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시스템"(으)로 총 4,562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진행했다. 논의 끝에 결론 내린 생물의 정의는 ‘다윈의 진화론을 따르는 자립형 화학 시스템(A self-sustaining chemical system capable of Darwinian evolution)’이었다. 이는 물체가 분자구조를 이루고 있고, 이 구조는 자발적으로 형성되며, 물질대사나 생식 등을 조절할 수 있고, 자연선택에 따라 세 ...
-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숙주 바깥에서 오래 살 수 있어야 하며, 그리고 무엇보다 그 바이러스가 인간의 면역시스템을 효과적으로 회피해야 하는 등 여러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이처럼 바이러스는 숙주에 대한 의존도가 굉장히 높은 삶을 산다. 이는 숙주에 침투해 증식할 수만 있다면, 숙주가 어느 환경에 살든 바이러스 ... ...
- STEP ④ 새로운 바이러스 조립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면역세포를 활성화하는 신호 물질인 인터페론을 유도하는데, 이를 막아 면역시스템이 효과적으로 일어나지 않도록 만든 것이다. 그런가 하면 코로나바이러스 등 급성 질환을 일으키는 RNA 바이러스는 중화항체가 만들어지는 것보다 자손을 훨씬 많이 만들어버리는 ‘인해전술’을 펼치기도 ... ...
- 수지상세포...바이러스 정체 알리는 전령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찾기 위해 탐색을 시작하고, 특히 항원과 마주치면 더욱 적극적인 신호 전령사가 돼 면역시스템에 항원의 침입을 알린다. 대식세포의 경우 림프계 세포에 신호를 보내 도움을 청하긴 하지만 적이 침입한 현장에서 싸우다 죽을지언정 그곳을 떠나지 않는다. 이와 달리 수지상세포는 항원을 ... ...
- 무조건 막는다, 면역세포의 방어 전략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명을 넘어섰다. 인간은 새롭게 출현한 코로나19를 경험해보지 못했고, 개인이 가진 면역시스템으로 이를 극복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서 집단면역의 능력이 주목을 받고 있다. 다만, 백신과 치료제 개발에는 최소 수개월에서 수년의 시간이 필요하고, 코로나19로 사망자가 수십만 명에 ... ...
- 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인간의 면역시스템뿐만 아니라 체내 대사, 행동발달 등 인체 내 다양한 생물학적 시스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보이틀러는 유전자 분석 기술을 활용해 톨 유사 수용체의 돌연변이 표현형을 찾고, 이 중에서 질병 완화에 효과가 있는 돌연변이 유전자만 선별해 이 ... ...
- 실험실 안에 성층권이?!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지상에서 성층권에 대한 정확한 수치를 알기엔 한계가 있었지요. 이럴 때 고층기상모사시스템(UAS)이 빛을 발하는 거예요. UAS에 라디오존데를 넣어 사전 실험을 한 뒤, 직접 성층권으로 올려보내 관측하면 보다 정확한 수치를 얻을 수 있지요. 연구팀은 올해 초 UAS를 업그레이드한 뒤, 3월 중 UAS에서 ...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2. 외계인을 어떻게 찾아?수학동아 l2020년 07호
- 지역의 천체를 24시간 연속으로 관측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24시간 내내 관측할 수 있는 시스템은 세계에서 유일무이한 방식이죠. 우리은하 중심에서 일어나는 미시중력렌즈 현상을 이용해 외계행성을 찾는 것이 주된 연구 목표예요. 이외에도 초신성, 소행성 및 외부 은하에 대해 연구합니다 ... ...
-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기업인 테라젠이텍스는 NGS 기반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전체 분석 시스템을 개발해 2020년 4월 20일부터 서비스를 시작했는데, 한 번에 수천 건의 검체를 분석할 수 있으며 소요 기간도 2~3일밖에 걸리지 않는다고 밝혔다.이런 유전자 분석 기술을 바탕으로 분류된 현재의 바이러스 ...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유지하는 특징이 있다. 바이러스가 체내에서 치명적인 병원성을 보이면 언제든 면역시스템을 작동할 준비가 돼 있어, 특별히 아프지 않고 바이러스와 공존할 수 있는 셈이다. 또한 박쥐는 c-Rel 유전자가 면역 반응을 억제하고 있어 이른바 사이토카인 폭풍(cytokine storm)이 일어나지도 않는다. 생물의 ... ...
이전5152535455565758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