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경향"(으)로 총 770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머리 큰 사람 vs 작은 사람, 뇌 구조도 다르다 2018.06.05
- 생각해보면 이런 반응이 좀 이상하다. 인류의 진화에서 가장 큰 특징이 뇌가 커지는 경향이고 그러려면 뇌를 담고 있는 두개골도 커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머리가 크다는 건 뇌가 크다는 말이므로 부러움의 대상이 돼야 하지 않을까. 그런데 호모 에렉투스 수준으로 뇌가 작은 사람들이 오히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강간범과 일반인의 차이2018.05.26
- 참여한 일반인 남성은 단 한 명도 합의한 성관계보다 강간 상황에서 더 크게 흥분하는 경향을 보이지 않았지만, 강간범들은 전원이 합의한 성관계보다 강간 상황에서 더 크게 흥분했다. 여성이 고통스러워하는 상황에서 즐거움을 느끼는가 그렇지 않은가에 따라 강간범과 일반인의 차이가 가장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홍대 누드모델 몰카' 사건에 주목하는 또다른 이유2018.05.19
- 바뀌길 원한다’는 정보를 받으면 더더욱 범죄 예방과 처벌에 더 크게 ‘반대’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했다. 범죄가 심각하고 고로 변화가 필요하다는 정보를 알게 되면 더더욱 범죄에 대한 경각심이 커질 것 같지만 피해자가 ‘약자’일 때에는 되려 경각심이 낮아지고 해결에의 의지가 더 ... ...
- [지뇽뇽 사회심리학]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이야2018.05.12
- 자신이 실패했다는 사실을 받아들이기가 두려워 애꿎은 타인에게 책임을 전가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한다. 반면 스스로에게 너그러울줄 아는 사람들은 자신의 잘못이 존재한다면 쿨하게 인정하고 책임지려는 모습을 보이는 편이다. 이러한 이유로 심리학자 Leary와 Neff 등의 학자들은 스스로에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아이 지나치게 통제하는 부모의 공통점2018.05.05
- 비해 자기 자신을 미워하고 ‘연인’ 같이 가까이 있는 사람조차 잘 신뢰하지 못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했다(Amitay et al., 2008). 개인적으로는 이러한 연구들을 접하면서 나를 향한 부모님의 비난과 화가 전부 내 문제가 아닐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할 수 있었고 마음이 조금 후련해지는 경험을 했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강박적 행복추구는 오히려 독이다2018.04.21
- 기분이 나빠지기도 하고 너가 이래서 안 되는 거라며 스스로에게 모진 말을 던지는 경향이 나타난다. ‘긍정적 정서 상태’가 목적인 행복의 경우는 자신이 행복한지 평가하는 과정 자체가 목표를 망치는 셈이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런저런 감정이 밀려올 때 ‘감정 = 나’인 것처럼 감정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칭찬을 받을 때 불편한 느낌이 드는 이유는?2018.04.14
- 등에 대해 자신이 생각하는 것과 비슷한 피드백을 주는 사람들에게 더 큰 호감을 느끼는 경향을 보인다(Swann & Brooks, 2012). 한 가지 이유는 상대가 자신에 대해 비교적 정확한(스스로가 정확하다고 생각하는) 정보를 가지고 있을 경우 좀 더 스스럼 없이 행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컨대 나는 굉장히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존감이 독재하는 나라2018.04.07
- 집단(국가, 인종, 지역, 학교 등)’이 다른 집단들에 비해 더 우월하다는 생각을 보이는 경향이 나타난다. 자존감이 위협 받게 되면 지고 있는 스포츠팀보다는 이기고 있는 팀에 스스로를 연결짓는 행동을 보이기도 한다. ‘나는 여전히 적어도 쟤네들보다는 우월한 존재’라며 잘나가는 무엇에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상대방의 의도를 공격하는 이유2018.03.24
- 들은 사람들은 전자의 이야기를 들은 사람들에 비해 회사의 도덕성을 낮게 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Newman & Cain, 2014). 수익금의 50%를 기부한다는 사실은 변하지 않고 기부는 좋은 것이라는 사실 또한 변하지 않음에도 ‘이득을 챙기려 한다’는 이미지를 조금만 씌우면 얼마든지 비도덕적이고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누가, 왜 피해자를 비난할까?2018.03.17
- 성폭력이 아니라고 주장하거나, 성폭력이 피해자에게 미치는 악영향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Hamilton & Yee, 1990; Norris & Cubbins, 1992). 또한 이미 유죄로 판결난 사건에 대해서도 가해자에 대해 더 낮은 형량을 선호하는 반면 피해자의 책임을 크게 해석하기도 했다 (Check & Malamuth, 1985). 여성의 ... ...
이전5354555657585960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