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부분
일부
일환
국부
환경
스페셜
"
부위
"(으)로 총 715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농작물과 동물 유전자 편집 시대 주도하는 중국
동아사이언스
l
2019.08.04
위에서 파릇파릇하게 자란 모습을 볼 수 있다. 크리스퍼 유전자 가위는 유전자의 특정
부위
를 절단해 유전자를 교정하는 기술로, 길잡이 RNA와 DNA를 잘라내는 절단 효소(단백질)로 이뤄졌다. RNA가 목표 DNA 염기서열에 달라붙어 길잡이 역할을 하고 단백질이 DNA를 잘라내는 방식이다. 수년씩 걸리던 ... ...
만성요통 환자 자극선별 세포와 통증감각 처리 뇌 영역 유독 발달
동아사이언스
l
2019.07.29
다르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만성요통 환자에게 외부 자극을 선별하는 뇌
부위
와 허리
부위
통증 감각을 처리하는 영역 간에 연결이 현저히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한국한의학연구원은 김지은 임상의학부 연구원과 비탈리 내퍼도 미국 하버드 의대 교수 공동연구팀은 만성 요통 환자의 뇌에서 ... ...
상처에 붙이면 큰 흉터 없이 낫게 하는 반창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7.25
상처가 훨씬 빨리 낫는다는 사실도 알아냈다. 특히 팔꿈치처럼 자주 움직이는 관절
부위
에 난 상처를 낫게 하는 데 탁월한 효과가 나타났다. 연구를 이끈 데이비드 무니 비스생물공학연구소 교수(하버드대 존폴슨공학및응용과학대학 생체공학과 교수)는 "이 젤반창고는 갑자기 생긴 상처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복숭아와 아몬드 학명 뒤바뀐 운명
2019.06.18
가깝지만(그래서 이들을 복숭아아속(亞屬)(Amygdalus)으로 따로 놓기도 한다) 우리가 먹는
부위
는 전혀 다르다. 그런데 우리는 어떻게 아몬드(씨)를 먹을 때 고소할 뿐 전혀 쓴맛을 느끼지 못하는 걸까. 그리고 아몬드를 잔뜩 먹어도 독에 중독되지 않는 걸까(다만 알레르기 반응이 생길 수는 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손가락 비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
2019.06.11
그럼에도 이는 엄밀한 과학적 사실에 기초한 표현이다. 입술이나 손 같은 신체
부위
를 맡고 있는 대뇌피질은 많은 감각 정보를 받아들이고 정교한 움직임 정보를 내보내야 하므로 넓은 면적이 필요하다. 반면 등이나 허벅지, 팔뚝 같은 곳은 부분 부분에 그렇게 주목할 일이 없기 때문에 ... ...
[미리 체험하는 의료로봇]“의사 니즈에 맞는 기술 개발해야”(끝)
동아사이언스
l
2019.06.11
번거롭고 기술을 익히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는 일이라거나, 아주 미세하고도 정확한
부위
만 시술해야 하는 일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렇게 의사들의 니즈가 파악되면 공학자들이 실제 로봇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지 가능성과 유효성을 검증해야 한다. 로봇의 역할에 따라 하는 일이 달라지므로 ... ...
"의사일 대신 선택한 AI 개발, 정확해서 뿌듯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04
AI '루닛 인사이트'다. 이 AI는 독자적인 딥러닝 기술을 활용해 폐암 결절로 의심되는 이상
부위
를 최대 97% 정확도로 찾아낸다. 심지어 심장이나 갈비뼈 등 다른 장기에 가려 놓치기 쉬운 결절도 정확히 찾아낸다. 지난해 식품의약품안전처 인허가를 받고 올해부터 서울대병원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 ...
비흡연자도 폐암 걸리는 원인 규명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31
복잡 구조 변이로 나뉜다. 복잡 구조 변이는 암세포에서 많이 발견된다. DNA 수백
부위
이상이 동시에 절단된 후 상당 부분 소실되고 일부만 연결되는 ‘염색체 산산조각’현상이 대표적 사례다. 연구팀은 융합유전자 중 70% 이상이 산산조각 현상과 같은 복잡 구조 변이에 의해 생성되는 것을 ... ...
녹내장 조기 진단 방법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19.05.30
손상된 환자는 사상판이 아래쪽으로 휘어져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시신경이 손상된
부위
와, 사상판이 휘어져 있는 모양이 일치하는 셈이다. 김 교수는 "사상판 변형 여부, 특히 사상판이 휘어진 위치와 곡률 정도를 검사해 녹내장이 발병할 가능성을 예측하거나 조기 진단해 치료시기를 ... ...
게임몰입 청소년 10명中 6명 스스로 정상 되찾아…기대·간섭 많은 부모일수록 위험
과학동아
l
2019.05.27
고도의 창의력을 발휘하게 된다. 이때 뇌에서는 전두엽에서 멀리 떨어진 후두엽
부위
간의 연결이 강화된다. 반면 게임처럼 단순한 사고를 반복하면 전두엽 주변의 단편적인 연결성만 증가한다. 대뇌의 보상회로는 다소 취약해져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한 교수는 “게임을 지속적으로 하면 재미를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