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일"(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우리 가족이 괴물이 됐다? 몬스터 패밀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되었어! 엄마는 뱀파이어, 아빠는 프랑켄슈타인, 누나는 미라가 됐고! 대체 어떻게 된 일이지?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우리 가족이 괴물이 됐다? 몬스터 패밀리Part 1. [드라큘라의 저주 1] 우리 가족, 괴물이 되다!Part 2. [드라큘라의 저주 2] 초능력이 생기다!Part 3. [드라큘라의 저주 3] ...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코딩 로봇으로 미션을 수행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찾고, 감정도 표현하는 귀여운 코딩 로봇 ‘코딩펫’을 만나는 축제가 있다?! 지난 11월 18일 서울대학교에서는 한국영재교육평가원과 완구 업체인 토이트론이 주최한 어린이 코딩 캠프가 열렸어요. 이날 코딩펫을 처음 접한 66명의 초등학생들은 우선 코딩펫의 작동법을 익혔어요. 그러자 두 가지 ... ...
- 한눈에 보는 교과 맵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수없이 많아요. 이는 모두 프로그래머들 덕분이지요.그렇다면 최초의 프로그래머는 누구일까요? 바로 영국의 수학자 ‘에이다 러브레이스’랍니다.에이다는 1815년 12월 10일 영국 런던에서 태어났어요. 당시 여성은 대학교에 입학할 수 없어서 에이다는 따로 수학을 공부했지요.19세기에도 수학은 ... ...
- Part 5. 빛 공해를 많은 사람들에게 알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생태계를 보호하는 멋진 왕자가 될 거예요. 그러니 공주님! 다시 잠 들면 안 될까요? 일단 저의 입맞춤으로 깨어난 뒤에 함께 빛 공해를 줄여 봐요!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낮처럼 밝은 밤? 빛 공해를 막아라!Part 1. 빛 공해에 시달리는 전세계Part 2. 생태계에 심각한 피해를 주는 빛 ... ...
- [공룡은 왜?] 단단한 머리뼈로 박치기를 쾅! 파키케팔로사우루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종끼리 서로 알아보거나, 같은 종 안에서 짝짓기 상대를 찾을 때 필요한 외형적인 특징일 수도 있다는 거예요. 또 육식공룡의 공격을 막거나 수컷들의 힘겨루기 싸움을 위한 무기였을 것이라고 추측하는 주장도 꾸준히 나오고 있지요. 앞으로도 파키케팔로사우루스 머리뼈 용도에 대한 논쟁은 ... ...
- Part 1. 빛 공해에 시달리는 전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전세계, 우리나라는 2위!빛 공해는 전세계적인 문제예요. 지난 해 6월 이탈리아, 독일, 미국, 이스라엘 국제 공동 연구팀은 빛 공해가 얼마나 심각한지를 나타낸 전세계 빛 공해 지도를 발표했어요. 연구팀은 미국의 관측 위성인 ‘수오미 NPP’가 측정한 지구의 지역별 밤하늘 밝기를 분석했어요(왼쪽 ... ...
- [과학뉴스] 경북 포항에 규모 5.4 지진 발생!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도로가 무너지는 등 큰 피해가 발생했지요. 경주 지진은 처음 지진이 발생한 후 일주일 뒤까지 강한 여진이 이어졌어요. 11월 20일 오전 9시까지 발생한 여진은 총 58차례예요. 국토교통부는 여진으로 인한 추가 피해가 없도록 긴급 안전 점검을 할 계획이랍니다 ... ...
- [현장 취재] 야생동물을 위해 만들었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돕자!’라는 목표로 메이커 프로젝트에 도전한 지구사랑탐사대! 총 10개 팀이 지난 10월 21일, 최종 제작물을 발표하기 위해 모였어요. 지구에서 야생동물과 함께 살아가기 위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도전했던 지난 5개월의 여정을 함께 만나 볼까요? 망치고, 실패하고, 다시 해 보고!‘내 아이디어가 ... ...
- Part 3. 플로팅 시티, 도시를 물에 띄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열린 세계과학기자대회에서 “2050년 까지 해수면이 40cm만 상승해도 샌프란시스코만 일대 국제공항은 물론 페이스북과 구글 본사 등이 침몰할 것”이라며, “플로팅 시티는 해수면 상승에 대비한 도시 형태”라고 말했답니다. 앞으로 지구에서 살아남으려면 기후변화를 막는 게 무엇보다 중요한 ... ...
- Part 4. 과학으로 빛 공해를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대표는 “미생물을 이용한 조명은 은은하고 부드러운 빛을 내기 때문에 빛 공해를 줄일 수 있다”며, “전기가 필요 없고 화석 연료를 사용하지 않아 온실 가스도 배출하지 않는다”고 말했어요. 하지만 아직 갈 길은 멀어요. 가장 효율이 좋은 LED 조명의 수명은 5만 시간 이상이지만, 글로위의 ... ...
이전56556656756856957057157257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