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오른쪽"(으)로 총 1,888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뒤섞인 시체들의 신원 파악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시체가 있었다는 뜻이다.근사개체수(MLNI) : MLNI = (L+1)(R+1)/(P+1) – 1(L = 왼쪽 뼈 개수, R = 오른쪽 뼈 개수, P = 동일인의 뼈라고 판단되는 좌우 뼈의 쌍). MLNI는 LI를 통계적으로 수정한 방법이다.뒤섞인 뼈 제자리 찾기백골화된 시체가 여러구 뒤섞인 채 발견됐다면 신원확인 작업에 앞서 한 구씩 개체 . ...
- [소프트웨어] 개구리처럼 폴짝폴짝 플래피 버드수학동아 l2016년 12호
- 그려요. 즉 좌표 위에 (a, b)를 원의 중심으로 하는 반지름이 r인 원과 사각형의 왼쪽 변과 오른쪽 변을 x=c, x=d(c d), 아래쪽 변과 위쪽 변을 y=e, y=f(e f ) 꼴의 직선을 나타낼 수 있어요.만약 사각형의 위쪽 변과 새가 부딪혔는지 판정하고 싶다면 원의 중심 (a, b)와 직선 y=f의 위치 관계를 살펴보면 돼요.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버티다’라는 뜻을 나타내요.한편 뒤에 쓰인 ‘지(持)’는 ‘가지다’를 뜻해요. 글자의 오른쪽에 있는 ‘지(寺)’만으로도 물건을 가지는 것을 의미하지만 그 앞에 손을 뜻하는 ‘수(扌(=手))’를 더해 ‘손으로 물건을 가지다, 붙들다’를 나타낸답니다.이렇게 서로 다른 두 개의 ‘지’가 합쳐져 ... ...
- Part 3. 항성탐사를 위한 무한도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속도로 날린다는 계획이지요. 이전에도 우주 돛단배가 우주를 여행했던 적이 있어요(오른쪽 사진). 이 돛단배들은 태양빛을 이용해 움직인답니다. 우주 돛단배의 돛은 얇은 플라스틱에 금속이 코팅되어 있는 구조로, 가벼우면서도 빛을 잘 반사시킬 수 있어요. 빛은 ‘광자’라는 입자로 이루어져 ... ...
- [소프트웨어] 꼬마 스티브 잡스 키운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미션이 있었는데 엔트리봇을 움직여서 단계별로 깨 나갔어요. ‘앞으로 한 칸 이동’, ‘오른쪽으로 돌기’ 이런 식으로 움직이고, 하나씩 깰 때마다 10점씩 얻어요. 총점으로 미션 순위를 매겼고요.주헌 : ‘코봇’을 이용해서 게임을 만드는 미션도 있었어요. 조이스틱을 움직여서 다가오는 공을 ... ...
- [수학동아클리닉] 수학으로 만나는 우리 고장의 근대역사수학동아 l2016년 12호
- 비교하면 구할 수 있습니다. 열 번째 미션, 대구의 정기! 천 보(步)를 걸어 닿은 명당오른쪽 벽화를 본 적이 있나요? 노란 옷을 입은 사람은 중국 명나라 최고의 풍수지리가 ‘두사충’입니다. 두사충은 임진왜란 때 명나라의 원군으로 조선에 왔는데, 조선의 지세를 살펴서 적합한 장소에 진지를 ... ...
- [과학뉴스] ‘플라시보 효과’ 뇌과학으로 입증과학동아 l2016년 12호
- 효과를 보였고 뇌의 같은 부분이 활성화됐다. 반면 진짜 진통제를 처방받은 환자들은 오른쪽 해마옆이랑 영역이 활성화됐다.논문의 교신저자인 노스웨스턴 의대 바니아 압카리안 교수는 “이 연구 결과를 활용하면 누가 플라시보 반응을 강력하게 보일 수 있는지 미리 골라내 임상 시험을 지금 보다 ... ...
- Part 1. 쇼핑몰에서 지진이 났다면?수학동아 l2016년 11호
- 한 번에 한 칸씩 이동하도록 설계했어요. 만약 앞 칸에 사람이 있어 전진할 수 없다면 오른쪽으로 움직이고, 거기에도 사람이 있어 갈 수 없으면 왼쪽으로 이동하도록 했지요. 마지막으로, 보행자의 밀도와 우측통행을 하는 사람의 비율을 바꿔가면서 시뮬레이션했어요.그 결과 보행자가 많지 않을 ... ...
- [수학동아클리닉] 점, 선 ,면의 확장수학동아 l2016년 11호
- 한붓그리기의 대표적인 문제가 바로 ‘쾨니히스베르크의 다리 건너기 문제’다. 오른쪽 그림과 같이 육지와 육지를 잇는 7개의 다리가 있다고 해보자. 그러면 다음 질문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오랫동안 해결되지 않던 이 문제는 오일러가 위상동형을 이용해 해결했다. 아래 그림을 보면 다리와 ... ...
- 노벨상 발표에 베이글이 등장한 사연수학동아 l2016년 11호
- 그림처럼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고 있는 소용돌이가 쌍을 이루고 있다. 온도를 높이니 오른쪽 그림처럼 소용돌이가 더이상 짝을 짓지 않고 자유롭게 흩어져 움직였다. 2차원에서는 이것을 상변이가 일어났다고 한다. 소용돌이는 와인딩 수라는 위상적인 성질을 갖고 있으므로 ‘위상적인 상변이’가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