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월남 파병의 대가로 생긴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상당한 기간이 걸렸다.그런데 과학기술연구소에도 시련이 다가왔다. 박 대통령의 서거
이후
전두환 정권이 들어서면서 1981년 한국과학기술연구소를 교육기관인 한국과학원(KAIS)과 통합해 한국과학기술원(KAIST)을 만든 것이다. 이 와중에 한국과학기술연구소의 원설립자인 박정희의 이름도 지워졌다. ... ...
2. 현대인은 왜 SF에 매달리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하나라고 할 수 있다.SF는 현대의 민담그러나 산업화와 함께 상황이 바뀌었다. 근대
이후
자연은 인간과 함께 공존하지 못하게 됐고 인간이 개발하는 대상이 되고 말았다. 따라서 더 이상 자연에는 알려지지 않은 곳이 남지 않고 단지 개발을 기다리는 곳만 남게 됐다. 이 과정에서 자연은 신비함을 ... ...
한국형 SF영화 용가리 1998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투입되는 요즘의 한국영화들에 비하면 초라하지만, 당시 이 작품에서 축적된 SFX기술은
이후
한국의 인적 자원 증대에 크나큰 기여를 했다.그런데 언젠가 김기덕 감독은 한 인터뷰에서 “특수효과와 같은 기술적인 측면에 너무 치중하느라 스토리 구성에 상대적으로 아쉬움이 많이 남았다. 더 잘할 ... ...
자연의 기본물질 쿼크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양전자를 확인한 공로를 뒤늦게 인정받아 1948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다.중성자 발견
이후
또 하나의 숙제는 원자핵 속에 들어있는 양성자들이 전자기력에 의해 서로 밀쳐내지 않고 좁은 공간 내에 머물 수 있는 비결이 뭔가 하는 것이다. 이를 해결한 사람은 일본의 유카와히데키(1907 -1981)였다. 1935년 ... ...
돌리의 생체시계는 몇 시인가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박사(삼성생명과학연구소 포유류분자유전학실험실)에 의해 수행됐다.이박사는 1997년
이후
지난 3월에 이르기까지 과학전문지 ‘네이처’와 ‘셀’에서 텔로머레이즈가 없는 생쥐의 경우 생리 기능에 심상치 않은 이상이 생겼음을 밝혔다. 그는 생쥐에서 텔로머레이즈 형성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 ...
[비교] 미국과 러시아의 달정복 전략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 새턴V 대 N1미국의 NASA는 케네디의 선언
이후
달여행에 필요한 거대한 로켓을 찾던 중 1957년부터 개발해오던 폰 브라운 그룹의 새턴로켓을 채택했다. 새턴V는 3단로켓으로 1단은 액체수소와 케로신을 연료로 사용하는 5대의 F1엔진, 2단은 5대의 J2엔진, 3단은 1대의 J2엔진으로 구성돼 있었다. J2엔진은 ... ...
온실효과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비슷한 결과를 얻는다. 1998년 우리나라의 연평균 기온은 14.5℃로 1907년 기상관측을 한
이후
가장 높았다. 원인은 이산화탄소의 증가로 보고 있는데, 1997년 3백67ppmv(1백만분의 1부피)이었던 이산화탄소의 양은 이듬해 3백70ppmv로 증가했다. 지금까지 평균 이산화탄소 증가량(1.5ppmv)의 2배가 된다 ... ...
생명의 비밀 밝힌 로제타 스톤, DNA 이중나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해독하는데 단서가 됐던 돌)을 발견한 바와 같다"고 말했다. DNA이중나선구조는 멘델
이후
1백여년 동안 풀려고 노력했던 생명복제의 신비를 밝히는 결정적인 단서가 됐다.
이후
DNA 염기들의 배열순서에 따라 유전자가 결정되며, 1조 분의 6g밖에 되지 않는 DNA에 10만개에 이르는 유전정보가 들어있다는 ... ...
1. 미국과 러시아의 우주전쟁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여론에 밀려 20호까지 준비되었던 새턴V 로켓과 아폴로우주선은 폐기될 운명에 놓였다.
이후
NASA는 이 장비들을 개조해 우주정거장인 스카이랩계획을 추진한다.러시아는 또 다른 N1 발사계획을 가지고 있었으나 1974년 코롤료프의 후임 바실리 미신이 물러나고 코롤료프의 경쟁자였던 발렌틴 ... ...
20세기 문명의 꽃 레이저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등이 완성했다. 마침내 현대 문명을 일굴 레이저가 세상에 얼굴을 내민 것이다.타운스
이후
레이저는 여러 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런던대학의 데니스 가보 (1900-1979)는 레이저광을 이용한 홀로그래피를 발명해 1971년 노벨물리학상을 받았고, 벨연구소의 아노 펜지아스(1933-)와 로버트 윌슨(19 ... ...
이전
570
571
572
573
574
575
576
577
5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