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인간
놈
인류
녀석
인물
휴먼
개인
d라이브러리
"
사람
"(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생물들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살고 있는 생물의 수를 정확히 알지 못해요.하지만 지구상의 종 수와 상관없이 대부분의
사람
들이 동의하는 것이 있어요. 지구상의 많은 생물들이 빠른 속도로 사라지고 있다는 거예요. 1년에 전체의 약 0.01~0.1%에 해당하는 생물들이 멸종되고 있거든요. 과학적으로 분류된 200만 종만 따져 봐도 1년에 ... ...
Part 3. 인간의 이기심이 무서워~!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생명다양성재단 김산하 사무국장은
사람
들이 외모로 동물을 차별하는 것에 대해 “
사람
의 기준으로 동물을 평가해선 안 된다”며 “모든 동물은 아름답다”고 말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사라져가는 생물을 지켜라!Part 1. 생물들이 빠르게 사라지고 있어~!Part 2. 지금이 ... ...
[숲이야기] 지구에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친구, 버섯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환각물질은 몸을 나른하게 만들고, 다양한 환상을 보여 주는 물질이에요. 고대
사람
은 이런 성질을 마술처럼 사용했던 거예요.하지만 이런 환상은 버섯 속의 독이 뇌나 신경계를 망가뜨리면서 생겨요. 그래서 환각 물질이 포함된 버섯은 대부분 독버섯으로 분류된답니다. 예를 들어 ... ...
[도전! 코드마스터] 논리적으로 생각하자! ‘컴퓨팅 사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11호
그런데 컴퓨팅 사고는 소프트웨어를 만들 때만 필요한 게 아니에요. 사실
사람
들은 오랜 시간에 걸쳐 알게 모르게 컴퓨팅 사고를 이용하고 있었어요. 수학 공식을 만드는 게 대표적인 예지요. 한 번 공식이 만들어지면, 비슷한 문제는 모두 같은 공식으로 쉽게 풀 수 있어요. 또 생물의 특징을 ... ...
하트와 홀름스트룀, 그리고 ‘계약 이론’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경제 주체가 맺는 복잡한 계약을 연구했습니다. 알고 있는 정보의 양이 서로 다를 때
사람
들이 어떤 계약을 맺는지, 그 계약이 어떤 효과를 낳는지를 설명하는 연구가 모두 ‘계약 이론’ 에 해당하지요. 직장에서 직원의 성과를 평가하는 방법도 계약 이론의 관심사 중 하나입니다. 정해진 액수가 ... ...
[지식] 오늘이 사연, 칩 토크 게임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아마 배신하기 전까지는 청취자에게 여러 가지 도움을 줬을 거예요. 상대방이 어떤
사람
인지 꼼꼼히 살피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런 이점도 무시할 수 없지요. 그래서 삼국시대의 관리들도 나라에 상대국의 첩자가 들어와 있는 걸 알면서도 눈감아 줬답니다. 그리고 합리적인 인간이라면 절대 두 번은 ... ...
[재미] 기하학의 아버지? 수학의 아버지!
수학동아
l
2016년 11호
체계적인 학문으로 만든 건 로마나 바빌로니아에서도 하지 못한 대단한 일이었다. 어떤
사람
은 그리스인이 유독 논쟁을 좋아해서 유클리드가 책을 만들게 됐다고 말하기도 했다.어떤 이유든 유클리드의 책이 이후의 많은 수학자에게 영향을 끼친 건 틀림없는 사실이었다.단은 경탄하며 유클리드를 ... ...
[과학뉴스] 질투하는
사람
은 조직마다 꼭 있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평균 10%의
사람
들은 네 가지 성격 범주에 속하지 않았다.연구팀은 조직에서 특정 유형의
사람
이 다수를 차지하면 조직이 합리적인 판단을 하지 못하고 정체될 수 있어 다양한 유형의 구성원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산체스 교수는 “그룹 구성원이 더 많은 경우도 연구하면 기업 내 조직관리 등에 ... ...
[과학뉴스] 젊은 과학자들은 트위터를 좋아해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통해 공개하는가’와 같은 질문 52개로 구성됐다.그 결과 ‘트위터’를 사용하는
사람
이 258명으로 가장 많았다. 이들이 트위터를 선호하는 이유는 동료에게 학계 동향이나 자신의 연구를 빠르게 알릴 수 있다는 점이었다. 그리고 ‘페이스북(240명)’과 ‘링크드인(193명)’, ‘구글플러스(77명)’ 등이 ...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외부에서 방문한 교수가 사울레스 교수와 연구실에서 토론하는 모습을 본 적이 있다. 두
사람
은 칠판에 적힌 공식을 뚫어지게 쳐다보고 있었다. 10분이 넘는 시간 동안 사울레스 교수의 연구실에 침묵이 흘렀다. 드디어 사울레스 교수가 입을 열었다. “I don't know.” 그걸로 그날의 토론을 마무리했다 ... ...
이전
569
570
571
572
573
574
575
576
5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