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언어"(으)로 총 1,916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ledge] 우리의 소원은 통일이론과학동아 l2015년 10호
- 밝힐 수도 있다. 하지만 새로운 이론을 만들 수도 있다. (1) 이론을 설명할 제대로 된 언어를 제시해 수수께끼를 해결하는 것, (2) 이론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찾아냄으로써 측정과 관찰이 본질적인 역할을 하지 않게 하는 것, (3) 양자역학보다 자연을 더 근본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새로운 이론을 ... ...
- [Life & Tech] 우리는 왜 ‘언프리티랩스타’에 열광하는가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줄이고 뇌로 하여금 감정을 정리하게 한다. 이는 배움과 지각 능력, 특히 인지와 언어를 담당하는 뇌 영역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안전하다는 감정을 신뢰감으로 이어지게 한다”고 밝혔다.여기서 언급한 동조 현상은 생물학 용어로 내부와 외부의 리듬이 서로 맞춰지는 현상을 말한다. 우리 몸에는 ... ...
- “세상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학문, 컴퓨터공학”과학동아 l2015년 10호
- 시각적으로 직관적인 자료를 보여주기 위한 그래픽스 연구 등이 대표적이죠. 프로그래밍 언어나 데이터베이스도 꾸준히 연구되고 있고요. 모두 세상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빅데이터를 위한 운영체제이선민 교수님은 이 많은 분야 중 어떤 연구를 하고 계신가요?전병곤 ... ...
- [생활 SW가 펼치는 상상의 세계➑] 세상을 바꾸는 프로그래밍, 해카톤수학동아 l2015년 10호
- 떨어뜨려 유통기한이 되기 전에 팔 수 있게 해 주는 앱이다. 앱은 아이폰에서 Objective C언어로 ‘Xcode’를 이용해 개발했다.편의점은 음식을 버리지 않아서 손해를 보지 않아도 되고, 고객은 더 싼 가격에 음식을 살 수 있어서 좋다. 음식물쓰레기도 줄일 수 있다. 삼각김밥을 싸게 사려고 편의점에 온 ... ...
- [참여] 게임카페 1기, 두 번째 수업 오늘은 나도 컴퓨터 게임 개발자!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있던 블록과 충돌하면 처음부터 다시 시작한다는 조건을 게임에서 구현하려면 컴퓨터 언어로 적합한 명령어를 입력해야 해요. 명령어를 골라 입력하는 방법까지 배우고 이 날 게임카페는 마무리됐어요.수업이 끝난 뒤에도 자리를 떠나지 않는 학생이 많았어요. 게임을 저장해서 가져가도 되는지는 ... ...
- 수학은 죄가 없다 수학 교실을 재밌게!수학동아 l2015년 09호
- 자연수를 구성하는 주요 수라는 뜻이다. 박 교수는 “수학 용어가 생소하게 느껴지는 건 언어 자체의 문제라기보다 그 용어가 만들어진 이론적·역사적 배경을 몰라서”라고 말했다. 일상어 때문에 더 헷갈려!수학 개념을 담고 있는 용어를 일상어로 바꾸면 일상어의 원래 의미가 간섭을 일으켜 ... ...
- [핫이슈] 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란 소’, 황을 ‘류황’, 임업을 ‘림업’이라고 한다. 지금까지 접해온 북한의 일반 언어와 비교해 크게 생소하지는 않다.문제는 외래어를 우리 말로 표기할 때다. 과학 용어의 상당 부분은 외래어에서 유래했다. 남한은 국제 추세에 맞춰 외래어의 미국식(영어) 발음을 충실하게 소리로 옮겨 ... ...
- 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과학동아 l2015년 08호
- 바뀌기도 한다. 그중 다섯 가지를 엄선해 소개한다. 이것만 알면 당신도 이제 후성유전 언어의 전문가가 될 수 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PART5. ... ...
- [지식] 마지막 요리 모두의 맛, 미분과 적분 그리고 치킨수학동아 l2015년 08호
- 점은 분명합니다. 특히 뉴턴은 물리학에 미적분을 도입했습니다. 덕분에 인류는 수학의 언어로 우주를 논할 수 있게 됐습니다. 라이프니츠가 미분과 적분을 세상에 처음 선보인 사람이라는 사실도 부정할 수 없습니다. 또한 라이프니츠는 미분과 적분을 쉽게 쓰는 방법을 만들었습니다. 오늘날 ... ...
- 아인슈타인도 깜짝 놀란 뇌 연구소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8호
- 영역’이라고 부르기 시작했어요.1870년대 독일 신경정신과 의사 카를 베르니케는 뇌에서 언어를 담당하는 또 다른 부분을 발견해요. 왼쪽 뇌의 뒤통수엽에 위치한 ‘베르니케 영역’으로, 이 부분이 손상되면 겉보기에는 유창하게 말을 하지만 자세히 들어보면 의미를 알 수 없는 말들이에요. 다른 ... ...
이전5354555657585960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