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탤런트
인재은행
은행
판목
인물
스페셜
"
인재
"(으)로 총 571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
인재
양성은 학교책임? 산학연 모두의 몫!”
동아사이언스
l
2013.04.29
원장 2009년~현재 순천향대 의료생명공학과 교수 2009년~현재 순천향대 SCH 의약바이오
인재
양성센터 센터장 2010년~2011년 순천향대 의료과학대 학장 2011년~현재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회장 2011년~현재 세계미생물학회연합 집행위원회 이사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진화를 설명한다. 크로는 뛰어난 연구자이면서 멘토였기 때문에 그의 문하에서 수많은
인재
들이 배출됐다. 그 가운데 한명이 모투 기무라로 크로와 함께 중요한 결과를 많이 냈다. 매트 리들리의 대중과학서적 ‘붉은 여왕’에도 두 사람이 1965년 발표한 논문이 소개돼 있는데, 유성생물과 ... ...
창조경제와 벤처 생태계
KOITA
l
2013.04.25
0불 이후의 국가 성장은 열심히 하는 성실한
인재
가 아니라 창조적 도전을 하는 혁신적인
인재
가 주도하게 된다. 따라서 혁신을 만드는 창조적 기업가정신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전세계 60개국이 참여하는 GEM(Global Entrepreneurship Monitor)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생계형 ... ...
미래창조과학부 장관, 빌게이츠 회장과 오찬 회동
동아사이언스
l
2013.04.24
발전하길 희망한다고 답했다. ○ 또한, 빌게이츠 회장은 창조경제 실현을 위해 젊은
인재
들에게 창의력과 기업가 정신을 가르치는 것이 중요하다고 언급하고, 앞으로는 대기업뿐만 아니라 벤처회사도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그 규모가 커질 수 있도록 해야 젊은이들이 기업가 정신을 ... ...
초고령화시대에서 新시장 찾다…“ICT·BT 융합시급”
동아사이언스
l
2013.04.08
기획·관리를 할 수 있어야 한다”면서 “연구단지 통합운영 체제를 만들어 최고의
인재
를 육성하고, 아이디어가 체계적인 실험으로 연결될 수 있도록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어야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각 부처가 BT를 관할하고 있지만 부처 R&D는 통합 운영체제가 필요하다"며 ... ...
“미래창조과학부 핵심은 ICT아닌 BMT돼야”
동아사이언스
l
2013.02.25
쪼개지는 바람에 집중력이 떨어졌다는 것. 그는 “사업단이 두 개로 찢어지는 바람에
인재
가 분산되고 사업단장이 각각 있어서 경쟁하는 모양새가 돼 버렸다”며 “한 곳으로 몰아줬으면 좋겠지만 이왕 결정된 사항이니 뇌와 연구영상 분야는 대구에서 진행하고, 다른 분야는 오송에서 하는 식으로 ... ...
“기존 연구 반복해봐야 소용없어…새로운 것 찾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12.11.26
연구를 할
인재
’를 선발할 때는 최대한 깐깐하게 해야 한다”면서 “이렇게 선발된
인재
들에게 토양을 만들어 준다면 창의적인 연구성과도 곧 따라오게 될 것” 이라고 말했다. 어르빈 네어 교수의 ‘이것만은 꼭!’ △창의적 연구 도전이 세계적 발견 이뤄 △기초과학 지원은 중장기적으로 ... ...
“범부처에 맞는 ‘옷’ 입혀주면 2020년에 글로벌 신약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9.24
외부 환경 때문에 본질이 훼손되는 일이 없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의대 약대 우수
인재
제약산업에 뛰어들어야 “제약산업은 우리가 틀림없이 세계 10위권 안에 들어갈 수 있는 분야입니다. 단, 의대와 약대로 몰려간 우수인력의 일부가 신약개발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 필요하겠죠.” 이동호 ... ...
“교육 선진화도 못하면서 바이오선진화 꿈도 꾸지마라”
동아사이언스
l
2012.08.28
충분히 따라잡을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김광수 교수의 ‘이것만은 꼭!’ △우수
인재
를 생명공학자로 키울 사회적 분위기 필요 △의사와 생명공학자 뿐 아니라 다양한 연구 분야 ‘융합’이 절실 △줄기세포 분야 연구 포기해서는 안돼 김광수 교수는 1977년 서울대학교 미생물학과 학사 197 ... ...
“암 정복보다 중요한 건 ‘행복한 삶’이죠”
동아사이언스
l
2012.08.13
힘들기 때문이다. 그는 “성공적인 경험을 가진 지도자가 있으면 한국의 똑똑한
인재
를 이끌어서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며 “한국은 아직 신약 개발 역사가 짧아 경험 많은 리더가 부족한 건 어쩔 수 없지만, 조금 더 역량과 경험이 쌓인다면 폭발적인 성과가 나올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