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탤런트
인재은행
은행
판목
인물
스페셜
"
인재
"(으)로 총 571건 검색되었습니다.
“역량·도전의지 갖춘
인재
확실하게 밀어줘야”
동아사이언스
l
2011.01.11
의지가 있는 학생들만 와야 한다”고 딱 잘라 말했다. 이 학장은 “대한민국에 꼭 필요한
인재
가 많이 나올 수 있도록 2011년에는 학생들과 연구에 더 힘쓰겠다”고 뜻을 밝혔다. 이상엽 학장의 ‘이것만은 꼭!’ △항상 도전하는 연구자가 되자 △역량 있는 연구자가 마음껏 도전할 수 있도록 ... ...
“한국 BT, 비즈니스 인력 키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10.05.06
알고 있다. 리더가 100% 권한을 발휘하고 책임을 질 수 있어야 거느리고 있는 우수한
인재
각각에게도 그에 맞는 권한과 책임을 줄 수 있다. ▽윤태영=사람들 사이의 커뮤니케이션도 중요하다. 오늘처럼 외국의 시각을 가진 사람들과 커뮤니케이션을 하며 신약개발 방향이나 무엇을 벤치마킹할 ... ...
“국내 바이오 기업은 30점, CEO 욕심 버려야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0.04.28
그러나 삼성 등 국내 대기업은 이미 글로벌 사업역량과 브랜드를 갖춘 데다 우수한
인재
를 대거 영입할 수 있어 그동안 부족했던 사업화 역량을 끌어올릴 수 있다. 권 과장은 “대기업의 참여는 시장을 전체적으로 성장시키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그러나 해외 글로벌 바이오 기업의 수준까지 ... ...
“실패한 연구, 발상 바꿨더니 럭키 드러그”
동아사이언스
l
2010.04.13
△대규모 투자와 틈새 시장을 동시에 개척하는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글로벌
인재
를 키워내는 약대 교육을 만들자. 김인철 사장은 1977.2 서울대 약학과 학사/석사 1985.2 미국 일리노이대 이학 박사 1985.6 미국 록펠러 재단 박사후 연구원 1986.6 미국 듀크대 의대 연구원 1988.11 미국 글락소 제약사 ... ...
한국 바이오에는 ‘B&D’가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0.02.09
혁신(Open Innovation) 체제를 확산하는 것이 해결책이 될 것입니다.” 이 원장은 많은 우수
인재
를 배출하는 외국의 대학, 거대 자본을 쏟아 붓는 다국적 기업의 틈새에서 우리나라가 살기 위한 전략으로 이같은 방안을 제시했다. 대학과 기업이 공통의 관심사를 갖고 연구를 해야 한다는 얘기다. 그는 ... ...
“농림수산식품 R&D, 발상의 전환 절실해”
동아사이언스
l
2010.02.08
이 ‘제1차 농림수산식품과학기술 육성 종합계획’은 단순 기술개발뿐만 아니라
인재
육성이나 인프라 구축까지 아우르는 2010년부터 2014년에 걸친 방안이다. 종합계획의 수혜를 받게 될 연구원과 학계는 정책을 반기면서도 구체적 발전 방안과 제언을 아끼지 않았다. 19일 서울 서초구 서초동 ... ...
“화이트 바이오에 주목하라”
동아사이언스
l
2010.01.25
선진국은 협동심이 없는 사람은 아예
인재
로 치지 않는다는 뜻이에요. 이런 가치관으로
인재
를 키우니 나중에 협동 연구가 잘 되는 거죠.” 이 위원장은 의외로 ‘초등학교 교육’을 강조했다. 안식년을 맞아 미국에 가서 초등학생 자녀를 가르치는 걸 봤는데 초등학교 때 가장 강조하는 게 ... ...
“농식품산업기술에 ‘씽크탱크’가 떴다”
동아사이언스
l
2009.11.11
데는 어려움이 있다. 정 원장은 농식품기술의 개념을 확대해 IT·BT·NT를 접목함으로써
인재
확보와 기술개발의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계획을 세우고 있다. “농식품기술은 여러 면에서 우리 미래를 먹여 살릴 연구분야지만 그동안 너무 분산돼 있었습니다. 이제 농기평이 멀리 내다보고 제대로 된 ... ...
“BT산업 육성의 선결조건은 융복합에 강한
인재
양성”
동아사이언스
l
2009.09.02
교육을 강화하자. ○ 현장에 강한 연구인력을 배출해야 ○ 연구기관, 대학간 벽을 허물고
인재
육성에 주력해야 -------------------------------------------------------------------------------- 이세경 총장은 1969년 서울대 물리학과 (학사) 1973년 미국 템플대 대학원 물리학 (석사) 1978년 미국 일리노이대 대학원 물리학 ... ...
“바이오는 기다림의 산업…글로벌 네트워크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09.07.07
인력이 부족하고, 앞으로는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연구개발의 핵심은 ‘
인재
’입니다. 한국의 훌륭한 연구기반은 우수한 임상 연구자들이 있어 가능한 것이죠.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한 보고서에 따르면 신약개발과 관련한 한국 R&D 인력이 2만명 이상 부족한 상황이라고 합니다. 이 ... ...
이전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