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현장 취재] ‘지구를 위한 과학’ 메이커 프로젝트 내 손으로 야생 동물을 지켜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서식지 문제를 도와 주자!’라는 주제로 10개 팀이 도전에 나섰지요. 지난 9월 9일, 메이커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대원들이 두 달 동안 고민한 중간 결과를 발표하는 자리가 마련됐어요. 성공보다는 실패가 많았고, 시행착오도 겪은 제작물이었지만 야생동물에 대한 애정만큼은 가득했답니다. 관심을 ... ...
- [과학뉴스] 지진 나면 공중부양하는 건물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지난 9월 5일 일본의 국립방재과학기술연구소와 히타치 제작소, 세쓰난대학교 합동 연구팀이 건물을 공중에 띄워 지진을 피하는 장치를 개발했어요. ... 실험해 볼 예정이에요. 또 지진 방지 대책으로 도시의 한 부분을 아예 지상에서 띄워놓는 일명 ‘플로트 시티’도 연구하고 있답니다 ... ...
- [과학뉴스] 전세계 수돗물 83% 안에 미세 플라스틱 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우려했던 일이 실제로 나타나고 있어요. 미국 뉴욕주립대학교와 미네소타주립대학교 연구팀이 전세계 14개국의 수돗물을 대상으로 미세 플라스틱이 있는지 조사해 본 결과, 수돗물 샘플 중 83%에서 미세 플라스틱이 검출됐어요. 10곳 중 8곳 이상의 수돗물이 오염된 거예요. 가장 많이 검출된 ... ...
- Part 3. 핵무기, 미사일에 싣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내가 수소폭탄 개발에 반대한 이유를 이제 알겠지? 게다가 이젠 핵무기를 수송하는 방법도 점점 발전하고 있어. 예전엔 원자폭탄을 비행기에 실어 직접 날랐다면, 이제는 ... 북한 핵실험의 비밀Part 1. 핵실험, 지진을 일으키다Part 2. 핵실험 얼마나 세길래?Part 3. 핵무기, 미사일에 싣는다?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정확히 나타낼 수 있어요. 여기서 위도의 기준은 적도예요. 그렇다면 경도의 기준은 어디일까요? 바로 영국의 그리니치 천문대에 있는 자오선이랍니다.15세기 후반부터 유럽 사람들은 배를 타고 세계를 돌아다니며 탐험과 무역을 했어요. 그런데 나라마다 기준이 되는 자오선이 달라서 배의 위치를 ... ...
- Part 1. 지구를 지나친 역대급 소행성, 3122 플로렌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덕분이에요. 소행성이 위성을 잡고 있는 힘은 중력인데, 일반적으로 크고 무거운 소행성일수록 중력이 강하기 때문이죠. 작은 크기의 다른 소행성이나 3122 플로렌스에서 떨어져나온 작은 조각이 강한 중력에 이끌려 위성이 된 거랍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우주의 비밀을 품은 ... ...
- Part 4. 소행성 찾으러 우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커요. 그래서 목성 트로이군에 속하는 소행성들을 조사하면 태양계가 생겨날 때 어떤 일이 있었는지 추측할 수 있죠. 2025년에 소행성대에 도착한 뒤, 2027년~2033년까지 목성 트로이군의 소행성을 관찰할 예정이랍니다. 2023년에 발사 예정인 프시케는 소행성대에서 가장 무거운 소행성으로 알려진 ‘16 ... ...
- [가상인터뷰] 카시니 호, 토성에서 최후를 맞이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확인할 거예요. 저는 20년 동안의 항해를 마치고 9월 15일에 토성으로 추락했답니다. 일리: 뭐? 추락했다고? 왜? 카시니 호: 저는 거의 모든 연료를 사용했어요. 그렇다고 아무렇게나 버려지면 안 돼요. 저한테 있는 방사성 물질인 플루토늄과 지구 미생물이 토성의 위성에 있을지도 모르는 생명체를 ... ...
- Part 1. 핵실험, 지진을 일으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히익~! 인공지진이 일어났다고? 이거 긴장해야겠는데?인공지진은 자연지진과 달라서 핵실험의 증거로 꼽히거든. 왜냐면…. 사상 최대 규모의 인공지진지난 9월 3일 12시 29분 5 ... 핵실험의 비밀Part 1. 핵실험, 지진을 일으키다Part 2. 핵실험 얼마나 세길래?Part 3. 핵무기, 미사일에 싣는 ...
- [공룡은 왜?] 날카로운 발톱과 긴 주둥이로 휙휙! 바리오닉스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9호
- 보았지요. 하지만 카리그 박사와 밀러 박사는 키즈너 박사의 주장을 반박했어요. 일반적으로 사냥을 한 육식공룡이 가장 먼저 먹는 부위가 바로 사냥한 동물의 내장이거든요. 이 때문에 육식공룡이 떠난 뒤에는 바리오닉스가 먹을 수 있는 내장이 남아 있지 않았을 거라고 주장했답니다. 한편 올해 ... ...
이전5695705715725735745755765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