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역
지방
세계
이승
세상
고장
초록별
d라이브러리
"
지구
"(으)로 총 8,834건 검색되었습니다.
진퇴양난 새만금 사태 묘수는 없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엄청난 해안침식의 가능성도 있다.퇴적물 공급량이 많은 다른 나라의 갯벌에서는
지구
온난화에 의해 해수면이 상승하면 갯벌이 함께 성장해 자연 방조제 역할을 하면서 이를 상쇄한다. 일례로 얼마 전 지진해일 쓰나미가 동남아시아를 덮쳤을 때 유독 방글라데시가 피해를 입지 않은 것은 얕고 넓은 ... ...
마젤란이 본 것은 성운 아닌 은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오해했다. 마젤란성운 대신 마젤란은하라는 용어가 맞는 표현이다.소마젤란은하는
지구
에서 21만 광년 떨어진 채 우리 은하를 돌고 있는 위성 은하다. 이 은하는 우리 은하와 대마젤란은하가 잡아당기는 중력 때문에 모양이 비틀리고 있다. 결국 소마젤란은하는 갈가리 찢겨 우리 은하에 잡아먹힐 ... ...
6년만에 일어나는 1등성 성식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달의 움직임이 느리기 때문이다. 세번째는 관측자의 위치가
지구
적도여야 한다.
지구
의 자전으로 인한 관측자의 상대적인 움직임이 가장 빠르기 때문이다. 이는 달의 움직임을 느리게 하는 효과가 있다.네번째는 성식의 식심이 하늘의 정남, 즉 자오선 위치에서 일어나야 한다. 이런 조건일 때 가장 ... ...
환경의 변화를 알려 주는 한강의 얼음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강물이 흘러가는 세기와 강폭, 강물의 성분 변화 따위에 영향을 받지만 대기오염과
지구
온난화로 인한 기온의 상승이 큰 역할을 한답니다. 환경의 변화를 알려 주는 한강의 얼음. 한강에도 과학이 둥둥 떠다니네요 ... ...
무중력에선 이끼도 나선을 그린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일부가 손상되지 않은채 발견됐다. 안을 들여다보니 모두 나선방향으로 자라 있었던 것.
지구
상에서 이끼는 빛이 오는 방향을 향해 자라거나 어두운 곳에서는 중력의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자란다. 당시 연구를 수행했던 미국 오하이오주립대 식물생물학자 프래드 색 교수는 “빛과 중력의 영향이 ... ...
지자기 북극과 남극 바뀔까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변화를 포착하는 것도 스웜 C의 임무다.예정대로라면 스웜은 2009~2013년까지 5년 동안
지구
상공에 머물게 된다. 스웜 프로젝트에 참가한 프랑스의 울르 박사는 “자기장이 가까운 미래에 어떻게 진화할지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기 원한다”며 “스웜 프로젝트가 끝날 때쯤이면 세계에서 최초로 자기장 ... ...
우주의 신비를 찾아나선 대서사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우주적 관점에서 본 인간의 본질에 대해 주목한다. 저자에 따르면 우주를 탐사하고
지구
생명의 본질을 알려고 노력하며 외계 생물의 존재를 확인하려고 애쓰는 것은 ‘인간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다. 칼 세이건은 1996년 눈을 감았지만 그는 우주 탐사와 외계 문명과의 만남에 대한 ... ...
약물로 마음을 성형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새로운 아이디어와 이를 실현해내는 놀라운 기술 때문이다.머지않은 미래에 우리는
지구
상에서 가장 정교한 기계인 뇌를 모방한 각종 테크놀로지의 출현을 목격하고 이를 향유하게 될 것이다. 즉 우리 환경은 우리 자신을 닮은 모습으로 나름대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인간이 아닌’ 어떤 ... ...
우리은하에서 대폭발 일어나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태양이 25만 년 동안 방출하는 에너지를 불과 0.2초 만에 뿜어낸 우주 대폭발이 지난해 12월 27일 관측됐다고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2월 19일 밝혔다.이 ... 이 정도의 폭발이
지구
로부터 10광년 이내에서 일어난다면 대기를 심하게 파괴해
지구
생물의 대량 멸종을 불러올 것이라고 추측했다 ... ...
해양연, 해저 탐사 무인 잠수정 개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개발한 잠수정이 세계 해양의 97%를 탐사할 수 있다고 밝혔다. 수심 3000m 이상 심해는
지구
전체 해양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미국, 일본, 프랑스 등은 심해 잠수정을 이용해 해저에서 활발한 연구 활동을 하고 있다.해양수산부는 이 잠수정의 이름을 공모해 곧 확정할 계획이다 ... ...
이전
576
577
578
579
580
581
582
583
58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