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스템"(으)로 총 4,562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하인드 로켓] 나로호 발사 D데이, 이륙 900초 전 자동 카운트다운 시작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사용하기 때문에 사용한 헬륨만큼 다시 보충해서 나로호를 이륙시키는데, 자동발사시스템은 헬륨이 보충되기 전에 고압탱크 내부 압력을 계측하도록 프로그램돼 있었다. 사전연습에서 이를 발견하지 못한 것은 실제상황과 연습상황의 차이였다. 지상검증용기체(GTV)로 진행하는 발사 연습에서는 ...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NCT 유닛으로 가능한 그룹 수를 구하라!수학동아 l2020년 06호
- 될 수도 있다’는 말이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이다. 이처럼 SM의 야심이 드러나는 NCT 시스템에는 SM의 공개 연습생인 ‘루키즈’도 추가로 합류할 가능성이 있어 확장성이 있는 것은 맞지만, 루키즈의 수도 한정적이고 현재 NCT의 멤버 수도 총 18명으로 고정돼 있으므로, 엄밀히 말해 NCT에서 만들 수 ... ...
- 살이 빠지는 화학반응이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화학반응만으로 설명하기에는 어려울 정도로 복잡한 신경계나 호르몬계 등의 체내 시스템과 함께 상호 보완적인 복잡계를 형성하고 있다. 이 또한 화학자가 인체의 화학반응을 끊임없이 연구해야 할 이유이기도 하다. *용어정리아데노신삼인산(ATP): DNA의 네 염기 중 하나인 A(아데닌)에 인산기 ... ...
- 문화재, 실시간으로 감시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6호
- 학습한 인공지능으로 위협을 예측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어요. 이어 “이 시스템은 강원도 내 100여 개 문화재에 적용되고 있는데, 노후 건축물이나 공사 현장 등에도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드론 보안관이 문화재 훼손 막는다! 지난 1월 12일, 페루에 있는 잉카 문명 유적지 ... ...
- 누가 지방세포를 키우나?과학동아 l2020년 06호
- 좌지우지한다. 지방세포 형성은 인슐린을 비롯한 다양한 성장 인자와 세포 내 신호 전달 시스템의 일종인 JAK2-STAT3 경로에 의해서 시작된다. 이 경로에서 핵심이 되는 유전자는 과산화소체 증식-활성화 수용체감마(PPARγ)란 이름을 가진 전사 인자인데, 이 전사 인자는 지방세포로서의 기능을 ... ...
- 초음속기vs하이퍼루프vs위그선...진정한 ‘번개’를 가리다과학동아 l2020년 06호
- NASA의 케빈 바이너트 프로젝트 매니저는 “충격파가 만드는 소음을 측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해 소음을 측정한 결과 예측값과 일치했다”며 “X-59 퀘스트는 기존의 초음속기보다 소닉붐으로 인한 소음이 훨씬 적을 것”이라고 말했다. 하이퍼루프 I 진공으로 쏘는 열차 ▲ 호주 빅하이퍼 ... ...
- 글로벌 제약 사업에 뛰어든 바이오 전문가 “인생의 멘토를 만드세요”과학동아 l2020년 06호
- 결과를 연구에 적용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다시 임상을 진행하는 효율적인 네트워크 시스템이 인상 깊었다”고 말했다. 그러던 2015년 지카와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바이러스가 세계를 강타했다. 마침 국내 바이오기업인 진원생명과학의 미국 관계사가 메르스 백신 임상을 시작한다는 ... ...
- [스쿨리포트 A+] 과학실 안전과 연구 윤리과학동아 l2020년 06호
- 물질안전보건자료(MSDS·Material Safety Data Sheet)와 화학물질 분류 및 표지에 관한 세계조화시스템(GHS·Globally Harmonized System of Classification & Labeling of Chemicals) 등 크게 두 가지입니다.먼저 MSDS는 화학물질에 대한 안전상,∙보건상의 기초 자료입니다. ...
- 환경 재난, 경제위기로 이어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5호
- 비교해 수백 배 빠르게 가속되는 생물 다양성 손실도 지적했어요. 이것이 식량 및 보건 시스템의 붕괴를 가져올 수 있어 경제위기로 이어질 위험이 높다고 본 거예요.국제결제은행(BIS)은 지난 1월 20일 발표한 보고서를 통해 기후변화가 경제위기로 이어지는 현상을 ‘그린스완’이라고 ... ...
- [방구석 과학] 끓일수록 깊은 맛이? 가마솥 감바스과학동아 l2020년 05호
- 가마솥은 뚜껑의 무게가 전체 무게의 3분의 1이나 차지합니다. 노봉수 서울여대 식품응용시스템학부 명예교수는 “전통 가마솥은 뚜껑을 들어 올리지 못하고 비스듬하게 밀어서 열어야 할 정도로 무겁다”며 “무거운 솥뚜껑이 내는 가마솥 밥맛을 재현하기 위해 개발된 것이 바로 ... ...
이전5354555657585960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