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스페셜
"
부위
"(으)로 총 715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읽는과학] 종양
부위
별로 암세포 진화 능력 다르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30
얼마나 있는지 셌다. 그 결과 환자의 상태에 따라, 또는 하나의 종양이라도
부위
에 따라 종양 미세환경이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연구팀은 종양이 면역계를 피하도록 진화하며, 이때문에 수술을 하고도 암이 재발하는 경우가 있다고 추측했다. 암세포가 발생한 초기에는 면역세포가 ... ...
바이오젠, 유력 알츠하이머 치료제 '아두카누맙' 임상 중단
동아사이언스
l
2019.03.22
양전자방출단층촬영(PET)으로 확인한 영상이다. 윗부분이 아밀로이드베타 농도가 높은
부위
. 미국국립보건원(NIH) 제공 현재 임상이 진행중인 알츠하이머 치료제의 절반은 아밀로이드베타를 표적으로 한다. 하지만 성공 확률이 워낙 낮은 데다 이번에 유력 후보신약이 실패로 끝나며, 별도로 시도되고 ... ...
혈자리에 살짝 전기만 줘도 혈압이 뚝↓
동아사이언스
l
2019.03.21
왜 이런 현상이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해 미세 신경 기록법을 활용해 정중신경
부위
의 신경섬유 활동을 측정했다. 미세 신경 기록법은 금속 전극을 말초신경에 넣어 감각기에서 뇌로 신호를 전달하는 구심섬유 활동을 살피는 기술이다. 관찰 결과 전기 자극은 정중신경을 구성하는 감각신경 중 ... ...
[전문의가 본 당뇨병] 당뇨발, 치료 차일피일 미루다간 발 잃을 위험 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3
인한 족부절단술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그는 “절단률은 비슷하지만 최근들어 최소
부위
를 절단하는 수술이 늘고 큰 부분을 절단하는 수술이 줄고 있다”며 “발을 최대한 살릴 수 있도록 치료법이 발달해온 덕분”이라고 설명했다. 가장 중요한 예방법은 ‘발 관리’와 ‘혈당 조절’ 당뇨병 ... ...
"정년퇴직한 전문의들, 아프리카에서 할 일 많아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3.09
로봇수술을 하지 못한다. 무조건 개복 또는 개두술을 해야 한다. 또 혈관처럼 미세한
부위
도 관찰할 수 있는 조영 장비를 갖춰 뇌혈관수술을 할 수 있으면 좋겠다. 물론 이곳 신경외과 전문의들에게 뇌혈관수술 술기도 잘 가르쳐주고 싶다. 무하스의대 부속병원에서 진료를 기다리고 있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이 거울을 본다는 것의 의미
2019.02.12
침팬지가 테스트에서 하는 행동과 똑같은 행동이다. 그리고 등처럼 평소 볼 수 없는 신체
부위
를 보기 위해 거울을 이용하는 행동도 보였다. 이에 대해 드 발 교수는 “이것은 분명히 유인원이 오로지 시각에만 의존해 자발적으로 하는 행동과 같은 것은 아니지만, 그 기반이 되는 인지를 어느 정도 ... ...
[표지로 읽는 과학] 2018년을 빛낸 획기적 연구 성과
동아사이언스
l
2018.12.22
단백질이 뒤섞여 뭉친 상태로 존재한다. 생명 현상이 진행되려면 히스톤 단백질의 특정
부위
에 아세틸기가 붙어 염색체가 풀려야한다. 염색체가 풀리면 비로소 이중나선 형태의 유전물질인 DNA가 모습을 드러낸다. DNA의 염기가 해독돼 우리 몸에 필요한 단백질이 생성되는 과정을 ‘번역’이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백신이 못 잡는 독감 바이러스, 항체가 잡는다
2018.12.18
예를 들어 독감 바이러스의 경우 헤마글루티닌 줄기의 변이가 잘 일어나지 않는
부위
를 항원으로 하는 작은 항체가 생성될 수 있다. 게다가 작은 항체에서 항원을 인식하는 부분만 따로 떼어내 대량으로 만들 수 있다는 것도 큰 장점이다. 항원과 결합한 상태에서 작은 항체의 구조를 분석한 뒤 ... ...
[불붙은 달 탐사 경쟁]①日 민간 최초 ‘달 셔틀’ 보낸다
2018.12.11
지름을 20cm로 크게 설계한 것도 안정적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다. 바퀴에서 지면과 닿는
부위
의 폭은 7cm, 날개 높이는 2cm다. 요시다 교수는 “로버는 경사각이 최대 25도까지는 오르막길도 문제없다”며 “초속 10cm로 천천히 움직이면서 본인 몸집만 한 돌도 부드럽게 타넘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3D프린터로 출력한 뇌 신경망 모형
동아사이언스
l
2018.12.01
정밀한 물리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수학적 모델을 만들었다. 연구진은 신경세포간 연결
부위
두께나 휘는 정도(곡률)를 조절해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패턴을 형상화했다. 연결 단위별로 상호작용하는 정도를 조절하면 신경망이 성장하는 과정을 예측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이렇게 개발한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