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직망
계통
제도
기구
조직
시스팀
system
d라이브러리
"
시스템
"(으)로 총 4,562건 검색되었습니다.
[교육뉴스] 확 바뀐 수학 수업으로 AI시대 인재 기른다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맞춤형 학습을 제공하는
시스템
인 ‘AI 수학학습 지원
시스템
’을 마련합니다. 이
시스템
을 이용하면 자신의 수준을 파악하고 이를 보완하는 콘텐츠를 추천받을 수 있습니다. 진단과 학습 데이터는 교사에게 제공해 학습 및 진로 상담에 활용할 예정입니다.또 교과서 속 문제에서 벗어나 실생활과 ... ...
[진로체험] 건설 현장의 문제도 수학으로 푼다! 인공지능 엔지니어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인공지능 ‘왓슨’이 분석한 결과를 참고하는 것처럼 딥러닝과 전문가가 함께 일하는
시스템
을 만드는 게 목표예요. 토목 분야에서는 아직 생소한 방식이다 보니 받아들이는 데 시간이 필요한 것 같아요. 수학이 어떤 점에서 도움이 되나요?제가 하는 일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 데이터인데요, ... ...
바이러스는 생물일까 무생물일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진행했다. 논의 끝에 결론 내린 생물의 정의는 ‘다윈의 진화론을 따르는 자립형 화학
시스템
(A self-sustaining chemical system capable of Darwinian evolution)’이었다. 이는 물체가 분자구조를 이루고 있고, 이 구조는 자발적으로 형성되며, 물질대사나 생식 등을 조절할 수 있고, 자연선택에 따라 세 ...
수지상세포...바이러스 정체 알리는 전령사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찾기 위해 탐색을 시작하고, 특히 항원과 마주치면 더욱 적극적인 신호 전령사가 돼 면역
시스템
에 항원의 침입을 알린다. 대식세포의 경우 림프계 세포에 신호를 보내 도움을 청하긴 하지만 적이 침입한 현장에서 싸우다 죽을지언정 그곳을 떠나지 않는다. 이와 달리 수지상세포는 항원을 ... ...
[수학뉴스] ‘골든 타임’ 중요한 해난 구조 수학이 돕는다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트랩을 추적할 수 있는 알고리듬을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실제 바다에 위성위치확인
시스템
(GPS) 수신기를 부착한 마네킹을 표류시켜 실제 위치와 알고리듬으로 예측한 결과를 비교했죠. 그 결과 실제 위치와 예측이 매우 유사했습니다. 토머스 피콕 매사추세츠공과대학교(MIT) 기계공학과 교수는 ... ...
[특집] 수학으로 따지기2. 외계인을 어떻게 찾아?
수학동아
l
2020년 07호
지역의 천체를 24시간 연속으로 관측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24시간 내내 관측할 수 있는
시스템
은 세계에서 유일무이한 방식이죠. 우리은하 중심에서 일어나는 미시중력렌즈 현상을 이용해 외계행성을 찾는 것이 주된 연구 목표예요. 이외에도 초신성, 소행성 및 외부 은하에 대해 연구합니다 ... ...
[에디터노트] 바이러스 특별판을 펴내며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무엇보다 노벨상 수상자들의 업적을 통해 그간 과학자들이 바이러스와 인체의 면역
시스템
의 비밀을 밝히기 위해 얼마나 고군분투했는지 그 과정을 담았다. 면역세포인 T세포의 작동 원리를 밝혀 1996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피터 찰스 도허티 박사와는 직접 e메일 인터뷰를 진행해 ... ...
바이러스는 얼마나 다양할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기업인 테라젠이텍스는 NGS 기반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전체 분석
시스템
을 개발해 2020년 4월 20일부터 서비스를 시작했는데, 한 번에 수천 건의 검체를 분석할 수 있으며 소요 기간도 2~3일밖에 걸리지 않는다고 밝혔다.이런 유전자 분석 기술을 바탕으로 분류된 현재의 바이러스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유지하는 특징이 있다. 바이러스가 체내에서 치명적인 병원성을 보이면 언제든 면역
시스템
을 작동할 준비가 돼 있어, 특별히 아프지 않고 바이러스와 공존할 수 있는 셈이다. 또한 박쥐는 c-Rel 유전자가 면역 반응을 억제하고 있어 이른바 사이토카인 폭풍(cytokine storm)이 일어나지도 않는다. 생물의 ... ...
1980년 면역거부반응의 이유를 찾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이식의 최대 난관은 면역거부반응이다. 면역거부반응은 수혜자의 면역
시스템
에 의해 기증자의 장기가 염증을 일으키며 손상되는 현상이다. 현상 자체는 일찍이 1900년대 중반부터 알려져 있었다. 1930년대 유전학 연구를 시작한 조지 데이비스 스넬은 암세포에서 이런 거부반응을 확인했다. 스넬은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