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1. 최근 학력 파괴 경향의 진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개발될 수 있고, 심지어 우연히 발견될 수 있다.올해 화학상 수상자 다나카의 장치도그가
박사
나 교수였기 때문에 만들어낸 것이아니다. 오히려 실무에 오래 종사하면서 이론보다는 물질의 성질에 정통했기에 그같은 도구를 만들어 냈다고 봐야 할 것이다 ... ...
학사 출신 연구원 다나카의 수상 비결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앞다퉈 올해 노벨 화학상을 공동수상한 일본인 다나카 고이치에 대한 기사를 전해왔다.
박사
도, 교수도 아닌 학사 출신의 기업 연구원이 마냥 겸연쩍어하며 작업복차림으로 기자회견장에 끌려나오듯 했다고. 다나카 연구원은 학문의 최고 정점에 있는 노벨상과 왠지 어울리지 않게 너무나도 ... ...
소똥을 사랑한 복제동물의 아버지 황우석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것도 못한다고 생각했어요”라고 말한다.그러나 순탄하던 인생에 갑자기 먹구름이 꼈다.
박사
학위를 받은 뒤 서울대에 교수로 채용될 예정이었지만 뜻하지 않은 대학내 갈등으로 그는 졸지에 실업자가 됐다. 실망한 황 교수는 일본 훗카이도대에 연구원으로 떠났다.인생은 새옹지마라는 말이 ... ...
세균이 만드는 나노 리본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위에서만 자랄 수 있으므로 홈의 두께를 배지로 조절함으로써 바꿀 수 있다. 한편 콘도
박사
는 “만약 셀룰로오스 대신 다른 물질로 길을 만들 수 있다면 상처를 치료하는데 이용할 수 있을것”이라고 기대했다. 즉 유전자조작으로 세균이 피부를 구성하는 물질을 분비한다면 상처 난 피부 부위를 ... ...
한국인 SNP집합 지도 만든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암, 당뇨, 고혈압, 뇌질환 등 대부분의 질병은 다수의 유전자와 환경이 관여하는 복잡형질질병이다. 따라서 소수의 SNP를 이용한 연구를 통해서는 병의 ... 올해 11월 초 콜린스
박사
와 더불어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있는 일본의 유수케 나카무라
박사
의 방문과 함께 논의가 구체화될 전망이다 ... ...
주가변동 해석하는 마이너리티 게임의 법칙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대학원
박사
과정에 유학시키는 프로그램을 만들었다. 이때 선발된 챙 교수는 미국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마이너리티 게임의 모형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편의상 홀수 N명의 사람이 게임에 참여한다고 가정하자. 매 게임마다 각 사람들은 A 또는 B를 선택한다. 게임의 룰은 A와 B를 선택한 사람의 ... ...
2002 생리·의학상 - 세포의 자살프로그램 규명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영국 웰컴트러스트 생거연구소에서 인간게놈프로젝트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호비츠
박사
는 현재 미국 MIT에서 여전히 예쁜꼬마선충을 이용해 새로운 유전자를 발견하는 등 왕성한 연구활동을 벌이고 있다. 몇년 전 필자가 MIT에서 이른 아침에 보았던 헐렁한 티셔츠에 청바지 차림으로 커피를 들고 ... ...
세계 영재석학이 전하는 과학 영재교육의 노하우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선호에 따라 실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다양한 유형의 대회가 필요하다고 고르브코브스키
박사
는 강조했다.‘ 노벨물리학상을 위한 첫걸음’대회를 10년 전에 신설한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이라고 한다. 이 대회는 학생 자신이 문제를 만들고 이를 해결해 논문으로 제출한다. 이 대회에 제출된 논문의 ... ...
이봉주 2연패의 숨은 공신 마라톤과학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신발 무게가 10g 가벼워지면 마라톤기록이 1분 단축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히토시
박사
는 경량화를 위해 ‘러셀매치’라는 첨단소재를 사용했다. 기존에 이 선수가 사용하던 마라톤화는 1백65g이었으나, 러셀매치를 사용한 봉달이화는 20g이나 줄어든 1백45g이다. 러셀매치는 통기성 또한 높였다. ... ...
개구리소년 미스터리의 실체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때문에 최근 신뢰도가 높은 유전자 감식 방법이 동원되고 있다. 1985년 영국의 제프리즈
박사
가 사람의 미오글로빈 유전자를 연구하면서 특정 염기쌍이 여러번 반복되는 구조인 ‘소위성 DNA’(mini- satellite DNA)를 발견했는데, 이 부위가 손가락의 지문처럼 개인마다 천차만별이었다. 유전자 감식이란 ... ...
이전
567
568
569
570
571
572
573
574
575
다음
공지사항