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지질도 보면 싱크홀 피할 수 있다?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최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타고 충격적인 동영상이 퍼졌다. 20대 남녀가 서울 용산역 인근에서 발생한 깊이 3m 싱크홀에 추락하는 모습이 폐쇄회로(CC)TV에 잡힌 것이다. 수많 ... 현실은 다소 아쉽다. 지질도를 만드는 우수한 인적자원의 부족 현상이 앞으로는 개선되리라 믿는다 ... ...
- Part 2. 한반도 덮치는 무서운 물과학동아 l2015년 04호
- 보충될 수 없을 지경이라고 밝혔다. 지구의 중요 대수층을 살펴본 결과, 7개중 6개가 지난 10년간 꾸준히 수위가 줄었다.‘무서운 물’에 직격탄 맞는 한반도기후변화로 지구가 뜨거워지면서 가뭄은 길어지고, 홍수는 늘고, 지하수는 사라지고 있다. 물과 관련한 이상기후로 매해 수만 명이 사망하고, ... ...
- [과학뉴스] 응답하라 1986, 가장 극적이었던 혜성 이야기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않는다.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유럽우주기구(ESA)는 물론 구소련, 일본의 탐사선이 무려 6개나 핼리혜성에 접근해 꼬리의 먼지 성분 등을 측정했다. 가장 가깝게 접근한 탐사선은 600km까지 접근해 생생한 사진을 남긴 ESA의 ‘지오토’였다.76년 만에 찾아온 핼리혜성은 당시 과학자에게 놓칠 수 없었던 ... ...
- [과학뉴스] 똑똑한 아이를 원해? 공기부터 바꿔봐!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연구 결과를 3월 3일 ‘미국공공과학도서관의학지(PLOS Medicine)’에 발표했다.연구팀은 39개 초등학교에서 7~10세 어린이 2715명을 대상으로 1년 간 조사를 했다. 3달 간격으로 교실 내부의 공기 오염도와 아이들의 인지능력을 측정해 서로 비교한 것. 인지 능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는 모니터 상에 빠르게 ... ...
- [Hot Issue] 빅데이터로 본 봄나들이 전략 “우리 놀러가자!”과학동아 l2015년 04호
- 해방촌길, 장진우 골목 등을 찾아보게 된다는 뜻이다. SK플래닛에서 지난해 11월까지 10개월가량 소셜버즈(블로그·트위터 등 SNS 상에 언급된 말) 61만 건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골목길을 언급한 버즈가 1년 전 같은 기간보다 9.5% 이상 늘었다. 골목길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 ...
- 화재 막는 과학 우리 집을 지켜라!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소방관도 있지만, 직접 불을 끄지 않는 소방관도 있어요. 불에 타지 않는 재료를 개발하는 과학자나, 화재 사고에도 안전한 건물을 짓는 건축가도 소방관이라고 할 수 있으니까요.참! 혹시 소방서에 장난전화 하는 친구는 없겠죠? 사소한 장난 신고가 정작 소방관의 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의 생명을 ... ...
- 만신창이 황다랑어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국제 협약으로 정해져 있거든요. 이렇게 버려지는 참치의 양은 매년 참치 통조림 10억 개를 만들 수 있는 양이랍니다.참치를 안 먹을 수도 없고…. 방법이 없을까? 이대로 가다가는 황다랑어를 잡기도 어렵고, 잡아도 못 먹는 사태가 발생할 거예요. 맛있는 참치를 잔뜩 먹는 것도 좋지만, 우리와 ... ...
- 화산재에 숨어 있던 도시 폼페이를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4호
- 감옥에서 달아나지 못했던 죄수, 목줄이 묶여 있어 화산재를 피해 뛰어다니다 죽은 개 등 석고상은 당시의 처참했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 줬답니다.수로로 건설된 도시, 수로 때문에 발견되다이렇게 두터운 화산재에 뒤덮인 폼페이는 1549년 폼페이를 가로지르는 운하를 만들던 중 우연히 ... ...
- [수학뉴스] 사람은 얼굴 속도 비대칭?수학동아 l2015년 04호
- 기원이 비슷하다고 볼 수 있지요.연구팀을 이끈 구트만 교수는 논문에서 “이 연구는 개체 발생부터 근골격의 각 부분이 서로 다른 진화과정을 거쳤다는 주장을 뒷받침하는 근거”라고 말했습니다. 이번 연구를 통해 밝힌 근골격 그룹으로 사람에게만 나타나는 해부학적 구조의 진화 기원을 밝힐 수 ... ...
- Part ➋ 숲에 닥친 위기, 수학으로 막아라!수학동아 l2015년 04호
- 번 감염되면 치료약이 없어 3개월 내외로 나무가 죽고 만다. 산림청을 중심으로 치료제 개발에 힘쓰고 있지만, 아직 이렇다할 해결책이 나타나지 않고 있다. 혹시 수학이 도울 수 있을까?격자모델로 전염병 예측나무와 같은 식물은 움직이지 않기 때문에 동물보다 수학 모델을 만들기 쉽다. 식물의 ... ...
이전5735745755765775785795805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