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식
지혜
기지
센스
보통생각
일반생각
재치
뉴스
"
상식
"(으)로 총 64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적 합리성 확산돼야 사회 통합 가능”
과학동아
l
2014.07.20
과학기술포럼 이사장(전 과기처 장관)은 우리 사회에 누구나 수긍할 수 있는 올바른
상식
, 즉 합리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82세라는 나이가 무색하게 그의 한마디 한마디에는 힘이 실려 있었다. 이날은 그가 과학기술 마인드를 사회적으로 확산하기 위해 1995년 11월 시작한 사단법인 ... ...
이렇게 공부하면 상대성이론도 OK!
과학동아
l
2014.07.06
박문호의 자연과학세상 제공 ‘천연제품’ 이라는 광고문구만 보이면 무조건 구매하던 평범한 주부, ‘연비 향상’이란 글자만 보이면 앞뒤 가리지 않고 ... 시민들에게 일독을 권한다. 처음부터 끝까지 차근차근 읽는 것만으로도 당신의 과학적
상식
과 이해도를 한층 높여줄 것이다. ... ...
단식의 과학
2014.06.16
때문에 오늘날 풍요가 독으로 작용해 비만을 비롯한 각종 대사질환에 시달린다는 건
상식
이 됐고 칼로리제한의 유용성을 주장하는 사람들이 즐겨 사용하는 근거이기도 하다. 그런데 사실 필자는 이 주장이 탐탁스럽지 않았는데, 우리 선조들이라고 해서 평생을 ‘꾸준히’ 굶주리지는 않았을 ... ...
우리 몸에 없어서는 안 될 28가지 원소는?
2014.06.09
안 되나. 나도 다 맞출 거 같은데.’ 이런 생각을 하는 독자들처럼 필자도 ‘과학
상식
’을 바탕으로 한 번 추론해보겠다. 먼저 CHO로 표기되는 탄소, 수소, 산소로 굳이 설명이 필요 없을 것이다. 아미노산을 생각하면 질소(N)와 황(S)이 추가될 것이고 핵산에서 인(P)이 떠오른다. 신경전달을 ... ...
[문화 칼럼/이덕환]‘세월호 참사’로 돌아본 과학교육
2014.06.03
그러나 세상이 달라졌다. 선진국 진입의 문턱에 와 있는 우리 사회에서 기본적인 과학
상식
도 이해하지 못하는 ‘문과’ 출신과 최소한의 인문학적 소양조차 갖추지 못한 ‘이과’ 출신이 할 수 있는 일은 빠르게 사라지고 있다. 문·이과 구분 교육의 폐해는 심각하다. 대학에 들어온 후에 자신의 ... ...
극한상황에서 인간은 어디까지 견딜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05.25
자체가 다소 과장된 홍보문구인 까닭이다. 하지만 이 책은 정말로 한 사람에 필요한 과학
상식
을 일목요연하게 한 권으로 정리해준다. 저자는 자연과학의 특징 가운데 하나가 하나의 개념 안에 여러 분야가 다양하게 얽힌다는 점에 주목했다. 따라서 어느 한 분야에 대한 기초 지식을 쌓았다고 해서 ... ...
기생충에서 공존의 미덕을 배운다
과학동아
l
2014.05.18
당기는 러시안룰렛 게임과 다를 바 없다. 이처럼 확률은 우리 생각과는 다르면서도
상식
적이다. 저자는 확률 난제 25가지를 다양한 수학적 지식과 컴퓨터 프로그램을 통해 해결한다. 풀이 과정이 어려울 수도 있다. 하지만 확률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지 그 통찰을 얻기 위해서라면 풀이 과정을 ... ...
비타민·오메가3·글루코사민, 알고 먹자
과학동아
l
2014.05.02
때 건강이 개선됐다고 느껴진다면 그만큼 드시면 된다”며 한마디로 정리했다.
상식
적인 수준 이내의 과잉섭취에 대한 특별한 부작용이 보고되지 않은 만큼 어느 정도 과잉섭취를 해도 본인 건강이 개선된다고 느껴지면 많이 먹어도 무방하다는 해석이다. 과잉섭취시 건강개선 효과가 ... ...
지름 250km '커리클로'서 고리 발견…'중력 가설' 뒤집히나
과학동아
l
2014.04.18
‘목성형 행성’이 고리를 가진다는 것이
상식
이었다. 하지만 이번 발견으로 이런
상식
이 깨졌다. 커리클로의 지름은 불과 250km. 달 지름의 13분의 1, 지구 지름의 50분의 1 수준이어서 기조력과 로슈한계만으로 고리의 생성 원인이 설명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커리클로 고리를 발견한 ... ...
주가는 예측할 수 없다?!
수학동아
l
2014.04.07
성을 나타낸다.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주가의 움직임이 불규칙하다는 것은 이제
상식
이 되었지만, 사실 주가의 움직임이 무작위적이라는 것을 알게 된 것은 여러 수학자와 경제학자들의 오랜 연구의 결과 덕분이었다. 그리고 시작에는 프랑스의 수학자 루이 바실리에가 있었다. 1900년 루이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