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경향"(으)로 총 770건 검색되었습니다.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소확행'은 단순한 유행이 아니다 2019.03.09
- 똑같이 적응력이 좋지만 가난한 가정에서 태어난 아이는 정반대로 보상을 바로 취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밝혔다(Sturge-Apple et al., 2016). 최근 미국 버지니아대 첼시 듀란 교수 등 학자들 또한 비슷한 결과를 확인했다(Duran et al., 2018). 연구자들은 343명의 5~7세 저소득층 흑인 가정의 아이들을 대상으로 5~ ... ...
- "정년퇴직한 전문의들, 아프리카에서 할 일 많아요"동아사이언스 l2019.03.09
- 사람들이 수술을 하더라도 장애없이 호전한다는 보장이 없이는 수술을 하지 않는 경향이 있다. 게다가 의료 보험이 되지 않아 수술을 하려면 수술에 필요한 재료들을 환자가 다 사서 입원해야 한다. 의료장비가 턱없이 부족하다는 것도 안타깝다. 현미경은 우리 병원 말고도 시내에 있는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프로선수들이 긴장과 불안을 다스리는 법2019.03.02
- 않게 넘기기보다 ‘불안한데 어떡하지! 큰일났어!!’라며 불안 자체에 호들갑을 떠는 경향을 보였다. 감정은 기본적으로 ‘메시지’다. 지금 상황이 좋거나 나쁘다, 위험에 대비할 필요가 있거나 없다는 '알람(alarm)'을 준다. 따라서 불안을 느낀다면 어디까지나 뭔가 중요한 일이 벌어지고 있고 그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왜 무시당했다고 사람을 죽일까?2019.02.17
- 피해의식을 보인다. 또 남성에게는 폭력을 행사하지 않고 여성에 한해 폭력을 행사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는 자신은 적어도 ‘여성보다’ 우월한 존재이며 여성에게만큼은 통제권을 행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인식과 관련을 보인다. 결국 이성을 향해 갖는 모종의 우월감과 권리의식이 그것이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완벽주의가 일을 망친다2019.02.09
- consciousness: 성실성 또는 체계성, 책임감, 의지력 등과 관련을 보이는 특성)은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면서 신경증이 조금씩 감소하고 걱정이 줄어드는 것과는 대조되는 결과이다. 경험을 쌓아가면서 실패한다고 해서 삶이 끝나는 게 아니라고, 그렇게 애쓰지 않아도 된다고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가 친구가 없는 이유2019.02.02
- 사람들보다 나중에 또 사회적인 상황이 온다면 별로 즐겁지 않을 것이라고 답하는 경향을 보인다(Zelenski et al., 2013). 사람들을 만났을 때 느낄 즐거움을 실제보다 과소평가하는 것이다. 무엇이 나로 하여금 사회적 상황을 기피하게 만드는지 생각해봤다. 우선 사람을 만나는 즐거움과 별개로 걱정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홍역은 어떻게 면역 기억상실을 일으킬까2019.01.29
- 홍역을 앓고 난 뒤에도 유독 기억B세포의 수가 여전히 적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런 경향은 증상이 심각했던 그룹에서 더 두드러졌다. 기억B세포(memory B cell)는 병원체(항원)에 최초로 노출됐을 때 형성돼 혈액이나 림프액에 존재하는 세포다. 처음 감염돼 병을 일으킨 병원체가 그다음에는 힘을 쓰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가 나의 지옥일 때2019.01.19
- 따르면 실제로 자신에게 가혹한 사람들은 타인에게도 스스로에게 가혹할 것을 요구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약 200명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친구, 가족 등 가까운 사람들이 중요한 약속에 늦는 상황을 상상하게 했다(Allen et al., 2015). 그리고 나서 그 사람에게 어떤 반응을 보고 싶은지에 대해 물었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자기통제를 잘 하는 사람은 있고 그렇지 않은 사람에겐 없는 것2019.01.05
- 주관이 없달까 딱히 좋아하거나 추구하는 게 없고 주변에서 하라는대로 귀가 팔랑하는 경향이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반면 자기통제를 잘 하는 사람은 인생이 어느 정도 내가 끄는 방향으로 가고 있고 자신이 삶의 핸들을 잡고 있다는 느낌을 받는 편이라고 한다. 아직 연초이니 목표 리스트를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우울증이 말하는 법2018.12.29
- 해석을 내리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쉽게 ‘이별’이란 파국을 맞는 경향을 보인다. 상대를 좋거나 아님 나쁜 인간의 이분법 안에서 판단함으로써 작은 해프닝으로 넘길 수 있었던 일을 넘기지 못하는 것이다. 인간은 누구나 나름의 고통과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그런 인간이 ... ...
이전5051525354555657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