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하
나중
뒤
아래
이래
d라이브러리
"
이후
"(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아프리카에서 발견된 최초의 인간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약간 컸다. 그러나 말을 할 정도로 성대가 발달하지는 못했다.타웅의 아이가 발견된
이후
1938년 스코틀랜드 의사인 로버트 브룸(1866-1951)이 2백만년 전-1백50만년 전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로부스투스를 남아프리카 스터크폰테인에서 발견함으로써 아프리카는 인류의 고향으로 굳게 자리잡았다 ... ...
히말라야를 오르는 과학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적응력이 높은 사람도 결국 산소부족에 시달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때문에 2차대전
이후
히말라야 등정에 관심이 쏠린 초기부터 8천m 이상에서는 산소마스크를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 상식화돼 있었다. 아무리 고소적응이 뛰어난 사람이라도 산소량이 해수면의 4분의 1밖에 안 되는 8천m의 고소에서 ... ...
1. '철세계'에서 환타지 소설까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찬사와 함께 상업적 성공을 모두 거두면서 한국 현대문학의 고전으로 자리잡았다.
이후
복거일은 한국 최초의 컴퓨터통신 연재 SF소설인 ‘파란 달 아래’를 발표해 미래의 달 기지에서 벌어지는 남북통일 문제를 다루었고, 또 대하 장편 ‘역사속의 나그네’를 출간하면서 조선시대와 미래의 통일 ... ...
3. 걸음마 배우는 우리나라 SF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는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와 펑크(Punk)의 합성어로서, 1983년 윌리엄 깁슨의 ‘뉴로맨서’
이후
나타난 SF의 새로운 경향을 말한다. 사이버펑크 소설들은 상상할 수 없을만큼 기술이 발달한 근미래의 사회상과 문제점들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는 데에 주안점을 두었다. 사이버펑크라고 해서 모두 ... ...
입안에서 사르르 아이스크림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샤베트로 분류된다.우리나라의 아이스크림 역사는 아이스케키에서 시작한다. 한국전쟁
이후
개인이 소규모 가내공장에서 설탕이나 팥앙금을 얼려 만들었는데 당시의 사람들은 이를 얼음과자인 아이스케키라고 불렀다. 지금 생각해 보면 단순한 설탕 얼음물이지만 그 열풍은 대단했다. 하지만 그 ... ...
3. 위험일 경고하는 바이오리듬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교통사건을 분석했다. 그러자 93%의 운전자과실 사고 중 68%가 위험일에 발생했다고 한다.
이후
한국에서는 운수업을 필두로 위험한 직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바이오리듬표를 만들어주는 일이 퍼져나갔다.현재 택시나 버스 운전사들의 휴무일을 정할 때 가급적 바이오리듬표에 나타나는 ... ...
우주여행의 파이어니어들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발견했다. 결국 첫 우주비행사의 우주여행 계획은 하루에서 한바퀴로 줄여야 했다. 또
이후
의 시험발사는 러시아 과학자들을 불안하게 했다. 12월 1일 ‘프첼카’와 ‘무슈카’라는 개들이 탑승한 우주선이 지구대기권으로 재진입하다가 불탔고, 12월 21일에 발사한 우주선도 충분한 속도를 내지 ... ...
우리나라 공룡알 산란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노출된 알둥지의 크기는 지름이 50cm-1.5m로 다양하다. 발견된 알들은 대부분 부화된
이후
만들어진 것으로 퇴적층 위를 향해 부화된 흔적을 보인다. 현재까지 공룡배아나 태아골격구조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알화석 주변퇴적층에서 골편화석이 산출되는 것으로 미뤄볼 때 앞으로 발견될 가능성도 ... ...
IBM왓슨 연구소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아제르바이잔 출신의 가리 카스파로프(당시 34세). 그는 1985년 22살 때 세계챔피언에 오른
이후
12년 동안 한번도 진 적이 없는 ‘천개의 눈을 가진 사나이’였다.이에 맞선 딥블루는 6명의 왓슨연구소 과학자들이 8년 동안 2백만달러를 들여 만든 슈퍼컴퓨터로, 초당 2억번의 행마를 검토하고 과거 ... ...
별은 어떻게 죽어 가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정밀하게 관측한 기록이 남아있어 과학사의 귀중한 사료가 되고 있다. 케플러의 초신성
이후
4백년 가량 지난 지금까지 우리은하 내에서 초신성 폭발 장면을 본 사람은 없다. 그렇지만 언제 어느 곳에서 이런 극적인 우주 드라마가 펼쳐질지 모른다. 그러나 50광년 거리 이내에서 초신성이 폭발하지 ... ...
이전
569
570
571
572
573
574
575
576
5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