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푸른색
하늘빛
코발트색
블루
청색
남색
blue
d라이브러리
"
하늘색
"(으)로 총 594건 검색되었습니다.
갈릴레이 망원경에서 전파망원경까지
과학동아
l
1990년 08호
인간의 시야를 한층 넓혀준 망원경이 발명된지 약3백년이 지났다. 망원경의 발달과정과 그 원리를 살펴본다.인간은 아주 훌륭한 시각(視覺)을 가지고 있어서 먼 하늘의 별이나 아름다운 자연을 볼 수 있다. 우리가 얻은 지식의 80% 정도는 시각을 통해서 얻어진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우리가 눈 ... ...
동물원 밖에서는 이미 찾기 힘들다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호랑이 표범 늑대 여우 곰 사향노루 두루미 크낙새 따오기 등 친숙한 동물들을 우리 후손들은 구경할 수 없게 될지도 모른다.국제자연보존연맹은 1975년이후 약 2만5천종류의 식물과 약1천종류의 등뼈동물의 종 또는 아종(亞種)들이 지구상에서 사라져 갈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이런 사태의 원인은 ... ...
미술품의 진품 여부를 가리는 X선법과 중성자법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렘브란트 작품의 절반 가량은 모사품 렘브란트의 작품이라고 여겨졌던 많은 작품들이 모사품임이 드러났다.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의 미술사연구가들은 82년부터 89년까지 렘브란트 작품을 과학적 방법으로 조사한 결과, 2백80점 중 1백24점이 다른 사람의 작품이라고 발표했다고 '아사히과학'에서 ... ...
금세기 최대혜성 오스틴
과학동아
l
1990년 05호
5월 한달동안 우리는 밤하늘에서 우아하고 장엄한 오스틴의 모습을 감상할 수 있다.1990년에 들어서면서 별을 보는 이들에게 귀가 솔깃한 희소식이 날아 들었다. '오스틴'이라는 이름붙여진 거대 혜성이 나타난 것이다. 86년에 지구를 방문했던 핼리혜성 이후로 대혜성의 방문을 고대했던 수많은 아 ... ...
한국 중부의 터줏대감 황새
과학동아
l
1990년 02호
습지대나 물가에서 홀로 고고하게 노니는 이 텃새는 조용하고 경계심이 강한 새다.옛말에 슬기로운 백성들이 사는 곳에는 금수 또한 아름답다고 했다. 자연보호의 필요성이 드높게 외쳐 지고 있는 요즘 이 옛말이 지닌 뜻의 오묘함을 다시 되새기게 된다.필자가 동물원에서 동물 가족과 더불어 살 ... ...
빛이 만들어 내는 찬란함 색체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모든 사물은 빛이 있기 때문에 색을 갖는다.얼마만큼 정확히 색을 측정하고 표시하느냐는 우리가 생산해내는 모든 재화의 질을 결정한다.하늘과 땅과 바다와 수풀은 그 고유의 색을 가지고 있다. 자연물에서 뿐만 아니라 인공적인 건축물, 가구, 의상을 포함한 공산품에서 색은 대단히 중요한 역할 ... ...
농업기상학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수표를 만들어 수위를 재고, 바람깃대로 풍향과 풍속을 알아내고, 지진 햇무리 달무리 극광의 관측을 통해 농업기상학을 태동시켰다.●- 수표를 발명하다비가 오면 강물이 불어난다. 이것은 자연의 이치다. 세종 때의 학자들이 그것을 몰랐을 리 없다.다만 그때까지는 '물이 많이 불어났다','물이 말 ... ...
PART3. 쾌적한 조명환경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좋은 공기나 물을 얻기 위해 노력하는 것처럼 양적으로 풍부하고 질적으로 우수한 조명환경을 만들어야 한다.사람은 어머니 뱃속에서 태어나서부터 죽어서 무덤속에 들어갈 때까지 빛과 함께 산다고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심지어 앞을 못보는 장님이라 할지라도 마음속에 등불을 켜놓고 그것 ... ...
교사
과학동아
l
1989년 10호
개인과 전체, 교육의 올바른 방향과 입시, 이 갈등 속에서 세월은 가고··· ·현대를 흔히 과학의 시대라고 부른다. 그만큼 우리의 생활은 과학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이러한 과학의 시대에 앞으로 과학과 과학정책가들이 될. 아니면 장차 21세기를 젊어질 젊은이들에게 과학을 가르치는 과학 ... ...
남태평양의 진주 폴리네시아
과학동아
l
1989년 07호
화산도와 산호초로 이루어진 별처럼 많은 섬들. 그곳엔 아직 원시의 순수와 아름다움이 살아 있다.고고학이나 언어학자들은 폴리네시아인의 기원지가 멜라네시아이며 궁극적으로는 아시아라고 보고 있다. 피지제도에서 사모아와 통가 두 제도에 이주한 사람들이 3세기경 마르케사스제도로 건너 ... ...
이전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