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른쪽"(으)로 총 1,888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내 손으로 가장 정밀한 뇌 지도를 그린다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배쪽 연결로인 4번과 전두부 피질 아래쪽인 18번은 위치로 구분됐죠. 이를 토대로 오른쪽과 같은 1차 지도가 만들어졌습니다.하지만 앞서 말했듯 하나의 영역은 동시에 여러 기능과 관련이 있습니다. 그래서 한 영역에 22가지 색 중 적게는 두 개에서 많게는 네 개까지 섞입니다. 그렇게 완성된 ... ...
- [Tech & Fun] 운동 선수의 금지약물 복용, 효과 얼마나 지속될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따라 기능이 천차만별이다. 네번째 고리에 카르복시기(-COOH)가 붙은 코르티코스테로이드(오른쪽 그림 아래)는 염증을 억제하는 효과가 뛰어나 피부치료제, 감기약 등에 널리 쓰인다.김재환이 복용한 1-테스토스테론은 동화작용 스테로이드의 한 종류다. 동화작용은 몸속에서 지방을 태우고 근육을 ... ...
- [Tech & Fun] 노르웨이극지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북극의 파리’ 트롬쇠에 있는 노르웨이극지연구소(NPI).왼쪽 건물이 폴라리아, 오른쪽이 NPI가 있는 프람센터다.북극과 인접한 노르웨이는 유서깊은 극지 연구의 나라입니다. 1903~1906년 북극해 항해를 처음으로 성공하고, 1911년 최초로 남극점에 도달한 탐험가 아문센이 바로 노르웨이 사람이죠. ... ...
- PART 2. 360° 영상은 위상수학으로수학동아 l2016년 09호
- 들린다. 헤드폰을 이용한다면, 왼쪽에 물체가 등장할 때 왼쪽 헤드폰의 소리를 키우고, 오른쪽 헤드폰의 소리를 낮추는 방식으로 다가오는 물체의 소리를 흉내 낼 수 있다. 공간에 스피커를 배치하는 경우에는 배치된 스피커의 소리를 조절한다. 스피커는 여러 개를 설치할 수 있어 헤드폰보다 더 ... ...
- PART 2. 거대 도시 이룩한 메가스트럭처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합쳐서 만들기도 한다. 바다를 가로지르는 다리 중 가장 긴 중국의 ‘자오저우완 대교(오른쪽 사진)’는 다리의 일부 구간은 사장교, 다른 구간은 현수교 형태로 만들었다.올해 완공 예정인 터키의 ‘보스포러스 제3대교(위 사진)’ 역시 사장교와 현수교를 합친 형태다. 다만, 자오저우완 대교와 ... ...
- [News & Issue] 내 DNA에… 낯선 유전자가 들어왔다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수평 전달 방식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다. 박테리아의 유전자 일부가 박테리오파지(오른쪽 그림 ①)나 작은 DNA인 플라스미드(②)를 통해 다른 개체 속으로 이동할 수도 있고, 죽은 미생물이 남긴 DNA조각을 다른 박테리아가 흡수(③)하면서 자신의 유전자에 변화를 일으킬 수도 있다. 윤환수 성균관대 ... ...
- [Tech & Fun] DGIST 학생들이 학교로 피서를 떠난 까닭은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중인데, 때마침 과학동아 기자가 찾아와 일을 덜었다(?)며 모두 반가워했다. ▲황현정 씨(오른쪽)와 UGRP 팀원들. 맨 뒤에서 턱을 괴고 있는 이는 이들의 지도교수인 김대륜 기초학부 교수.◀인턴 프로그램 동안 손상혁 펠로우팀은 사물인터넷을 기반으로 스마트홈을 연구한다.슈퍼컴퓨터부터 펠로우 ... ...
- Part 2. 생활에서도 스포츠 컨디셔닝하라과학동아 l2016년 08호
- 나면 양쪽 균형이 깨졌다는 얘기야. 역도는 균형이 중요한데 잘못하면 바로 부상이야. 오른쪽 다리 근육, 그중에서도 뒤쪽을 키워주는 훈련을 더 열심히 해야 해.” 이희종 연구원의 말에 선수들은 여느 국가대표 못지않게 진지했다.분석은 이것으로 끝나지 않았다. 선수들이 센터를 떠나면 ... ...
- [도전! 섭섭박사 실험실] 건전지 없이 전구에 불 켜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8호
- 은판과 아연판, 소금물에 적신 골판지를 겹겹이 쌓아 세계 최초로 전지를 만들었다(오른쪽 사진). 볼타전지에서 은은 구리나 탄소막대와 같은 역할을 한다. 예전 10원짜리 동전(구리)과 새로 나온 10원짜리 동전(알루미늄) 사이에 소금물에 적신 휴지를 넣고 이를 층층이 쌓으면 현대판 볼타전지를 ... ...
- [Knowledge] 칠면조는 왜 짝을 바라만 보고 있을까과학동아 l2016년 08호
- 행동을 일으키는 유전자는 다음 세대에 복제본을 현 세대보다 더 많이 남기게 된다(오른쪽 페이지 그림 참조).이처럼 포괄 적합도가 어디까지나 개체의 관점에서 바라본 개념임은 다음 인용문에서도 드러난다.각각의 개별적인 행동이 일어나는 상황에서, 개체는 자신의 적합도에 대비해 그 상황에 ... ...
이전5354555657585960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