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03. 수소 경제가 뜬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마치고 2005-2010년 상업적 도입단계를 거쳐 2020년까지 일반에 보급한다는 계획이다.한국도
지난
해 9월 정부 산하에 ‘고효율 수소에너지 제조·저장 이용 기술개발사업단’ (이하 수소사업단)을 발족시켜 수소 기술 개발과 정책 수립에 대한 본격적인 지원에 나섰다. 또한 올 5월에는 ... ...
한국 정말 핵무기 개발하려 했나?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000년 한국에서 농축우라늄 0.2g을 분리하는 비밀실험이 있었다.”
지난
9월 2일 외신은 한국이 고농축 우라늄을 생산함으로써 정부 주도로 핵폭탄을 제조하려던 게 아니냐는 강한 의혹을 제기했다. 이와 함께 한국이 핵확산금지조약(NPT)을 분명 위반했다고 지적했다.9월 13일에는 국제원자력기구(IAEA) ... ...
최초의 외계 행성 이미지 포착?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행성의 최초 이미지일 확률이 매우 높은 사진이
지난
9월 10일 공개됐다.유럽남천천문대(ESO)는 지구에서 약2백30광년 떨어진 곳에서 희미하게 빛나고 있는 갈색 왜성(사진 가운데) 옆에서 행성으로 추정되는 붉은 빛의 천체(사진 왼쪽아래)를 포착했다. 칠레 북쪽 체로 파라날에 위치한 직경 8.2m인 ... ...
태양탐사선 캡슐, 추락 불구 상태 양호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지난
9월 8일 3년간의 임무를 마치고 지구로 돌아오던 도중 태양탐사선 제네시스호의 캡슐이 낙하산 고장으로 추락하는 사고가 일어났다. 태양계 기원을 밝히기 위한 이 프로젝트에 무려 2억6천만달러(약 3천억원)을 투입한 미항공우주국(NASA)으로서는 큰 낭패가 아닐 수 없었다.이 캡슐에는 ... ...
북한, 토끼 복제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북한이 복제했다고 주장하는 토끼도 봤다며 그 사진을 실었다. 북한 실험생물학연구소가
지난
2002년 성공했다는 복제토끼가 외부에 알려진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스톤을 안내한 37세의 젊은 과학자인 연구소의 리학철 박사는 “이 토끼는 당시 복제에 성공한 6마리 중 하나로 조만간 서구 ... ...
X선으로 본 요동치는 우주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안고 1999년 7월 23일, 고성능 X선 탐지기를 탑재한 찬드라 X선 망원경이 우주로 발진했다.
지난
5년 동안 찬드라 망원경은 기대 이상의 성과를 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지금까지 찬드라가 보내온 영상을 통해 밝혀진 우주의 비밀을 살펴보자. 초신성 폭발의 장관 중계 찬드라 망원경의 이름은 인도 ... ...
01. 10년내 진짜 석유대란 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정부 기업 모두 비상연일 계속되는 고유가에 정부와 기업 모두 비상이다. 정부는
지난
8월25일 ‘국가에너지절약추진위원회’ 를 열고 석유 위기 극복 대책을 발표했다.내년부터 공공기관 직원들이 근무시간을 자유롭게 정하는 탄력근무제를 도입하고 전기와 휘발유를 함께 쓰는 하이브리드 ... ...
04. 핵융합 vs. 우주태양광 - 2050년 상용화 목표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ITER의 참여국은 미국, 러시아, 유럽연합, 일본, 중국, 그리고 우리나라다. 우리나라는
지난
해 6월부터 ITER에 참여하고 있다. 핵융합 연구에서 후발주자인 우리나라가 ITER에 참여할 수 있었던 것은 국내 핵융합 프로젝트인 K스타 덕분이다.K스타는 1995년 12월부터 국가핵융합 연구개발 사업차원에서 ... ...
플라스마로 중금속 가려낸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논문으로도 제출할 예정이다.윤 박사 역시 계속 이런 활동을 도울 생각이다. 특히
지난
8월 휘경여고 과학반 학생들과 함께 담배에 들어있는 중금속을 검출한 후 청소년들의 환경교육에 관심이 많아졌다. 학생들이 앞으로 담배에는 손도 대지 않겠다고 다짐할 정도로 교육의 효과가 높았기 때문이다 ... ...
물리학으로 교통체증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차들이 느린 속도로 움직이는 도로 상황을 나타내기 위해서는 새로운 모델이 필요했다.
지난
6월 서울대 물리학부 김두철 교수 연구팀이 발표한 교통흐름 모델이 바로 그 주인공이 됐다.교통흐름을 구현하는 모델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먼저 차량의 움직임에 대한 규칙을 수식으로 표현해야 한다. 이 ... ...
이전
573
574
575
576
577
578
579
580
5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