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언어"(으)로 총 1,91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비밀번호 무력화하는 백도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코드는 원래 (current->uid == 0) 이었지만, 누군가 (current ->uid = 0)으로 수정했다. 프로그래밍 언어에서 ‘=’과 ‘==’은 하늘과 땅 차이다. ‘a==0’은 a가 0일 때를 확인하는 것이지만(등가 여부 확인), ‘a=0’은 a에 0을 할당한다는 뜻이다.위의 코드는 금지 문서에 접근할 때 실행되는 함수의 일부 코드 ...
- PART 1 크다고 다 빅데이터일까?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의미가 있다. 데이터를 표현하는 행렬그러면 빅데이터는 어떻게 분석할까? 과학의 언어가 수학이듯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도 수학이 그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행렬’은 데이터를 표현할 때 중요하다. 예를 들어, ‘행렬은 데이터를 표현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한다’라는 문장을 데이터로 ... ...
- [News & Issue] 경쟁하는 너? 스트레스 받는 나!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지어 설명하는 학자도 있다. 어쩌다 보니 비정상적으로 커졌는데, 덕분에 남는(?) 뇌로 언어를 사용할 수 있어서 그대로 남았다는 주장도 있다. 하지만 최근에는 이른바 ‘사회적 뇌(Social Brain)’ 가설이 많은 설득력을 얻고 있다. 즉, 인간사회가 점점 복잡해지면서 뇌도 따라서 커졌다는 것이다.이런 ... ...
- [News & Issue] 젊은 물리· 천문학자들이 송유근 학생에게 보내는 조언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소화해야 합니다. 단순히 기존 연구를 소개하는 게 아니라, 내 연구의 중요성을 나만의 언어로 독자에게 설명하고 설득하는 부분입니다. 이 과정을 겪으면서 내 연구가 왜 필요한지, 어떤 점이 특별한지 스스로 되새김질할 수 있습니다.“제1저자가 논문의 본문 작성해야”(B 연구원. 미국연구소 ... ...
- [Tech & Fun] 물리학자, 언어의 특징을 밝히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v로의 변화보다 많은지 적은지 한 눈에 알아볼 수 있다.네트워크의 통계적인 분석은 언어의 진화뿐 아니라 다양한 사회, 문화적 현상을 분석하는 데도 유용하게 쓰인다. 올해 초에도 네트워크를 이용해 여러 나라의 도시별 경제 패턴이 얼마나 유사한지를 밝힌 윤 연구원의 논문이 영국 왕립학회 ... ...
- Part 4 인간과 기계의 경계가 무너진다 ... 우리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자유로우면서도, 인간과 다른 존재들이 공동으로 번영하는 것을 상상할 수 있는 새로운 언어적 문법이 필요하다. 과학기술의 발전적 적용에 대해 원칙적으로 반대하지 않으면서, 거기에서 파생되는 해로운 결과에 대한 무지나 무책임성에 대해 비판할 수 있는 도덕적 상상력 또한 필요하다. ... ...
- [Knowledge] 저와 대화해 볼래요?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묘사하기도 하고, 언어능력을 통해 새로운 기술을 습득할 줄도 안다. 자신이 습득한 언어를 동료에게 가르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랑 같은 감정을 표현할 수 있다는 것도 보여줬다. 심지어 음악을 듣고는 그림을 그려 제목을 붙이기까지 했다.물론, 이 같은 의사소통이 쉽게 이뤄진 것은 아니다. ... ...
-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시절 가장 활발하다가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조금씩 떨어져요. 그래서 어린 시절 새로운 언어나 운동 등을 쉽게 배울 수 있는 거지요.약시의 대표적인 치료 방법인 ‘가림치료’는 뇌의 신경가소성을 이용한 방법이에요. 가림치료란 시력이 잘 안 나오는 눈을 되살리기 위해 반대로 잘 보이는 눈을 ... ...
- [지식] 소수 끝자리 분포의 미스터리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이 추측이 실제 소수의 개수와 얼마나 차이가 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C++’이라는 언어로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1부터 1,000,000,000,000까지 소수를 모두 구해서 다 셌습니다. 컴퓨터가 없었다면 불가능한 작업이었을 연구지요. 아직은 이런 현상이 그저 소수가 가진 특이성인지, 아니면 소수가 아닌 ... ...
- [소프트웨어] 똑똑한 자동차 ‘알파카’수학동아 l2016년 05호
- 과정을 밟았거든요. 1958년에는 수학을 토대로 인공지능의 기본 언어인 LISP라는 컴퓨터 언어를 개발했습니다.또 다른 근거로는 인공지능의 핵심인 ‘딥러닝’을 들 수 있습니다. 딥러닝은 사람의 두뇌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을 모방해 만든 분석체계로, 수학 그 자체라고 해도 무방합니다. 확률을 ... ...
이전49505152535455565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