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위
향기
경향
방면
냄새
방침
진로
d라이브러리
"
방향
"(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초의 3차원 홀로그램우표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우표를 12월3일 발행키로 했다. 우주정거장 그림이 그려진 이 홀로그램은 빛에 반사되는
방향
에 따라 색깔이 달라진다.미국 우체국은 '미래의 디자인'의 주역이 될 홀로그램을 역시 미래 인류의 생활과 관련있는 우주정거장과 연관시켜 놓은 것이다. 홀로그램 기법은 카드에서부터 건축물, 그림 등에 ... ...
동양최초로 지전설(地轉説) 주장한 홍대용(洪大容)의 독창적 우주관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즉 행성들은 대부분 천구상 서쪽에서 동쪽으로 움직이는데, 어떤 경우에는 이와 반대
방향
으로 움직인다는 것이다. 이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 당시의 프톨레마이오스체계는 주전원이라는 새로운 궤도를 도입했다. 주전원이란 행성이 지구를 중심으로 큰 원을 돌면서 그 큰 원을 중심으로 다시 ... ...
21세기 천문학 중력파 천체물리학이란?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때문에 별이 팽창하도록 만든다. 그러나 별 자신의 중력(gravitation)은 물질을 중심
방향
으로 끌어당겨 별이 수축하도록 만든다. 따라서 압력과 중력이 평형을 이룰 때만이 별은 안정된 모습을 갖추게 되는 것이다(그림2). 즉(중력)=(압력)의 등식이 성립할 때 별은 팽창하거나 수축하지 않고 (중력)>(압력 ... ...
월츠의 명수 홍학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한편의 그림이다. 더욱이 1백여마리나 되는 무리들이 우르르 몰려들었다가 갑자기
방향
을 바꿔 활개를 치며 날 때는 마치 발레단이 춤을 추는 모습과 흡사하다.지금은 사라졌지만 창경원 동물원시절엔 홍학의 군무(群舞)를 연출시켰던 적도 있었다. 홍학쇼가 처음 열린 것은 1969년 11월 창경원 개원 6 ... ...
세일즈 엔지니어 우리기술을 세계에 팔며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대학졸업 후 자동차회사를 직장으로 선택하고 오로지 한우물만 파기 시작한 것이 좋은
방향
으로 결실이 나타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을 해본다. 어느해 연말 송년회에서 대학은사인 노(老)교수께 응석어린 투로 "교수님 말씀만 믿고 한우물만 파는데 파도파도 물은 나오지 않고 힘만 듭니다. 이젠 ... ...
80년대의 한국 과학·기술 양과 질에서 눈부신 변화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성역'은 무너지면서 후발국의 맹렬한 추격을 받기 시작한 우리의 기업들은 새로운
방향
전환을 모색해야 한다.그것은 종래의 노동집약적이며 기능집약적인 산업에서 벗어나 기술집약적인 산업으로의 전환이었다. 그래서 우리의 기업들은 국제경쟁에서 생존하려면 기술능력배양에 의한 ... ...
정규교과목시대 맞은 학교컴퓨터교육 컴퓨터, 담당교사 모두 절대 부족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통한 컴퓨터교육이 제대로 실시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컴퓨터교육과 그
방향
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전환이 전제되지 않으면 곤란하다. 학생들에 대한 컴퓨터교육에 앞서 교사들에 대한 마인드교육이 선행돼야 할 것으로 지적되고 있는 것도 바로 이 때문이다.정규교과과정시대를 맞은 학교 ... ...
멸종과 생존의 긴 역사
과학동아
l
1989년 12호
곳에 따라, 먹이의 종류에 따라, 몸을 보호하는 방식에 따라, 기타의 조건에 따라, 여러
방향
으로 알맞게 진화하면서 갈라져 수많은 종류의 공룡이 생겼을 것이다.이와 같이 생물이 여러 갈래의 서로 다른 무리로 갈라져 나가는 현상을 적응방산(適應放散)이라 한다.운석에 의해 멸종하기도동물 ... ...
발열없는 계산은 가능한가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가역성은 별도의 것이며 가령 논리적으로 가역인 회로가 있다고 해도 계산을 어느
방향
으로 할 것인가를 결정할 때 에너지가 필요하게 되며 그 때 열이 발생하게 된다는 것이다.'고토'교수의 주장은 이런 '무발열 불가능론'과는 전혀 다른 '무발열계산은 가능하며 그럴때 논리적으로 불가역이어도 ... ...
농업기상학
과학동아
l
1989년 11호
초석으로 땅속에 박혀 있다. 기둥의 모양도 자연스럽기 그지 없다. 물이 흘러내려오는
방향
을 홀쭉하게 유선형으로 다듬어 놓은 것이다.돌기둥에는 양쪽 면에 주척(周尺) 1자(尺)마다 눈금을 1자에서 10자까지 새겼고, 3자ㆍ6자ㆍ9자 되는 눈금 위에는 ○표를 파서 각각 갈수(渴水)ㆍ평수(平水)ㆍ대수 ... ...
이전
570
571
572
573
574
575
576
577
5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