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난"(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 04. 핵융합 vs. 우주태양광 - 2050년 상용화 목표과학동아 l2004년 10호
- ITER의 참여국은 미국, 러시아, 유럽연합, 일본, 중국, 그리고 우리나라다. 우리나라는 지난해 6월부터 ITER에 참여하고 있다. 핵융합 연구에서 후발주자인 우리나라가 ITER에 참여할 수 있었던 것은 국내 핵융합 프로젝트인 K스타 덕분이다.K스타는 1995년 12월부터 국가핵융합 연구개발 사업차원에서 ... ...
- 물리학으로 교통체증 예측한다과학동아 l2004년 10호
- 차들이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도로 상황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새로운 모델이 필요했다.지난 6월 서울대 물리학부 김두철 교수 연구팀이 발표한 교통흐름 모델이 바로 그 주인공이 됐다.교통흐름을 구현하는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먼저 차량의 움직임에 대한 규칙을 수식으로 표현해야 한다. 이 ... ...
- 도시에도 바람길 필요하다과학동아 l2004년 10호
- 공기는 훨씬 맑아질 수 있다.서울의 고밀도 개발이 바람길을 얼마나 막고 있을까. 필자는 지난 2000년 서울의 급속한 개발을 상징할 수 있는 한강 양쪽 지역, 여의도 및 상계동 지역에 대한 바람길 조사에 나섰다. 당시 지상 30m에서 부는 바람과 사람이 숨을 쉬는 높이에 해당하는 1.5m에서의 바람을 ... ...
- 우주에 있는 거대한 '고양이 눈'과학동아 l2004년 10호
- 것 같아 약간은 섬뜩한 느낌이 든다. 우주에도 거대한 고양이 눈이 있다면 어떤 모습일까.지난 9월 9일 미항공우주국(NASA)은 허블우주망원경의 고성능카메라(ACS)로 찍은 별칭 ‘고양이 눈’ 성운 NGC6543의 사진을 공개했다. 이번 사진은 이제까지 촬영했던 어떤 사진보다 적나라하게 고양이 눈 성운의 ... ...
- 최초의 외계 행성 이미지 포착?과학동아 l2004년 10호
- 행성의 최초 이미지일 확률이 매우 높은 사진이 지난 9월 10일 공개됐다.유럽남천천문대(ESO)는 지구에서 약2백30광년 떨어진 곳에서 희미하게 빛나고 있는 갈색 왜성(사진 가운데) 옆에서 행성으로 추정되는 붉은 빛의 천체(사진 왼쪽아래)를 포착했다. 칠레 북쪽 체로 파라날에 위치한 직경 8.2m인 ... ...
- 북한, 토끼 복제과학동아 l2004년 10호
- 북한이 복제했다고 주장하는 토끼도 봤다며 그 사진을 실었다. 북한 실험생물학연구소가 지난 2002년 성공했다는 복제토끼가 외부에 알려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스톤을 안내한 37세의 젊은 과학자인 연구소의 리학철 박사는 “이 토끼는 당시 복제에 성공한 6마리 중 하나로 조만간 서구 ... ...
- 혈관 다스려 난치병에 도전한다과학동아 l2004년 10호
- 치료제로 개발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비정상적인 혈관신생을 조절하는 과학기술은 지난 10년간 많이 발전해왔지만 아직 갈 길이 멀다. 최근 강원대, 서울대, 성균관대, 포항공대, 강릉대, 세종대, 연세대 등 국내 여러 대학에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혈관신생 관련 연구가 이 분야의 신약개발에 ... ...
- 카시니, 토성 위성 2개 발견과학동아 l2004년 09호
- 돌고 있다.이들 위성을 포착한 영상은 카시니호가 토성으로부터 1천6백50만km 떨어져 있던 지난 6월 1일 찍은 것이다. 영상 안에서 위성의 모습은 미미했지만 특이한 행동을 보이는 천체를 찾도록 설계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이를 놓치지 않고 포착했다.이번 발견을 계기로 위성의 자격에 대한 논의가 ... ...
- 1. 인터넷 시대 심리를 알아야 한다과학동아 l2004년 09호
- 한국심리학회의 한 분과로 출발해 1989년 첫 학회지를 창간하며 본격적으로 출범했다. 지난 2002년 생물생리심리학회와 통합되면서 현재의 실험심리학회라는 명칭을 갖게 됐다. 실험심리학은 인간의 두뇌 활동과 관련된 감각이나 지각, 학습, 언어 심리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 실험심리학이 ... ...
- 3. 인터넷 또다른 나를 만들다과학동아 l2004년 09호
- 다른 네티즌들의 집중적인 비난을 받았던 20대가 투신자살하는 일이 발생했다. 또 지난 2월에는 왕따 동영상 사건에 시달리던 한 학교장이 스스로 목숨을 끊었었다. 최근 일련의 사건들은 사이버 시대에도 엄연히 왕따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잘 드러낸다. 그렇다면 사이버 세계의 왕따를 생산하는 ... ...
이전57457557657757857958058158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