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푸른색
하늘빛
코발트색
블루
청색
남색
blue
d라이브러리
"
하늘색
"(으)로 총 594건 검색되었습니다.
4월의 밤하늘 꼬리가 긴 두마리의 곰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이달의 행성금성| -4.0등급으로 저녁 무렵 보인다. 초순에는 오후 9시30분 경에, 말경에는 오후 10시 30분경에 진다. 히아데스와 플레이아데스 성단을 통과하면서 양자리에서 황소자리 쪽으로 움직인다.화성| 1.1등급으로 밝기가 약해지면서 쌍둥이자리에 위치한다.목성| -2.3등급으로 게자리의 벌 ... ...
벗겨지는 태양계의 신비④ 태양이 되려다 좌절한 목성(Jupiter)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태양계 행성 중 무게나 규모면에서 '큰아들'격인 목성은 태양계 생성 초기의 모습을 원형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질량 : 1.9×${10}^{26}$㎏지름 : 14만2천8백㎞평균밀도 : 1.33g/㎤자전주기 : 9시간50분~9시간55분공전주기 : 11.86년태양과의 평균거리 : 7억7천8백30만㎞(5.203AU) 태양계의 아홉개 행성중에서 가 ... ...
화성(Mars)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과연 화성에는 생명체가 존재했을까? '지구밖 문명'이 있다면 유일하게 가능한 곳, 화성을 찾아가 보자.태양계의 아홉개 행성중에서 인간이 오래 전부터 가장 많은 관심을 가졌던 행성이 화성(Mars)이다. 망원경으로 보면 붉게 보이는 이 행성은 옛날에는 지구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천체로 생각됐다. ... ...
혜성·신성·변광성을 관찰해보자
과학동아
l
1991년 03호
밤하늘을 관측하는 가장 효과적인 도구, 쌍안경. 자신에게 적절한 쌍안경을 선택하는 법과 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을 알아보자.쌍안경은 자연을 관찰하기 위해 고안된 가장 유용한 도구다. 쌍안경으로 새떼를 관찰하거나 운동경기를 관전하는 사람들이 많다. 더욱이 쌍안경은 별을 좋아하 ... ...
블랙홀·화이트홀·웜홀 우주의 세 구멍
과학동아
l
1991년 02호
닮은 점도 상반되는 점도 많은 우주의 세 괴천체는 서서히 그 정체를 드러내고 있다.우주의 세 구멍-검은 구멍(black hole) 흰 구멍(white hole) 벌레구멍(worm hole)-은 서로 유사한 성질과 상반되는 성질을 가졌다. 그러므로 이러한 분류는 구멍이란 공통된 이름에서 비롯된 잠정적인 것으로 생각해야 한다. ... ...
위베르 리브의 우주론 우주에는 또다른 생명이…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천체물리학자 위베르 리브는 새 생명의 탄생을 예측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위베르 리브(Hubert Reeves)는 캐나다 퀘벡에서 태어나 프랑스로 귀화한 천체물리학자다. 그는 프랑스 중부에 위치한 부르고뉴지방의 소도시 말리코른(Malicorne)에 살면서 우주의 신비를 연구하고 이를 일반인에게 보급하는데 ... ...
불꽃놀이의 과학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단순한 기술로 평가절하돼 왔던 불꽃제조술이 이제는 과학의 영역에 포함되게 되었다.해마다 추석 대보름날, 그리고 최근에는 아시안게임과 88서울올림픽 당시 경기장에서 혹은 산위에서 밤하늘을 향해 쏘아 올려지는 폭죽(fireworks)의 찬란함을 경험하지 않은 사람은 없을 것이다. 필자가 유학중인 ... ...
단풍과 낙엽으로 군살뺀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우리나라의 단풍이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이유는 무엇일까?우리나라는 가을에 단풍이 아름답기로 세계에서 손꼽히는 나라중의 하나다. 온대지방의 중위도지역에서는 가을이 되면 나무나 관목을 노랗게 혹은 붉게 물든다.보통사람들은 서리가 오게 되면 단풍이 든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사실은 ... ...
미로의 운전자에 나침반 제공한다
과학동아
l
1990년 10호
컴퓨터와 통신을 결합해 서울의 도로망을 제어하는 관제센터. 교통행정 최일선의 24시를 살펴본다.때아닌 폭우로 서울시내 곳곳이 물에 잠겼던 지난 9월. 출퇴근길의 서울시민치고 텔레비전이나 라디오의 교통정보방송에 귀를 기울이지 않은 사람은 드물 것이다. 시시각각 서울 전역의 교통 흐름도 ... ...
퀘이사라는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0년 09호
은하의 1백배가 넘는 에너지를 그 1만분의 1밖에 안되는 작은 천체에서 어떻게 생산할 수 있었을까?퀘이사(quasar)란 이상한 이름의 천체가 천문학자들의 새로운 연구대상으로 등장한 것은 196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새로운 발견이 대개 그렇듯이 최초로 발견된 퀘이사(3C48)는 맨 눈으로 볼 수 있는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