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도덕과학
도덕
문화과학
문화
보존과학
보존
d라이브러리
"
과학
"(으)로 총 15,307건 검색되었습니다.
다빈치 팬클럽 회장 '알 라뷰다 빈치'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8
위대한 발명가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태어났습니다. 그는 위대한 화가이자, 발명가이자,
과학
자이자….”오늘은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발명품 전시회를 개최하는 날. 박물관 관장이자 다빈치 팬클럽 회장인 ‘알 라뷰다 빈치’가 침을 튀기며 개회사를 하고 있었다.30분 정도 지났을까. 드디어 전시할 ... ...
퍼팅 성공률을 높여주는 지점이 있다!
수학동아
l
201108
큰 대회에 참가하는 프로선수도 항상 어려워하는 것이 있다. 바로 퍼팅이다. 그런데 한
과학
자가 퍼팅 성공률을 높여주는 지점을 수학으로 찾아냈다. 골프 애호가인 미국 예일대 물리학과의 로버트 그로버 교수는 수학적인 방법으로 경사면에서 퍼팅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지점을찾았다는 ... ...
대칭 몸매에 행운이 따르는 팔방미인의 수 8
수학동아
l
201108
안녕! 나는 숫자 8이라고 해~. 한여름인 8월 때문에 나를 그다지 반갑지 않게 생각할 수 있을 거야. 하지만 그 덕에 방학도 있고, 시원한 물놀이도 할 수 있다는 걸 생각해봐. 게다가 나를보면 왠지 팔팔한 기운이 샘솟는 거 같지 않니! 아직도 내가 팔방미인이라는 걸 모르겠다고? 그렇다면 내 매력에 ... ...
내셔널 트레져, 보물 사냥꾼의 운명을 좌우하는 암호 어떻게 푸나
수학동아
l
201108
해킹도 지능화되고 있다. 암호는 초기에 매우 간단한 방법으로 만들어졌지만, 수학과
과학
의 힘을 빌려 어느 순간 크게 성장했다. 이는 암호를 제작하고 해독하는 과정이 매우 복잡해지고 더욱 어려워졌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지만, 꾸준히 누군가는 복잡한 암호를 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는 ... ...
하아암~ 엣취! 딸꾹! 못 참아 3종 세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8
하지만 아직 하품이 전염되는지 확실히 밝혀진 건 아니에요. 그래서 지금도 많은
과학
자들이 계속 연구하고 있답니다엣취! 콧속이 간질간질 ‘재채기“오호~! 모차마 제법이군! 하지만 과연 다음 문제도 풀 수 있을까? 이번 문제는 더욱 고귀한 문제! 재채기에 대한 문제다! 문제를 풀기 전까지 너는 ... ...
국립
과학
수사 연구원 사건의 진실을 밝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8
“사건이야! 소중한 내 뽀로로 인형이 사라졌어!”우린 ‘어린이
과학
동아’ 명예기자답게 침착하게 수사를 시작했어. 증거보존을 위해 일단 사건 현장을 노란색 ... 날카로운 관찰력을 길러 보는 것은 어떨까? 미래의 중요한 사건을 풀어낼 국립
과학
수사연구원의 연구원을 꿈꾸며 말이야 ... ...
수학과 프로그램을 통역한다?!
수학동아
l
201108
다른 분야에서도 예측과 다른 결과가 나올 가능성이 높습니다. 자연현상을 연구하는 응용
과학
분야도 마찬가지죠.”오정근 팀장은 “기존보다 더 빠르면서 정확한 예측 모형이 있으면 미래를 잘 대비할 수 있다”며 이렇게 설명했다. 홍수 같은 재난 위험도 예측에서는 잘못될 경우 수많은 생명이 ... ...
Intro. 녹색 황금 캐는 미세조류 농장
과학동아
l
201108
환경을 파괴하지 않는 새로운 에너지원을 개발하기 위해 세계 각국에서 수많은
과학
자들이 매달리고 있다. 그 가운데 생물체에서 에너지를 얻는 바이오연료도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그 중에서도 최근 조류(藻類)에서 얻는 바이오연료가 주목받고 있다. ‘3세대 바이오연료’로도 불리는 조류 ... ...
Part 2. 미세조류, CO2 먹고 바이오디젤 내놓는다
과학동아
l
201108
미세조류 바이오디젤의 상업화 시기를 전망했다. 현재 차세대바이오매스연구단에는 생명
과학
, 화학공학 분야에서 내로라하는 전문가들이 여럿 참여하고 있다.“미세조류가 잘 자라는 조건에서는 세포내 지질 함유량이 낮습니다. 그런데 지질 함유량을 높이는 조건을 만들면 미세조류가 잘 자라지 ... ...
조개는 바위에 깨 먹어야 제맛!
과학동아
l
201108
이유로 검은점박이돔의 사례를 인정할 수 없다고 해 논란이 일고 있다. 이탈리아 인지
과학
연구소의 엘리사베타 비살베르기 박사는 “갈매기도 딱딱한 바닥에 조개를 떨어뜨려 깨 먹지만 이를 두고 도구를 사용한다고 말하지 않는다”며 “이를 일종의 원시도구라 부를 수는 있어도 본래적 의미의 ... ...
이전
576
577
578
579
580
581
582
583
5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