록이 과연 언제쯤 깨질까요? 또 9m의 벽은 과연 누가 깰 수 있을까요? tip ... ...
도시를 건강하게! 숲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7
숲이 많이 만들어지고 있어. 하지만 아직은 아기 숲에 불과하지. 그렇지만 ‘어린이
과학
동아’ 친구들이 도시의 숲을 아끼고 가꾸어 준다면 머지않아 울창한 숲으로 자라날 거야. 나무 심기는 물론 숲의 쓰레기 줍기, 새싹 밟지 않기 등 숲을 아끼는 방법은 다양해. 친구들도 숲을 푸르게 가꾸는 데 ... ...
빛을 볼 수 있게 해 주는 기적의 안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7
저는 아직 무척 비싸답니다. 우리 돈으로 무려 1억 2000만 원 정도나 하거든요. 하지만
과학
자들의 끊임없는 연구로 곧 더 잘 보이고 더 값싼 기적의 안경이 개발되겠죠? 앞으로 많은 사람들의 눈이 되어 활약할 저의 멋진 모습, 많이 기대해 주세요 ... ...
PART 3 비누막이 제시하는 최적화 해법
수학동아
l
201107
최소화하는 방법은?’ 부피가 일정할 때 표면적이 최소인 모양으로 채우는 문제다. 1887년
과학
자 켈빈경은 사각형 6개와 육각형 8개로 이뤄진 십사면체가 정답이라고 생각했다. 하지만 비누거품에서 이런 모양이 발견되지 않았다. 1993년 웨이어와 펠란은 컴퓨터로 이 문제를 해결했다. 그들이 찾은 ... ...
Intro. 토네이도 vs 토네이도 헌터
과학동아
l
201107
여기는 미국 캔자스 주. 올해 미국에서 1300개가 넘는 토네이도가 발생해 520여 명이 죽었다는 소식을 듣고 사진작가와 함께 무작정 짐을 꾸려 날아왔다. 토네이도를 ... 1. 회오리 뒤쫓는 '바람사냥꾼' (인포그래픽)Part 2. 오후 6시가 되면 마법사가 깨어난다Part 3.
과학
이 만든 '착한 토네이도 ... ...
Part 2. 오후 6시가 되면 마법사가 깨어난다
과학동아
l
201107
※ 편집자 주 - 본문에 나오는 ‘폭풍’은 ‘폭우와 우박을 동반한 폭풍 (사나운 바람)’을 말합니다. 전문가들은 ‘스톰’이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올해 미국에 ... 회오리 뒤쫓는 '바람사냥꾼' (인포그래픽)Part 2. 오후 6시가 되면 마법사가 깨어난다Part 3.
과학
이 만든 '착한 토네이도 ... ...
진짜? 가짜? 심판대에 오른 비소 박테리아
과학동아
l
201107
어떻게 지탱할 수 있는지 생화학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여전히 대부분의
과학
자들은 비소 박테리아가 특이한 환경에 적응한 극한미생물이라고 생각한다. 울프-사이먼 박사팀이 논란에 종지부를 찍는 후속 연구를 보여줄 수 있을지, 아니면 새로운 연구팀이 비소 박테리아를 분양 받아 ... ...
이전
579
580
581
582
583
584
585
586
58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