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명
확인
증거
확증
보증
검증
승인
스페셜
"
입증
"(으)로 총 631건 검색되었습니다.
유사 블랙홀로 호킹복사 관찰했다!
2016.08.29
결론에 도달한 것이다. 그러나 힉스입자가 그랬던 것처럼 호킹복사 역시 관측으로
입증
하기 전까지는 유력한 이론일 뿐이다. 그리고 아직까지 호킹복사를 관측하지 못하고 있다. 음향 블랙홀에서 일어나는 호킹복사를 강물과 물고기로 비유한 그림. 앞의 그림과 좌우가 바뀐 상태다(즉 왼쪽에서 ... ...
4000년 전 중국 대홍수 유적 찾았다!
2016.08.08
‘얼리터우(二里頭) 문화’가 번성했다. 그동안 얼리터우 문화가 하나라의 존재를
입증
하는 고고학 유적이라는 설이 제기됐는데, 이번 대홍수의 증거 발견으로 ‘사기’의 기술이 신빙성이 높아지면서 유력해졌다. 결국 대홍수를 극복하기 위한 대대적인 토목공사의 성공이 신석기시대가 막을 ... ...
우주의 비밀 풀기위해 한국에 모인 암흑물질 연구자들
IBS
l
2016.08.02
고 말했다. CERN-IBS, 액시온 검출 공동연구 나서 거대강입자가속기(LHC)로 힉스 입자
입증
에 성공한 유럽입자연구소(CERN)은 이번 학술대회에서 IBS와 액시온 연구를 공동으로 진행한다고 발표했다. 야니스 세메르치디스 단장은 "IBS-CERN의 공동연구가 연구자들의 학술적 교루는 물론 물리학의 ... ...
“부드러운 분야는 제가 최고입니다”
IBS
l
2016.06.02
물리량의 요동을 관측해 분석하면 자유에너지를 구할 수 있다는 이론을 실험으로
입증
해 ‘피지컬 리뷰 레터’에 발표했다. 이론물리학자 일색인 한국물리학회의 열 및 통계물리 분과에서 실험물리학자로는 처음으로 위원장을 2년간 역임했다. 부산대 물리학과 교수로 20년 가까이 재직하던 ... ...
13만 km 혈관에 숨어 있는 삶과 건강
IBS
l
2016.06.01
단백질의 발현을 막으면 암세포의 혈관 성장과 전이를 억제할 수 있음을 동물실험으로
입증
했다. 혈관 파괴하는 치명적 질병 패혈증, 치료 실마리 찾아 매년 전 세계에서 1900만 명 이상의 목숨을 앗아가는 패혈증은, 주요 장기의 모세혈관을 파괴하는 치명적인 병이다. 복합적인 원인으로 ... ...
인류는 언제부터 전쟁을 했을까?
2016.05.02
그리스 지역의 문헌은 많이 남아있고 그 가운데는 전쟁에 대한 기록도 있지만 이를
입증
할 유물이 전혀 없는 상태다. 예를 들어 기원전 8세기 호메로스의 서사시 ‘일리아스’는 톨렌제 계곡 전투가 일어나고 약 100년 뒤에 벌어진 트로이 전쟁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를 뒷받침할 증거가 ... ...
[석기(石器)의 재조명] 인간을 인간답게 만든 것은 정말 ‘도구일까’
2016.03.21
기교, 창의성, 장인정신을 뜻한다. 인류의 인지능력 진화에서 도구의 중요성을
입증
하기 위해 스타우트 교수는 도구를 제작할 때 뇌의 활동을 측정했다. 그 결과 박편(올도완 석기)을 제대로 만들 수 있게 된 사람의 뇌에서 공간적인 환경에서 몸의 위치를 인식하는데 관여하는 측두엽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60]아인슈타인도 두 번 놀랐을 중력파 검출 성공!
2016.02.13
블랙홀은 존재조차도 믿지 않았다. 즉 아인슈타인의 두 가지 관점이 틀렸다는 걸
입증
함으로써 그의 이론이 더 확고해진 셈이다. 아인슈타인의 입장에서는 ‘소실대탐(小失大貪)’이라고 할까. 라이고의 보도자료에서 알베르트아인슈타인여구소의 브루스 앨런 소장은 “아인슈타인은 중력파가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2)대멸종설을 주장한 고생물학자 ‘데이비드 라우프’
2016.01.02
어떤 생물 그룹의 등장과 소멸이 적응의 결과만이 아님을 컴퓨터 시뮬레이션으로
입증
하기도 했다. 라우프를 유명하게 만든 2600만 년 주기 멸종설은 지난 2억 5000만 년에 걸친 화석을 비교분석한 결과로, 1984년 논문에서 이 기간 동안 열두 번의 대멸종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1980년 멕시코 유카탄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9)게임이론으로 노벨상 받은 수학자 존 내쉬
2015.12.30
더 나은 결과를 얻을 수 없는 상황, 즉 균형점이 하나는 존재한다는 걸 수학적으로
입증
한 것이다. 당시 폰 노이만은 내쉬의 결과를 별거 아니라고 무시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경제학 뿐 아니라 다른 사회과학, 진화생물학에도 적용되면서 영향력이 커졌다. 예를 들어 두 사람이 벌이는 게임에서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