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법"(으)로 총 2,164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포항에서 서울까지 흔들~! 지진에서 살아남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걱정돼. 하지만 걱정만 해서는 지진에 제대로 대비할 수 없는 법! 지진에서 살아남는 방법을 함께 알아보자~.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포항에서 서울까지 흔들~! 지진에서 살아남기Part 1. 한눈에 보는 포항 지진Part 2. 미리 알고 대비하라!Part 3. 지진에 버티는 건물을 지어라!Part 4. ... ...
- Part 3. 지진에 버티는 건물을 지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건물의 바닥에 고무로 만든 두꺼운 구조물을 깔아서 건물과 땅을 분리시키는 방법이에요. 고무가 지진에 맞춰서 모양을 변화시키면서 진동을 흡수하지요. 실제로 면진설계가 적용된 일본의 11층 건물은 규모 7.3의 지진에도 피해가 거의 없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포항에서 ... ...
- Part 1. 모래, 세계 곳곳에서 사라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0호
- 채취로 인한 피해를 알게 됐어요. 인도네시아는 2006년부터 바다에서 모래를 채취하는 걸 법으로 금지했지만, 이미 사라진 모래섬은 돌이킬 수 없었지요. 또 중동에 있는 두바이는 야자수 모양의 인공섬인 ‘팜 쥬메이라’를 짓기 위해 페르시아만에서 2억 5000만 톤의 모래를 채취했어요. 그런데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어떤 종이든, 동료 학자의 연구가 잘 되었다는 이러한 소식은 축하해줄 가치가 있는 법이다. 『우리는 우리 사이의 토론에 대한 귀하의 도움에 최선의 감사를 표합니다. 생물체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한 오랜 논쟁은 당신이 제공한 지식과 통찰 덕분에 성공적으로 끝났습니다. 그 보답이라 할 수 ... ...
- Part 4. 푸드트럭 장수의 비결수학동아 l2017년 12호
- SNS에서도 푸드트럭을 홍보하는 글을 쉽게 볼 수 있다. 이처럼 경험으로 얻는 생존법칙도 수학으로 계산한다면 영리한 장사꾼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푸드트럭 성공공식Part 1. 핫스팟을 찾아라!Part 2. 재료를 준비하라!Part 3. 손님이 기다리게 하지마라Part 4. ... ...
- Part 3. 손님이 기다리게 하지마라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사장 대신 종업원B가 음식 포장과 제공을 맡아도 공평한 분배가 이뤄지는데, 여러 분배법 중 작업 동선을 가장 편하게 만드는 답을 고르면 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푸드트럭 성공공식Part 1. 핫스팟을 찾아라!Part 2. 재료를 준비하라!Part 3. 손님이 기다리게 하지마라Part 4. ... ...
- [현장 취재] 1여행 1드림 프로젝트 ‘다리 밑 학교’ 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처음 해 보는 실험 수업에 다리 밑 학교 친구들은 신이 났어요. 처음엔 종이를 자르는 법도 몰랐지만, 금새 기자들을 따라 자석 용수철과 잠망경을 완성했지요. 자석의 N극과 S극 사이엔 서로를 끌어당기는 ‘인력’이 있단 사실을 알게 됐고, 잠망경을 통해 잠수함에서 물 밖을 어떻게 ... ...
- Part 1. 배트맨의 검은 배트슈트, 최소 두께 가진 최강 그래핀으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제조 공정이 필요하다. 더불어 나노복합재료의 방탄 특성을 정확히 분석할 새로운 실험방법도 절실히 요구된다. 이런 노력 중의 하나로 필자는 레이저를 이용해 실제 총알보다 수천 배 작은 총알을 초음속으로 가속한 뒤, 이를 나노복합재료에 충돌시키는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1조 분의 1초 동안 ... ...
- [수학공감] 여행에서 수학을 발견하다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이끈 김춘희 삼계중 수학 교사는 “학생들이 매스투어를 경험하며 수학으로 세상을 보는 법을 깨닫기를 바란다”며, “여행을 통해 선후배가 가까워지고 멘토와 멘티 관계로 발전해 인성 교육에도 효과가 크다”고 말했다. 1학년 서예준 군은 “그동안 책에 있는 수치만 갖고 계산해 문제를 ... ...
- [Culture] 알골과학동아 l2017년 11호
- 물었다. 이름은 어떻게 할 거냐고. 나는 그들의 전통에 따라 문학작품 속 위대한 마법사의 이름을 따올 생각이었다. 오베론, 사루만, 게드…… 적당한 이름을 찾다가 나는 프로스페로라는 이름이 얼마나 오만한 것이었는지 새삼 깨달았다. 어쩌면 그는 내심 다른 두 알골을 캘리반이나 ... ...
이전53545556575859606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